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수: 사기를 읽다
- 책 밑줄긋기/책 2012-22
- 2018. 7. 8.
사기를 읽다 - 김영수 지음/유유 |
저자 서문-우리 아이에게 주는 『사기』 입문서
1강 왜 사마천과 『사기』인가
2강 『사기』 탄생의 비밀
3강 처절하고 우아한 복수의 길
4강 금기가 된 역사서
5강 『사기』의 매력
6강 언어의 보물창고, 『사기』
7강 『사기』의 경제관
8강 사마천의 여행법
저자 후기-진실의 무게에 대해 생각하다
1강 왜 사마천과 『사기』인가
48 『사기』를 보면 동양 문화의 원형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기』가 남긴 영향력이 그만큼 깊고 넓다는 이야기입니다. 『사기』의 역사 서술 체제를 기전체라 부르는데 이 역사 서술 체제가 2천 년 동안 중국과 동양 사회에 영향을 미칩니다. 『사기』는 본기, 표, 서, 세가, 열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다섯 체제 가운데에서 본기의 '기'자와 열전의 '전'자를 따서 기전체 역사 서술 체제라고 이야기합니다. 이 기전체가 다섯 체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오체제'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53 「조선 열전」은 고조선 멸망사입니다. 고조선이 몇 년도에 멸망했습니까? 기원전 108년에 멸망했습니다. 사마천은 기원전 145년에 태어났어요. 기원전 108년에 서른 여덟 살이었습니다. 이 기록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보여주는 대목이에요. 당대사 기록이란 이야기입니다. 그러니 기록이 얼마나 생생하겠습니까?
2강 『사기』 탄생의 비밀
60 춘추 전국 시대는 기원전 770년부터 시작합니다. 진시황이 천하를 통일한 연도는 기원전 221년입니다. 그러니까 춘추 전국 시대는 550년간 지속된 셈이지요.
61 중국 사람들은 춘추 전국 시대라는 이 550년 동안 경험 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다 경험합니다. 기록에 남은 전쟁만 5백 차례이고, 오늘날의 UN 같은 국제기구가 있어서 국제 회담만 480차례 정도 열립니다.
62 유방이 한나라를 건국하고 60~70년 정도 지나면서 무제 때 황금기를 이루자 이전의 역사를 정리 할 수 있는 기본 조건이 갖춰졌습니다. 바로 이때 사마천이라는 인재가 나타나 『사기』를 쓴 겁니다. 무제 때에는 과거의 역사를 정리해야겠다는 분위기가 팽배했습니다.
4강 금기가 된 역사서
123 열전에는 별의별 사람이 다 나옵니다. 사마천은 이런 인간의 중요한 행적들을 열전으로 남김으로써 역사의 주체가 인간이라는 사실을 뼈 저리게 인식하도록 만듭니다.
123 열전은 『사기』 130 권 가운데 70권을 차지합니다. 「태사공자서」를 빼면 69권입니다. 여기에는 고지식하고 기득권에 안주하는 극우 보수주의자들에게 비난 받을 요소가 넘쳐납니다.
5강 『사기』의 매력
145 중국의 역사서 가운데 기전체를 대표하는 것은 『사기』지요. 그리고 편년체를 대표하는 역사서는 사마천 이전에 『춘추』가 있었고, 사마천 이후에는 『자치통감』이 있습니다. 『자치통감』은 전국 시대부터 송나라 직전에 존재했던 나라까지, 1천 년이 넘는 긴 세월을 다루고 있는 방대한 편 년체 통사입니다.
8강 사마천의 여행법
270 중국 사람들은 여행을 글자 없는 책, '무자지서'라고 이야기합니다. 독서가 이성을 단련하는 수단이라면 여행은 감성을 단련하는 수단입니다. 인간의 감성과 이성이 조화를 이룰 때 가장 인간다운 인간이 되듯이 사마천의 여행 또한『사기』에 이러한 균형 감각을 불어 넣었습니다. 『사기』의 성공은 여행의 성공에서 비롯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여행 자체가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270 사마천은 스무 살 때 천하를 유람합니다. 중국 전문가들은 건장한 나이에 세상을 유력했다 하여 20세 장유라고 표현합니다. 기록에 남아있는 여행만 7차례 내지 8차례 정도 됩니다. 그 밖에 기록에 남아있지 않은 여행까지 합하면 상당히 많은 여행을 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책 밑줄긋기 > 책 2012-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라톤: 크라튈로스 (0) | 2018.07.18 |
---|---|
이시다 미키노스케: 장안의 봄 (0) | 2018.07.16 |
후카이 토모아키: 신학을 다시 묻다 ━ 사회사를 통해 본 신학의 기능과 의미 (0) | 2018.07.13 |
게르트 타이센: 역사적 예수 (0) | 2018.07.11 |
양자오: 노자를 읽다 (0) | 2018.07.05 |
플라톤: 뤼시스 (0) | 2018.07.04 |
이나가키 료스케: 토마스 아퀴나스 신학대전 새로알기 (2) | 2018.07.02 |
장 자크 루소: 사회계약론 (0) | 2018.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