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학 -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이상인 옮김/길(도서출판)해제: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인류 최초의 문학 이론서 9 제1~5장 시 예술 자체와 그 개별적 종류에 대한 고찰 제1장 저술의 목표, 모방으로서의 예술, 모방의 수단 59 제2장 모방의 대상 71 제3장 모방의 방식 75 제4장 시 예술의 기원, 시 예술의 개별적 형태의 등장과 그 역사적 발전 81 제5장 희극의 정의와 역사, 서사시와 비극의 기초적 비교 93 제6~22장 비극 자체와 그 개별적 부분에 대한 고찰 제6장 비극의 정의와 그 부분들 99 제7~12장 구성의 조직을 위한 통칙 제7장 전체적 완결성과 크기의 적정성 115 제8장 통일성 121 제9장 성격의 보편성과 가능성의 개별적 실현으로서 행위의 개연적 또는 필연적 모방 125 제1..
정치학 -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김재홍 옮김/길(도서출판) 옮긴이의 말 제1권 폴리스와 가정 제2권 이상적 폴리스에 관한 견해들: 플라톤의 『국가』와 『법률』, 스파르타와 카르타고 제3권 폴리스와 정치체제 제4권 정치체제의 유형 제5권 정치체제의 보존과 파괴 제6권 정치체제의 종류와 정치제도: 민주정과 과두정 제7권 교육과 최선의 정치체제 제8권 최선의 정치체제에서의 교육과 무시케 해제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철학: 윤리학과 정치학의 만남 참고 문헌 연보 찾아보기(지명과 인명) 찾아보기(내용) 1252a1 우리는 모든 폴리스가 어떤 종류의 공동체(koinōnia)이고, 모든 공동체는 어떤 좋음을 위해서(heneken) 구성된다는 것을 관찰한다. 왜냐하면 모든 사람은 자신의 모든 행위에서 좋음이라고 여겨지는 ..
시학 -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손명현 옮김/고려대학교출판부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시학 해설 아리스토텔레스 연보 + 강유원 선생님의 강독 일정에 맞추어 책을 읽는다. 제1장 우리의 주제는 작시술인데, 우리는 그 일반적인 본질과, 그 여러 종류와, 그 각 종류의 기능과, 좋은 시는 그 플롯이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및 시의 구성부분은 얼마나 되며, 어떠한 성질의 것인가, 그리고 또 이와 동일한 연구 영역에 속하는 다른 사항에 관하여 우선 자연적 순서에 따라 제1차적인 사항에서부터 시작하여 논하려고 한다. 서사시, 비극시, 희극시, '디티람보스' 및 대부분의 관악과 현악은 모두 모방의 양식이지만 다음 세 가지 점에서 상호 간에 차이가 있다. 즉 모방의 매재가 그 종류에 있어서 상이하든지, 혹은 그 대상이 상..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1부 니코마코스 윤리학제1권 13제2권 51제3권 79제4권 121제5권 159제6권 203제7권 233제8권 277제9권 315제10권 349 제2부 부록아리스토텔레스의 생애와 사상 388『니코마코스 윤리학』 작품 해제 406『니코마코스 윤리학』의 구조: 철학적 입문 424 성격적 탁월성과 악덕의 도표 453용어해설 454참고문헌 465찾아보기 479 1094a1-5 모든 기예(techne)와 탐구(methodos), 또 마찬가지로 모든 행위와 선택은 어떤 좋음을 목표로 하는 것 같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은 좋음을 모든 것이 추구하는 것이라고 옳게 규정해 왔다. 그러나 추구되는 여러 목적들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왜냐하면 어떤 것들의 경우 그 목적은 활동(energe..
2018년 5월 28일부터 KBS 라디오 강유원의 책과 세계에서 진행되는 선생님의 라디오 방송을 듣고 정리한다. 다시듣기 주소: http://program.kbs.co.kr/1radio/radio/bookworld/pc/list.html?smenu=c16974 20181225-152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실천적 지혜’(phronesis). 올바른 사회에서 살고 있는 올바른 사람은, 주변의 올바른 것들을 보고 자꾸 올바른 일을 해버릇하면 올바른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올바른 행위를 함으로써 올바름이라는 심성상태를 가지게 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학문을 이론학, 실천학, 제작학으로 나누었다고 이야기한 바 있다. 이론학이 엄밀한 학문이라면 실천학은 딱 맞아떨어지지 않는 현실의 지식을..
2018년 5월 28일부터 KBS 라디오 강유원의 책과 세계에서 진행되는 선생님의 라디오 방송을 듣고 정리한다. 다시듣기 주소: http://program.kbs.co.kr/1radio/radio/bookworld/pc/list.html?smenu=c16974 20181224-151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 형이상학은 우리를 포함하여 우리가 사는 세계의 만물의 본질에 대해 생각하는 학문 서양철학의 역사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위치는 플라톤과 함께 따로 말할 필요가 없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수많은 저작들을 남겼다. 플라톤은 아름다운 대화편을 썼지만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들은 강의록이다. 읽는 것이 굉장히 지겹고 따분하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학문을 이론학, 실천학, 제작학으로 나누었다. 이론학에 속하는 대표적인 저작..
