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지마 믿음 그리고 물음 - 정재현 지음/동연(와이미디어) 들어가기 전에들어가면서: 본디 '종교적 인간', 그런데 인간과 종교의 관계는?0. 사람과 믿음: '묻지마 믿음'을 묻기 위하여1. 무엇을 믿는가?2. '믿는다'는 것은 무엇인가?3. 왜 믿는가?4. 어떻게 믿어야 하는가?5. 누가 믿는가?6. 언제/어디서 믿는가?나가면서: 묻지마 믿음'에 대한 물음의 뜻 들어가면서22 죽음이 그저 유한한 본능처럼 자연스럽고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기보다는 욕망으로부터 배운 무한 때문에 넘어서야 할 것으로 간주되었던 것입니다. 이때 겪을 수밖에 없는 죽음에서 절정에 이르는 '한계에 대한 체험'과 새로 욕망을 통해 힐끗이라도 보게 된 한계 너머 저편의 '무한에 대한 동경'이한데 얽히게 되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무한..
종교신학 강의 - 정재현 지음/비아 이 책을 읽는 이들에게 1부 서론2부 종교 간 관계 유형 분석3부 종교에서 인간으로4부 결론 1부 서론제1강 강의를 시작하며26 20세기 중엽부터 시작된 종교신학은 영어로 쓰면 Theology of Religions, 풀 어서 번역하면 '종교들에 관한 신학'입니다. 어떻게 보면 각 종교가 가진 신학(다른 종교들에서는 종학 또는 교학이라고 부릅니다)을 다루는 것이라 생각할 수도 있으나 좀 더 정확하게 말하면 종교신학은 Cristian theology of Religions, 즉 '종교들에 관한 그리스도교 신학'이라 할 수 있습니다. 여러 종교가 공존하는 다종교 상황에서 그리스도교의 자기 정체성과 타자 관계성을 어떻게 엮을 것인가 하는 시대적 과제들 수행하는 분야인 셈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