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국론 3 (19-22) - 아우구스티누스 지음, 성염 옮김/분도출판사 제19-22권 제19권 선의 목적은 하느님 안의 평화 제20권 최후심판에서 닥칠 일들 제21권 종말의 징벌 제22권 육신의 부활과 영원한 생명 19.10 거룩하고 신실한 사람들, 유일하고 참되고 지존한 하느님을 숭배하는 사람들도 저 정령들의 속임수와 다채로운 유혹에서 안전하지 못하다. 다만 이 덧없는 땅에서, 이 사악한 세월에 겪는 이런 불안은 무익한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그같은 불안으로 인해 신앙인들은 더없이 충만하고 더없이 확실하다고 할 평화로운 안전을 열렬히 소망하고 추구할 것이 기 때문이다. 그곳에서야말로 자연본성의 선물, 곧 모든 자연본성들의 창조주가 우리 본성에 부여한 선물이 단지 선한 데서 그치지 않고 영구한 것이 되리..
신국론 2 (11-18) - 아우구스티누스 지음, 성염 옮김/분도출판사 제11권-18권 제11권 하느님이 시간 속에 창조한 세계와 천사 제12권 천사와 인간 창조 제13권 영원한 생명의 복원인 인간의 구속 제14권 범죄 후 인간의 행태에서 나온 두 도성 제15권 두 도성의 전개: 카인과 아벨부터 대홍수까지 제16권 하느님 도성의 초기사: 노아부터 다윗까지 제17권 예언자 시대의 하느님 도성 제18권 역사 진행 속의 두 도성 비교 11.6 세상의 창조와 시간의 창조는 동일한 시점에 이루어졌으며, 하나가 다른 하나를 선행하지 않는다. 영원과 시간을 올바로 구분한다면, 즉 시간은 운동이나 변화 없이 존재할 수 없고 반면에 영원은 어떤 변화도 없다는 사실을 인식한다면, 피조물이 생겨나지 않는 한 시간은 존재하지..
신국론 1 (1-10) - 아우구스티누스 지음, 성염 옮김/분도출판사 해제 제1-10권 제1권 시대의 재앙과 하느님의 섭리 제2권 그릇된 도덕을 낳은 다신숭배 제3권 로마사의 비판적 회고 제4권 제국 성장에 아무것도 못해 준 많은 신들 제5권 운세의 이치가 있는가 없는가 제6권참 행복에 아무 도움도 못 되는 신들 제7권 신들에 관한 자연주의 해석과 참 행복 제8권 그리스도와 철학자들의 가르침에 나타난 중개자의 역할 제10권 영원한 생명의 종교 해제 7. 「신국론」의 정치 사상 55 아우구스티누스는 정치 예찬자도 정치 이론가도 아니었다. 그리고 「신국론」의 두 도성 대조가 교회와 국가 간의 대립을 보여준다는 듯이 정치적 안목으로 해석될 저작은 아님을 학계는 두루 인정한다. 그렇다고 이 책에서 이상적 정치구..
삼위일체론 - 아우구스티누스 지음, 성염 역주/분도출판사 '교부 문헌 총서'를 내면서 해제 서론 : '하느님을 만나는 인간의 길' Ⅰ. 『삼위일체론』의 집필 계기와 배경 Ⅱ. 삼위일체에 관한 성경 계시와 사변적 고찰 Ⅲ. 인간 지성에서 드러나는 삼위일체 Ⅳ. 그리스도, 삼위일체 신비에 접근하는 길 Ⅴ. 『삼위일체론』각 권 개요 본문과 역주 서문 제1권 성경에 의거한 삼위일체 제2권 구약성경의 신현神顯과 신약성경에서 드러나는 삼위일체 위격들의 동등함 제3권 구약성경의 신현에서 천사들의 역할 제4권 파견받은 성자, 하느님과 인간의 결합 제5권 관계 개념으로 아리우스파를 반박하다 제6권 삼위의 동등을 설명하는 성경 말씀 제7권 절대적 속성들의 단일성 및 호칭의 삼위성 제8권 신앙의 이해 제9권 지성, 인지 그..
고백록 - 아우구스티누스 지음, 성염 옮김/경세원 고백록을 옮기면서 4 해 제 서론 : 아우구스티누스, 진리의 연인 10 1. 저작의 정황과 연대 13 2. 세 차례의 사상적 전향 19 3. 「고백록」 후반부 개관 36 본문과 역주 제1권 출생 및 어린이, 소년 시절 53 제2권 내 나이 열여섯 87 제3권 카르타고에서 연학에 몰두하다 105 제4권 9년간 타가스테와 카르타고에서 교사를 하다 131 제5권 카르타고를 떠나 로마로 가고 거기서 다시 밀라노로 향하다 165 제6권 나이 서른 197 제7권 진리를 향한 상승의 길 231 제8권 유일하고 참된 하느님께 회심 271 제9권 세례와 아프리카 귀환 307 제10권 하느님을 찾고 인식하여 345 제11권 하느님이 하늘과 땅을 창조하신 태초에 관한 주석 ..
성어거스틴의 고백록 - 성 어거스틴 지음, 선한용 옮김/대한기독교서회 어거스틴의 생애에서 중요한 사건들 고백록에 대한 어거스틴 자신의 평가 어거스틴의 행적과 관련된 지도 고백록을 이해하기 위한 안내 제1권 유아기와 소년기 제2권 열여섯 살 되던 때의 청년기: 배나무 밑에서 제3권 카르타고의 학생 시절과 마니교 제4권 유혹하고 유혹받으며, 속고 속이는 삶 제5권 마니교의 감독 파우스투스와 기독교의 감독 암브로시우스 제6권 기독교 신앙은 알았으나 세상의 욕망 때문에 고민함 제7권 어거스틴의 지적 회심 제8권 마음의 회심: 무화과나무 밑에서 제9권 어거스틴의 세례와 모니카의 죽음 제10권 기억의 신비 제11권 시간과 영원 제12권 무로부터의 창조, 질료와 형상 제13권 창세기 1장에 대한 은유적 해석 7.16..
하나님의 도성 - 성 아우구스티누스 지음, 조호연.김종흡 옮김/크리스천다이제스트(크리스챤다이제스트) 제1-10권 제1권 시대의 재앙과 하느님의 섭리 제2권 그릇된 도덕을 낳은 다신숭배 제3권 로마사의 비판적 회고 제4권 제국 성장에 아무것도 못해 준 많은 신들 제5권 운세의 이치가 있는가 없는가 제6권참 행복에 아무 도움도 못 되는 신들 제7권 신들에 관한 자연주의 해석과 참 행복 제8권 그리스도와 철학자들의 가르침에 나타난 중개자의 역할 제10권 영원한 생명의 종교 제11권-18권 제11권 하느님이 시간 속에 창조한 세계와 천사 제12권 천사와 인간 창조 제13권 영원한 생명의 복원인 인간의 구속 제14권 범죄 후 인간의 행태에서 나온 두 도성 제15권 두 도성의 전개: 카인과 아벨부터 대홍수까지 제1..
어거스틴 생애와 사상 - 피터 브라운/한국장로교출판사(한장사) 서문 약어표 제1부 354~385 연대표A 제2부 386~395 연대표B 제3부 395~410 연대표C 제4부 410~420 연대표D 관련 공부 글 보기 서양철학사 | 2012 | 06 - 21강: 헬레니즘적 기독교의 가톨릭으로의 전개, Augustinus의 기본 사상 서양철학사 | 2012 | 06 - 22강: «고백록confessiones»의 구조와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