2018년 5월 28일부터 KBS 라디오 강유원의 책과 세계에서 진행되는 선생님의 라디오 방송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www.podbbang.com/ch/16843 20181109-120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 상대방이 더 무거운 죄를 지었다고 여기게 하는 방법들: 첫째는 “맹세, 약속, 서약, 결혼의 신성함 같은 정의의 원칙을 하나도 아닌 여럿을 무시하고 어겼다고 진술하는 것.” 둘째는 “범인이 위증죄 등으로 처벌받는 곳에서 범죄가 저질러질 경우 범죄가 더 무거워진다.” 셋째는 “범인이 은인에게 범죄를 저지른 경우.” 넷째는 “불문율을 범할 때도 범죄가 더 무겁다.” 철학은 추상적인 원리들을 다루는 학문이지만 추상적인 것에서 그치는 것만은 아니다. 철학에서 제시하는 추상적인 원리..
2018년 5월 28일부터 KBS 라디오 강유원의 책과 세계에서 진행되는 선생님의 라디오 방송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www.podbbang.com/ch/16843 20180706-030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 “연설의 마지막에서는 접속사를 생략하는 것이 좋다. 표현된 말 이상의 뭔가가 드러나도록. ‘나는 말했다, 너는 들었다, 너는 사실을 가지고 있다, 판단하라.’” 말을 잘한다 하는 것에 대해서는 참으로 많은 격언들이 있다. 무엇보다도 말은 생각의 표현이다. 훌륭한 생각은 훌륭한 말로 드러난다. 거꾸로 말해서 훌륭한 말을 하는 이는 훌륭한 생각을 하고 있다고 짐작할 수 있다. 말은 무엇보다도 다른 사람을 설득하기 위해서 하는 것이다. 그래서 말을 잘하는 것에 관한 책인 수사학이..
형이상학 2 -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조대호 옮김/나남출판 2권IX권(Θ)X권(I)XI권(K)XII권(Λ) XIII권(M)XIV권(N) 부 록 2651. 아리스토텔레스의 생애2.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술목록3. 자연의 사다리(Scala naturae) 옮긴이 해제 271참고문헌 375찾아보기 395 IX권1045b1. '가능태'와 '현 실태'의 측면에서 본 있음. 가장 주도적인 뜻의 가능태는 능동적 작용의 능력과 수동적 작용의 능력이다그러면 첫 번째 뜻에서 있으며, 있는 것의 다른 모든 범주들이 준거 점으로서 관계하고 있는 것, 즉 실체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이야기했다. 이렇게 말하는 이유는 다른 것들, 즉 양이나 성질을 비롯해서 그런 방식으로 불리는 다른 것들은 실체에 대한 정식에 따라서 '있다'고 일컬어지..
형이상학 1 -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조대호 옮김/나남출판 1권옮긴이 머리말 I권(A) II권(α) III권(B) IV권(Γ) V권(Δ) VI권(E)VII권(Z) VIII권(H) 부 록 3691. 아리스토텔레스의 생애2.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술목록3. 자연의 사다리(Scala naturae) 참고문헌 375찾아보기 395 무엇보다도 "형이상학"이라고 하는 제목 자체가 아리스토텔레스가 붙인 것이 아닙니다. 후대의 학자가 편집할 때 《자연학》 다음에 이 책을 배치하면서 그렇게 명명한 것 입니다. 《형이상학》이라는 책을 후대의 학자가 편집했다는 말 은 《형이상학》이라는 책이 독립된 단행본(또는 강의록)들의 묶음임을 의미합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의 완결된 저작을 의도하고 쓴 것이 아닙니다. 《..
시학 - 아리스토텔레스 외 지음, 천병희 옮김/문예출판사 아리스토텔레스 ...5 호라티우스 ...163 플라톤 ...209 롱기누스 ...255 아리스토텔레스 내용 A. 모방의 주요 형식으로서 비극과 서사시와 희극에 관한 예비적 고찰 제 1장 시는 (1) 사용한는 수단에 의하여 구별된다 제 2장 시는 (2) 그 대상에 의하여 구별된다 제 3장 시는 (3) 모방의 양식에 의하여 구별된다 제 4장 시와 그 여러 종류의 기원과 발견 제 5장 희극과 서사시 B. 비극의 정의와 그 구성 법칙 제 6장 비극의 정의와 그 질적 요소들의 분석 제 7~11장 플롯 제 7장 극(劇)의 배열과 길이 제 8장 행동의 통일성 제 9장 시인은 개연적인 것과 보편적인 것을 그리지 않으면 안 된다 제 10장 단순한 플롯과 복잡한 플..
아리스토텔레스 그의 저술과 사상에 관한 총설 - W. D. 로스 지음, 김진성 옮김/누멘 서문 머리말 - J. L. 아크릴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술 목록 일러두기 1장 생애와 저술 2장 논리학 3장 자연철학 4장 생물학 5장 심리학 6장 형이상학 7장 윤리학 8장 정치학 9장 수사술과 작시술 참고 문헌 참고 문헌 보충 아리스토텔레스의 후계자들과 주석가들 찾아보기 2장 논리학 43 아리스토텔레스는 학문을 이론적인 학문, 실천적인 학문, 제작적인 학문으로 나눈다. 각 종류의 직접적인 목적은 앎이지만, 궁극적인 목적은 각각 앎, 행위, 유용하거나 아름다운 물건의 제작이다. 논리학이 만일 이런 분류의 틀 속으로 들어간다면, 이론적인 학문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론적인 학문은 수학, 자연학, 신학 또는 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