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사유 - 마르셀 그라네 지음, 유병태 옮김/한길사서론 제1부 사유의 표현 제2부 주개념 제3부 세계체계 제4부 교파와 학파 결론 그라네 당대의 중국학 주요 도서목록 그라네 사후의 중국학 주요 도서목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41 고대의 앎은 교파와 학파들이 사유의 노력을 통해 도달했던 교조철학의 기조를 이룬다. 따라서 나는 중국인이 구상했던 세계체계는 제3부의 몫으로 했다. 더욱이 체계의 핵심사상을 끌어내는 일은 사전에 중국 사유의 주개념을 분석하여 체계의 기층을 천착함으로써 다소 무난하게 진행할 수 있었다. 중국인의 우주관은 소우주론에 서 있으며, 이 이론은 중국사유가 시도한 최초의 분류체계와도 밀접하게 관계된다. 이 이론은 지극히 뿌리 깊은 믿음, 즉 인간과 자연은 분립된 두 세계의 존재가 아니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