명상록 수업 - 피에르 아도 지음, 이세진 옮김/복복서가 서문 I. 철인 황제 II. 『명상록』 개괄 III. 정신 수련으로서의 『명상록』 IV. 철인 노예와 철인 황제 ━ 에픽테토스와 『명상록』 V. 에픽테토스의 스토아주의 VI. 『명상록』의 스토아주의 ━ 내면의 성채 혹은 동의의 규율 VII. 『명상록』의 스토아주의 ━ 욕망의 규율 혹은 운명애 VIII. 『명상록』의 스토아주의 ━ 행동의 규율 혹은 인간을 위한 행동 IX. 『명상록』의 스토아주의 ━ 덕과 기쁨 X. 『명상록』을 통해 본 아우렐리우스 결론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6 우선, 현대 독자는 고대 저작이 오래전 처음 나왔을 때부터 지금까지一요즘 나오는 인쇄 출판물처럼—늘 같은 상태였던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고대 텍스트는 인쇄되지 않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