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론을 읽다 - 양자오 지음, 김태성 옮김/유유 저자 서문 오랜 세월 무시된 정의로운 사유 1. 형식과 내용이 완전하게 일치하는 ‘진실’을 추구하다2. ‘실낙원’의 속죄의 길을 다시 걷다3. 왜곡과 소외를 지적한 ‘과학적 유물론’4. 계급 의식의 확립과 착취로부터의 탈피5. ‘상부 구조’의 구속을 부수다 역자 후기 지금 이 땅에서 마르크스를 읽는다는 것더 읽어 볼 책마르크스의 생애 연표 1. 형식과 내용이 완전하게 일치하는 ‘진실’을 추구하다43 마르크스는 국경 개념에 입각한 시각으로 자본을 대하면 하나의 국가에 있는 자본과 자본가만을 볼 수 있을 뿐이며, 이러한 노동 운동은 영원히 성공할 수 없다고 보았다. 자본은 국경을 초월하고 자본가는 자본의 본질에 기초한 연맹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자본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