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란 무엇인가 - 한스 큉 지음, 이홍근 옮김/분도출판사우리말 판에 부쳐 머리말 변하는 교회 교회를 믿을 것인가? 교회의 근원 교회와 하느님 나라 교회는 하느님의 백성 교회는 성령의 피조물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 교회의 단일성 보편성 · 성성 · 사도성 교회 내의 봉사 세계 속의 교회 21 2세기의 호교론자들은 유스티누스의 몇 구절을 제외하면 "에클레시아ekklesia"라는 말을 전혀 사용한 일이 없으나─그들의 호교론은 교회가 아니라 유일신과 그리스도를 옹호하기 위한것이었다─. 그후의 교부들에게는 교회가 신학 연구와 신 · 구약 성서 주석의 중요한 테마가 되었다. 처음 거기 동안의 교회성은 적대적인 이교도 국가와 교회와의─온갖 박해 속에서 성취와 좌절을 동시에 맛보던─대립관계로 나타난 반면에, 그후의 교..
문학과 종교 - 발터 옌스.한스 큉 지음, 김주연 옮김/문학과지성사 머리말 7 제1장 블레즈 파스칼, 『팡세』 제2장 안드레아스 그리피우스, 『시』 제3장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 『현자 나탄』 제4장 프리드리히 횔덜린, 『찬가』 제5장 노발리스, 『기독교 혹은 유럽』 제6장 쇠렌 키르케고르, 『기독교 훈련』 제7장 표도르 미하일로비치 도스토옙스키,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제8장 프란츠 카프카, 『성』 꼬리말 411 참고문헌 415 옮긴이의 글 문학과 종교, 멀리 떨어져서 438 근대의 개막과 종교 11 근대와 더불어 무슨 일이 종교에 일어났는가? 종교로 인해 어떤 일이 근대에 생겨났는가? 이렇게 우리는 근대 계몽주의 이후로 불확실해진 유산에 대해 묻는다. 어떻게 이러한 일들이 종교에 일어날 수 있었는..
음악과 종교 - 한스 큉 지음, 이기숙 옮김/포노(PHONO) 한국어판 서문 서곡: 음악과 종교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초월의 흔적들 리하르트 바그너: 구원을 향한 열망 안톤 브루크너: 신앙의 교향악 피날레: 예술과 의미 주 찾아보기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초월의 흔적들 57 모차르트의 신앙 태도와 관련된 문헌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확인할 수 있다. 아무리 회의적인 분석가들이 탐정에 버금가는 작업을 하고 정신분석적인 방법을 동원하더라도 모차르트에게 심각할 정도로 ‘불리한 사실'이나 어떤 추문록을 쓸 만한 자료들을 발견할 수 없다는 것을 그리고 모차르트의 아내 콘스탄체의 비판자들과 옹호자들 사이에서 벌어진 일대 논쟁에 내가 여기서 끼어들 필요는 없을 것 같다. 여하튼 우리가 낼 수 있는 결론은 이..
믿나이다 - 한스 큉 지음, 이종한 옮김/분도출판사 머리말 : 믿나이다 - 오늘날에도 1 하느님 아버지: 하느님 상과 세계창조 2 예수 그리스도: 동정녀로부터의 탄생과 하느님의 아들됨 3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죽음의 의미 4 저승에 내려가심 - 부활 - 하늘에 오르심 5 성령: 교회, 성인들의 통공, 죄의 용서 6 죽은 자들의 부활과 영원한 생 22 중요한 사실: 그 누구에게도 하느님의 존재를 인정하라고 순전히 관념적 · 철학적으로 강요할 수 없다. "하느님"’이라는 초경험적 실재가 있음을 받아들이고자 하는 사람은, 자신을 그 실재에 온전히 실천적으로 내맡기는 것 외에는 다른 길이 없다. 칸트에게도 신의 존재는 실천이성의 요청(증명하기는 어려우나 불가결한 가정)이다. 그러나 나는 오히려 인간의 행위, 이성..
그리스도교 - 한스 큉 지음, 이종한 옮김/분도출판사 이 책의 목적 ㄱ. 본질에 대한 물음 가. 그리스도교의 "본질"과 "왜곡" 갸. 논쟁 속의 "그리스도교" ㄴ. 중심 나. 바탕인물과 근본동인 냐. 핵심적 구성요소들 ㄷ. 역사 다. 원그리스도교의 유다계 묵시문학 패러다임 댜. 고대 그리스도교의 보편적 헬레니즘 패러다임 더. 중세의 로마 가톨릭 패러다임 뎌. 종교개혁의 개신교 복음 패러다임 도. 이성과 진보에 정향된 근대 패러다임 맺는말을 대신하여 ㄱ. 본질에 대한 물음가. 그리스도교의 "본질"과 "왜곡"29 종교는 다 비슷하다는 말은 어리석은 주장이다. 오히려 그 반대다. 모든 종교 특히 예언자적 종교 - 그리스도교든 유다교든 이슬람교든 - 에서는 다음과 같은 물음이 매우 중요하다: 나의 종교를 다른 ..
한스 큉의 유대교 - 한스 큉 지음, 이신건.이응봉.박영식 옮김/시와진실 이 책은 무엇을 원하는가? 제I부 여전히 현존하는 과거1장 기원2장 중심3장 역사 제II부 현재의 도전1장 홀로코스트에서 이스라엘 국가로2장 유대교인과 기독교인의 논쟁3장 근대의 극복 제III부 미래의 가능성1장 포스트모던 시대의 유대교2장 삶의 갈등과 율법의 미래3장 유대인과 무슬림 그리고 이스라엘 국가의 미래4장 홀로코스트와 하나님 담론의 미래 에필로그새로운 세계 윤리가 없다면, 새로운 세계 질서도 없다 이 책은 무엇을 원하는가?5 나는 다음과 같은 전제에서 출발한다. 기독교든 유대교든 이슬람교든 모든 세계 종교는 개인과 민족과 문명을 뛰어넘는 살아있는 체계다. 이 체계는 1천 년 이상의 역사를 거치며 다양하고 획기적인 패러다임..
한스 큉의 이슬람 - 한스 큉 지음, 손성현 옮김/시와진실 한국어판 서문이 책은 무엇을 원하는가? 제I부 근원제II부 핵심제III부 역사제IV부 현재의 도전제V부 미래의 가능성1장. 이슬람의 갱신2장. 이슬람 법질서의 미래3장. 이슬람 국가 질서와 정치의 미래4장. 이슬람 경제 질서의 미래5장. 이슬람 생활 질서의 미래 에필로그: 희망의 이미지, 이슬람 이 책은 무엇을 원하는가?9 앞서 나온 《그리스도교》 (1991)와 《유대교》 (1994)처럼, 이슬람을 다룬 이번 책도 다음의 기본 원칙에 입각하여 집필됐다. 이 원칙은 인류가 살아 남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의식의 전환, 전 지구적인 의식의 전환을 염두에 둔 것이다. 종교 간의 평화 없이는 국가 간의 평화도 없다. 종교 간의 대화 없이는 종교 간의 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