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읽다보면 | 11 조너선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 1


걸리버 여행기 - 10점
조너선 스위프트 지음, 박용수 옮김/문예출판사


2017년 11월 4일부터 CBS 라디오 프로그램인 변상욱의 이야기쇼 2부에서 진행되는 "강유원의 책을 읽다보면"을 듣고 정리한다. 변상욱 대기자님과 강유원 선생님의 대화로 이루어져 있다. 


팟캐스트 주소: http://www.podbbang.com/ch/11631





20180630_34 조너선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 1

인간은 본능적으로 자기의 이익과 편안함을 위해서 노력할 수 밖에 없는 존재고, 그러다보면 싸우게 되는데, 그래도 이렇게 싸우기만 할 것이 아니라 저 친구도 나랑 똑같은 욕망과 힘을 갖고 있다면 그것을 어떻게 풀어가야 하는가라고 할 때 당연히 사회계약이라는 '내가 욕망하는 만큼 너도 욕망할테니까' 적어도 서로 다치지 않게 서로 약속을 한다. 요즘 우리 사회에 난민 문제도 있고, 지난 번 읽었던 티머시 스타이더의 블랙 어스도 내가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것에 그치면 답이 나오지 않는다. 저 사람도 사람이라고 해야, 흔히 하는 말로 타자를 인정하는 것, 비인간이다라고 하면 학살대상이 되어버리고 만다.


거기까지 건너뛰는 것이 굉장히 어렵다. 그러니까 개인의 힘을 능가하는 어떤 조직이 컨트롤 해야할 것인가, 그래서 이 힘을 모아서 하나의 계약에 의해서 커다란 힘을 만들어 보자고 하면 국가가 되는 것이다. 사람은 원래 선의를 가진 존재가 아니니까 더 큰 공포로 내리누르면 홉스의 리바이어던이 되는 것이고, 자꾸 공포를 뿜어내지 않고 착한 마음을 갖도록 노력하자고 하면 루소의 사회계약론이 되는 것. 그래서 영구에서는 홉스에 의한 입헌공화국이 되는 것이고, 그러나 프랑스처럼 자유로운 나라는 루소의 사회계약이 있는 것. 


블랙 어스를 정리해보면 사실 17세기가 1648년 베스트팔렌조약으로 종파간 싸움으로 30년전쟁이 일어났기 때문에, 더이상 종교가 교회가 사람들을 편안하게 행복하게 해주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증명되었다. 그런데 국가가 나서니 싸움이 안 나겠거니 생각했다. 그리고 국가에 대한 믿음이 대단했던 것이 칸트가 쓴 영구평화론을 보면 나라들이 잘 의논하면 평화를 이룩할 수 있을거라 얘기하지만 300년이 지나 20세기가 되도록 국가는 평화를 발명해 내지 못했고 최후에는 인종주의에 의한 학살로 귀결된 것이 바로 블랙 어스이다. 국민으로부터 권한을 위임 받은 주권자가 국가를 이끌면 국민의 안정을 보장하여 신뢰를 계속 얻어가야 하는데 국민을 전쟁으로 내몰았다. 17세기 이후에 300년에 걸친 유럽의 전쟁을 다룬 책이 사실 마이클 하워드의 《평화의 발명》이라는 책이 있다. 300년 동안 유럽에서 도대체 무엇 때문에 싸움을 했는가, 원인이 어디 있는가를 생각해볼 때 영국에서 가장 심각했던 종파분쟁이 있었다.


조너선 스위프트가 1600년대 사람이니까 30년전쟁이 끝나고 바로이다. 조너선 스위프트가 1667년 사람이다. 사실 예전에 「라디오 인문학」에서 한번 다루기도 했다. 오늘은 다른 맥락에서 읽어보려고 한다.

1부부터 4부까지 있는데 대개는 1,2부 소인국과 대인국까지 한다. 그래서 그런지 사람들은 소인국이 핵심인줄 알고 있는데 사실은 4부가 핵심이다. 그리고 소인국도 동화는 아니고, 소인국은 아일랜드를 식민지배하고 있던 영국에 대한 비난과 풍자가 들어있다. 사실 《걸리버 여행기》는 주저도 아니다. 조너선 스위프트의 인생의 절정에 써서 필명을 날린 것은, 《걸리버 여행기》가 1726년의 작품인데 그보다 20년 정도 이전에 쓴 작품들이 있다. 《책들의 전쟁》, 《통 이야기》가 1704년에 나온 것인데 이 작품이 사실 주저이다. 1600-1700년대가 낡은 옛날 이야기들을 그만 읽고, 과학이 발전했으니 과학책 좀 읽자고 하던 시대. 그래서 고전을 읽자는 쪽과 당대의 쪽의 싸움.


