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불경의 탄생 - 이종철 지음/창비 이종철: 중국 불경의 탄생 ━ 인도 불경의 번역과 두 문화의 만남 서남동양학술총서 간행사 | 21세기에 다시 쓴 간행사책머리에 | 동아시아의 문화적 용광로, 한역불전 제1장 중국 역경사의 거시적 소묘제2장 중국 역경사의 명장면제3장 중국 역경사의 여적(餘適) 1: 인도불전과 한역 사이에서제4장 중국 역경사의 여적(餘適) 2 맺음말 책머리에 | 동아시아의 문화적 용광로, 한역불전20 인도불전의 역경사는 통상 구마라집과 현장을 분기점으로 삼아, 구마라집 이전의 한역을 '고역', 구마라집 이후 현장 이전의 한역을 '구역', 현장 이후의 한역을 '신역'으로 통칭한다. 고역과 구역의 차이에 관해서는 승우도 명확하게 언급하고 있다. 즉 고역은 번역자가 산스크리트어와 중국어 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