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느님의 존재 - 토마스 아퀴나스 지음, 정의채 옮김/바오로딸(성바오로딸) 제1문제 거룩한 가르침에 관하여-그것이 어떤 성질의 것인지, 그리고 그것의 범위에 대하여 제2문제 신론-하느님이 존재하는가 제3문제 하느님의 단순성에 대하여 제4문제 하느님의 완전성에 대하여 제5문제 선 일반에 대하여 제6문제 하느님의 선성에 대하여 제7문제 하느님의 무한성에 대하여 제8문제 사물에 있어서의 하느님의 실재에 대하여 제9문제 하느님의 불변성에 대하여 제10문제 하느님의 영원성에 대하여 제11문제 하느님의 일체성(단일성)에 대하여 제12문제 하느님은 우리에게 어떻게 인식되는가에 대하여 제2문제 제1절 : 하느님이 존재한다는 것은 자명한 것인가 첫째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하느님이 존재한다는 것은 자명한 것으..
대이교도대전 1 - 토마스 아퀴나스 지음, 신창석 옮김/분도출판사 『대이교도대전』 해제 『대이교도대전』 제I권 해제 본문과 역주 제1장_지혜로운 자의 과업 제2장_필자가 이 저술에서 의도하는 것 제3장_신의 진리가 알려질 수 있는 방식 제4장_자연적 이성이 도달하는 신에 대한 진리는 인간이 신앙하기에도 적합하도록 주어져 있다 제5장_이성으로 탐구할 수 없는 것은 신앙으로 깨닫기에 적합하도록 인간에게 주어져 있다 제6장_신앙의 진리들이 이성을 넘어서더라도 그것들에 동의하는 것은 경솔한 짓이 아니다 제7장_이성의 진리는 그리스도교 신앙의 진리와 상반되지 않는다 제8장_인간 이성은 신앙의 진리와 어떻게 관계하는가 제9장_이 저술의 진행 순서와 방식 제10장_신이 존재한다는 것은 자명한 것이기 때문에 증명될 수..
2018년 5월 28일부터 KBS 라디오 강유원의 책과 세계에서 진행되는 선생님의 라디오 방송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www.podbbang.com/ch/16843 20180713-035 토마스 아퀴나스, 신학대전(Summa theologiae) 아퀴나스가 ‘천사 박사’(Doctor Angelicus)가 불린 까닭은 하늘의 일에 관심을 가졌다기 보다는 당시의 신학에서 현실의 확실함을 얼마나 보장하느냐가 신학이라는 학문의 견고함과 엄밀함을 보여주는 요체라 여겼기 때문이다. 천사는 하늘과 땅을 이어주는 천사가 존재였던 것이다. 토마스 아퀴나스라는 중세 신학자가 있다. 그가 쓴 책으로는 미완성으로 남은 《신학대전》이 있다. 《신학대전》, 말그대로 큰 책이다. 신학과 철학의 역사에서 토마..
자연의 원리들 - 토마스 아퀴나스 지음, 김율 옮김/철학과현실사 역자의 말1장 생성과 소멸2장 질료, 형상, 결여3장 작용인과 목적인, 원리, 원인, 요소4장 원인들의 상호관계5장 원인들의 종류6장 유 비 역자해제 역자의 말5 이 책은 토마스의 초기 저작에 속한다. 토마스가 이 책을 저술 한 시점은 대략 1252년에서 1254년 사이로 알려져 있다. 토마스가 1224년 또는 1225년에 태어 났으니, 20대 후반에 이 책을 저술한 셈이다. 이 때 토마스는 파리 대학에 서 페트루스 롬바르두스의 『명제 집』을 강의하는 명제집 강사로 활동 중이었다. 토마스는 이 책을 원래 실베스터 수사를 위해 작성했는데, 그가 누구인지 자세하게 확인된 바는 없다. 다만 당시 토마스가 머물던 생 자크 수도원의 동료 수사가 아니..
토마스 아퀴나스 - 박승찬 지음/도서출판 새길 머리말 시대적 배경 _ 13세기 스콜라 철학의 황금기 토마스 아퀴나스의 생애 및 토마스 아퀴나스 사상의 기초 및 전개 토마스 아퀴나스의 인간관과 윤리학 토마스 아퀴나스 사상의 의의 부록 - 추천할 만한 참고문헌 소개 시대적 배경 _ 13세기 스콜라 철학의 황금기 10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4/5 ~ 1274)가 활동했던 13세기는 고대 철학의 꽃을 피웠던 기원전 4-5세기와 견줄 수 있을만한 서양 중세 문화의 황금기였다. 그러나 이 황금기는 저절로 또는 갑자기 찾아 온 것이 아니다. 그것은 탐구 할 수 있는 풍부한 대상의 발견, 이를 효과적으로 연구 할 수 있는 체계적 구조, 이를 완성시킬 수 있는 훌륭한 연구자들이 어우러져 이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