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청동기의 신비 - 리쉐친 지음, 심재훈 옮김/학고재 한국어판 서문 머리말 1. 중국 청동기의 기원 2. 다양한 청동기의 세계 3. '땅은 보물을 소중히 여기지 않는다' 4. 청동기 발전의 오랜 역사 5. 고대사의 지하 증거 6. 도상에서 전서와 예서로 7. 신화와 현실 8. 탁월한 제작 기술 9. 미술품으로서의 특징 10. 거울, 띠고리, 도장, 화폐 11. 문화의 전파와 교류 12. 끊임없는 새로운 발견 옮긴이의 말 중국의 주요 청동기 유적지 중국사 연표 및 고대 왕조의 연표 찾아보기 머리말 10 이른바 과학적 기준에 따른 청동기 연구란 고고학적으로 발굴된 자료들 위주로 고고학 이론과 방법을 적용한 연구로, 과거의 금석학과는 전혀 다르다. 필자는 일관되게 청동기는 그 기물이 속한 전체 문화적 배경..
사기 열전 2 - 사마천 지음, 김원중 옮김/민음사 일러두기 36. 장 승상 열전 37. 역생·육고 열전 38. 부·근·괴성 열전 39. 유경·숙손통 열전 40. 계포·난포 열전 41. 원앙·조조 열전 42. 장석지·풍당 열전 43. 만석·장숙 열전 44. 전숙 열전 45. 편작·창공 열전 46. 오왕 비 열전 47. 위기·무안 후 열전 48. 한장유 열전 49. 이 장군 열전 50. 흉노 열전 51. 위 장군·표기 열전 52. 평진 후·주보 열전 53. 남월 열전 54. 동월 열전 55. 조선 열전 56. 서남이 열전 57. 사마상여 열전 58. 회남·형산 열전 59. 순리 열전 60. 급·정 열전 61. 유림 열전 62. 혹리 열전 63. 대원 열전 64. 유협 열전 65. 영행 열전 66. 골계 열..
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 근현대사 2 - 한중일3국공동역사편찬위원회 지음/휴머니스트 1장 헌법 - 국가의 구조와 민중 1. 국가의 근대화와 헌법의 탄생 2. 현대국가의 전개와 헌법 3. 오늘날의 헌법-통치 구조와 인권의 규정 2장 동아시아의 도시화 - 상하이ㆍ요코하마ㆍ부산 1. 개항과 도시의 성장 2. 세 도시의 산업화와 노동자 3. 도시화에 따른 농촌 사회 경제의 변화 4. 전후 도시의 변모 3장 철도 - 근대화와 식민지 통치 및 민중 생활 1. 동아시아의 철도 도입 2. 식민지 통치와 동아시아 철도 3. 철도와 민중의 생활 4. 1945년 이후 동아시아의 철도 4장 이민과 유학 - 사람의 이동과 교류 1. 들어오고 나간 사람들의 역사 2. 유학을 통한 문화 교류 3. 종전과 귀환, 그리고 소수자로서..
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 근현대사 1 - 한중일3국공동역사편찬위원회 지음/휴머니스트 1장 : 서양에 의한 충격과 동아시아 전통질서의 동요 1. 17세기 동아시아의 정치변동과 지역질서 2. 서구 열강의 동아시아 침략 3. 서양에 대한 동아시아의 대응 4. 동요하는 동아시아 내부 질서 2장 : 청일전쟁과 동아시아 전통질서의 해체 1. 1880년대의 동아시아의 변동과 조선 문제 2. 청일전쟁의 원인과 과정 3. 시모노세키조약과 3국 관계 3장 : 열강의 동아시아 패권 쟁탈과 러일전쟁 1. 청일전쟁 후 열강의 경쟁 구도 변화 2. 러일전쟁의 원인과 결과 3. 포츠머스조약과 동아시아 4. 동아시아 내부의 대격변 4장 : 제1차 세계대전과 워싱턴 체제 1. 제1차 세계대전과 ‘21개조 요구’ 2. 대전의 종결, ..
중국, 그 거대한 행보 - 레이 황 지음, 홍광훈. 홍순도 옮김/경당 중국판 서문:왜 '거시중국사'인가...10 영문판 서문:거시사로 본 중국의 현재...20 1.서안과 황토지대...31 2.아성과 진시황...34 3.토양,풍향,강우량...63 4.병마용의 배후...77 5.최초의 통일제국:규범의 확립...95 6.명사들이 군벌로 변신하다...117 7.장기분열의 국면...139 8.역사가 뻗어나간 시기...153 9.재통일의 과정...171 10.제2의 통일제국:실현될 수 없는 돌파의 길...189 11.북송의 대단한 실험...223 12.서호와 남송...249 13.몽골의 간주곡...227 14.명나라:내향적이고 비경쟁적인 국가...297 15.명 말기:정체된 성찰의 시대...323 16.만주족의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