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일본의 국제질서론 - 사카이 데쓰야 지음, 장인성 옮김/연암서가한국어판 서문 서장 국제 질서론과 근대 일본 연구 제1장 전후 외교론의 형성-'이상주의'와 '현실주의'의 계보학적 고찰 제2장 고전 외교론자와 전간기 국제 질서: 시노부 준페이의 경우 제3장 ‘동아 협동체론’에서 ‘근대화론’으로: 제4장 무정부주의적 상상력과 국제 질서: 다치바나 시라키의 경우 제5장 ‘제국 질서’와 ‘국제 질서’: 식민 정책학에서의 매개의 논리 종장 일본 외교사의 ‘낡음’과 ‘새로움’-오카 요시타케 「국민적 독립과 국가 이성」 재론 저자 후기 역자 후기 찾아보기 24 1930년대 일본의 국제질서론은 한마디로 말하면 '패권주의적인 지역주의론'이란 성격을 지닌다. 여기에는 일본을 맹주로 상정한 관계가 전제된다는 점에서 말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