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불교란 무엇인가 - 사이토 아키라 외 지음, 안성두 옮김/CIR(씨아이알) 제1장 대승불교란 무엇인가 - 사이토 아키라 제2장 경전연구의 전개를 통해 본 대승불교 - 시모다 마사히로 제3장 대승불교 기원론의 전망 - 사사키 시즈카 제4장 대승불교의 한 단면 - 「대승장엄경론」의 시점에서 후지타 요시미치 제5장 아프카니스탄 사본으로 본 대승불교 - 대승불교 자료론을 대신하여 마츠다 카츠노부 제6장 한어(漢語) 세계로 비춰진 불교 - 시모다 마사히로, 잔 나티에 제7장 중국에서의 교판 형성과 전개 - 후지이 쥰 제8장 인도불교사상사에서의 대승불교 - 유와 무의 대론 카츠라 쇼류 머리말 본 시리즈 제1권은 '대승불교란 무엇인가'에 주안점을 두었다. '큰수레'를 의미하는 대승은 소승이나 성문승(불제자의 탈 ..
대승불교의 탄생 - 사이토 아키라 외 지음, 이자랑 옮김/CIR(씨아이알) 제1장 대승불교의 성립 사이토 아키라 제2장 경전을 창출하다-대승 세계의 출현 시모다 마사히로 제3장 대승불전에서 법멸과 수기의 역할-반야경을 중심으로 와타나베 쇼고 제4장 변용하는 붓다-불전(佛傳)의 현실미와 진실미 히라오카 사토시 제5장 상좌부불교와 대승불교 바바 노리히사 제6장 아비달마불교와 대승불교-불설론을 중심으로 혼조 요시후미 제7장 힌두교와 대승불교 아카마츠 아키히코 제8장 중세 초기에 있어 불교 사상의 재형성-언설의 이론을 둘러싼 바라문 교학과의 대립 요시미즈 기요타카 머리말 대승불교는 외형적으로 보는 한 기원전후 무렵에 탄생하였다. 반야경 계통의 경전을 시작으로 법화경, 무량수경, 십지경, 입법계품 등의 많은 대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