처음 도착한 소인국, 릴리푸트이다. 여기에는 커다란 재앙이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어느 나라에나 있을만한 격렬한 당파싸움인데, 또 하나는 외적인 블레푸스쿠이다. 그런데 문제는 내부의 당파의 당파와 외적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내부에서 벌어지는 당파싸움의 원인이 무엇인가. 신발을 신을 때 높은 굽을 신는가 아니면 낮은 굽을 신는가이다. 현재 릴리푸트 황제는 낮은 굽을 신는 사람만을 관직에 등용한다. 또한 계란을 깨먹을 때 두꺼운 쪽을 깨먹는가 뽀족한 쪽을 깨먹는가 싸움이 있다. 그런데 릴리푸트 황제의 조상 중에 한 사람이 두꺼운 쪽을 먹다가 손을 다쳐서 병들어 죽었다. 그래서 황제가 두꺼운 쪽을 깨먹는 사람들에게는 엄벌에 처한다는 명령을 내렸는데 어떤 사람들은 신념을 굽히지 않고 반란을 일으키고 이를 블레푸스쿠가 지원하는 것. 그리고 황제는 걸리버의 힘을 빌려서 이기려고 한다. 군함을 끌고 오는 부분도 있는데 결국 궁중에서의 모함이 있고 이 섬을 떠나게 된다.


《걸리버 여행기》는 소인국에서 일어난 이야기는 사소한 것인데 뒤로 갈수록 인간 혐오와 경멸과 비난의 정도가 강해진다. 이 텍스트의 특징이 이렇다. 거인국은 말 그대로 호인들이다. 동화속에서는 거인은 무서운 존재로 나오는데, 여기서 조금 의도한 것으로 보이는데, 거인이 착한 존재로 나온다. 걸리버 왕과 대화하는 장면을 보면 지난 백 년 동안 영구에서 일어난 일들을 이야기하는 장면이 있는데 왕이 그 부분을 듣고 나서 얘기를 한다. 이 부분이 굉장히 뜨끔한데 "음모, 반역, 학살, 혁명, 추방 등의 연속이며 위선, 배신, 탐욕, 담쟁, 증오, 질투 등으로 얼룩진 것"이라고 논평한다. 이것이 조너선 스위트가 판단하는 1600년대 전체의 영국사가 그것이라고 하는 것이다.


167 내가 영국에서 과거 백 년 동안에 일어난 일에 대해서 이야기하자 왕은 크게 놀랐고, 그것이 음모, 반역, 학살, 혁명, 추방 등의 연속이며 위선, 배신, 탐욕, 담쟁, 증오, 질투 등으로 얼룩진 것이라고 논평해주었다.


그러고 나서 거인국 왕이 말을 한다. "자네 나라의 인간들은 자연이 이제껏 이 지구상에서 기어다닐 수 잇게 만들어준 벌레들 중에서도 가장 고약한 벌레들이라고 결론내릴 수밖에 없네." 이렇게 하면 소인국에서의 풍자보다는 훨씬 더 직설적이다. 당대의 영구사에 대한 풍자적도가 아니라 강력한 비난이 있다. 《걸리버 여행기》는 얼핏보면 풍자라기 보다는 풍자는 소인국에서 끝나고 그 다음부터는 직설법이다.


168 자네 나라의 인간들은 자연이 이제껏 이 지구상에서 기어다닐 수 잇게 만들어준 벌레들 중에서도 가장 고약한 벌레들이라고 결론내릴 수밖에 없네.


집으로 돌아와서 거인국에 있던 것이 습관이 되어 자기가 거인인 것처럼 착각하고, 문을 들어설 때 지나치게 머리를 굽혔다던가 그런 얘기가 뒷부분에 있다. 그러니까 소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거인국에서 거인들이 하던 행태를 본받아서 자기가 거인인것처럼 자기나라와서 행세한 부분이 있다. 사실 이 부분이 거인국에서 가장 재미있는 부분이다.


189 집에 돌아오니 하인 하나가 문을 열어주었다. 문으로 들어가면서 머리가 문에 부딪힐 것이 염려되어 허리를 깊이 숙여야 했다.


다음 시간에는 라퓨타와 말의 나라에 대해서 읽겠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