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림절 묵상 - 이블린 언더힐 지음, 크리스토퍼 L. 웨버 엮음, 김병준 외 옮김/비아 머리말 ㆍ7 11월 27일 첫째 날 기다림의 여정 ㆍ11 11월 28일 둘째 날 대림절의 정신 ㆍ14 11월 29일 셋째 날 여정의 출발점에서 ㆍ17 11월 30일 넷째 날 사도신경에 대하여 ㆍ20 12월 1일 다섯째 날 문을 닫아라 ㆍ23 12월 2일 여섯째 날 인내라는 기술 ㆍ26 12월 3일 일곱째 날 겸손함과 온유함 ㆍ29 12월 4일 여덟째 날 기도라는 수련 ㆍ32 12월 5일 아홉째 날 기도라는 신비 ㆍ35 12월 6일 열째 날 새로운 습관 ㆍ39 12월 7일 열한째 날 영원의 관점 ㆍ42 12월 8일 열둘째 날 창조에 대하여 ㆍ46 12월 9일 열셋째 날 창조의 목적 ㆍ50 12월 10일 열넷째 날 일상의..
칼 바르트의 신학묵상 - 리하르트 그루노브 지음, 이신건 외 옮김, 천명철 사진/대한기독교서회 머리글 새해를 위한 기도 시작 무로부터 창조하심(1월 1-5일) 01/01 태초에 하나님께서 천지를 창조하셨다. 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창 1:1~2a) 01/02 공허Nichtigkeit란 무엇입니까? 01/03 하나님은 공허를 버리십니다 01/04 공허는 악입니다 01/05 하늘에서부터 땅으로 일어나는 운동 주현절 시작하는 시간(1월 6-8일) 01/06 나는 왔지만 어디에서 왔는지 모릅니다 01/07 무의 그늘 01/08 하나님으로부터 예수님의 세례와 우리의 세례(1월 9-16일) 01/09 그 무렵에 세례자 요한이 나타나서, 유대 광야에서 선포하여 말하기를... "그는 손에 키를 들고 있으니, 타작마당..
중세의 그리스도교 - G. R. 에번스 지음, 이종인 옮김/예경 제1장 중세 유럽인들의 눈으로 본 세계 제2장 중세 그리스도인들은 무엇을 믿었는가? 제3장 성서의 연구 제4장 교회란 무엇인가? 제5장 평신도 제6장 정치와 교회 제7장 반항 세력 제8장 수도자, 성인, 그리스도인의 모범 제9장 성전 제10장 전통과 연속성: 종교개혁으로 가는 길 10 중세의 '그리스도교 유럽'에서는 하나의 '사회적' 전제가 있었다. 그것은 모든 사람들이 그리스도인일 것이라는 생각이었다. 중세 사람들은 신을 믿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은 상상조차 못했다. 비록 때로는 미신의 성격을 띠는 경우도 있었지만 그래도 '대중의' 신앙심은 깊었다. 여기서 '교육받은' 사람들의 신앙에 대한 이해와 당시의 일반 대중이 지닌 '신앙심'을 혼동하..
성어거스틴의 고백록 - 성 어거스틴 지음, 선한용 옮김/대한기독교서회 어거스틴의 생애에서 중요한 사건들 고백록에 대한 어거스틴 자신의 평가 어거스틴의 행적과 관련된 지도 고백록을 이해하기 위한 안내 제1권 유아기와 소년기 제2권 열여섯 살 되던 때의 청년기: 배나무 밑에서 제3권 카르타고의 학생 시절과 마니교 제4권 유혹하고 유혹받으며, 속고 속이는 삶 제5권 마니교의 감독 파우스투스와 기독교의 감독 암브로시우스 제6권 기독교 신앙은 알았으나 세상의 욕망 때문에 고민함 제7권 어거스틴의 지적 회심 제8권 마음의 회심: 무화과나무 밑에서 제9권 어거스틴의 세례와 모니카의 죽음 제10권 기억의 신비 제11권 시간과 영원 제12권 무로부터의 창조, 질료와 형상 제13권 창세기 1장에 대한 은유적 해석 7.16..
어거스틴 생애와 사상 - 피터 브라운/한국장로교출판사(한장사) 서문 약어표 제1부 354~385 연대표A 제2부 386~395 연대표B 제3부 395~410 연대표C 제4부 410~420 연대표D 관련 공부 글 보기 서양철학사 | 2012 | 06 - 21강: 헬레니즘적 기독교의 가톨릭으로의 전개, Augustinus의 기본 사상 서양철학사 | 2012 | 06 - 22강: «고백록confessiones»의 구조와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