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2012.7 강의21강: 삼위일체와 신화(神化, theosis, deification), 헬레니즘적 기독교의 가톨릭으로의 전개, Augustinus의 기본 사상22강: «고백록confessiones»의 구조와 성격23강: «고백록confessiones» 읽기24강: 안셀무스, 아벨라르두스, 베르나르두스 20120720 23강: «고백록confessiones» 읽기 * 1권 1장 1절- 1권1장1절이 고백록 전체의 내용을 포괄할 뿐만 아니라 중세철학 전체, 가톡릭 교회 전체를 포괄하고 있다. 오, 주님, 당신은 위대하시니 크게 찬양을 받으실 만합니다. 당신의 능력은 심히 크시고 당신의 지혜는 헤아릴 수 없습니다.Magnus es, Dom..
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2012.7 강의21강: 삼위일체와 신화(神化, theosis, deification), 헬레니즘적 기독교의 가톨릭으로의 전개, Augustinus의 기본 사상22강: «고백록confessiones»의 구조와 성격23강: «고백록confessiones» 읽기24강: 안셀무스, 아벨라르두스, 베르나르두스 20120713 22강: «고백록confessiones»의 구조와 성격* 고백록아주 탁월한 라틴어로 쓰여있다.고해(고백)과 찬미.인생의 절정기인 42살에 쓰기시작 (A.D 397-400) - 예술 작품을 보는 이유상상할 수 없는 탁월한 경지를 보여준다. 보는 순간 내 존재가 얼마나 미약한가를 느끼고, 내가 얼마나 하찮은 존재인가를 자각하..
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2012.7 강의 21강: 삼위일체와 신화(神化, theosis, deification), 헬레니즘적 기독교의 가톨릭으로의 전개, Augustinus의 기본 사상 22강: «고백록confessiones»의 구조와 성격 23강: «고백록confessiones» 읽기 24강: 안셀무스, 아벨라르두스, 베르나르두스 20120706 21강: 삼위일체와 신화(神化, theosis, deification), 헬레니즘적 기독교의 가톨릭으로의 전개, Augustinus의 기본 사상 * 철학적 목표데카르트에 따르면 중요한 것은 clear and distinct 명석 판명한 앎. 근대철학에선 이것이 철학의ㅡ목표이기도 함.플라톤의 철학적 사색의 목표는 어..
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2012.6 강의 17강: 철학·사상의 보편화, 서양과 중국 존재론의 근본구도 18강: Gottesnähe(신의 임재臨在), 헬레니즘적 기독교, Paul의 성취, “gaudium et spes” 19강: 기독교의 사회철학적 의의, 새로운 문화적 정체성의 성립 문제, 필론(Philon)의 시도 20강: 학문적 크레딧(scientific credit)과 호칭, Plotinos의 철학: 존재의 대연쇄, 유출, 영혼의 역할 20120629 20강: 학문적 크레딧(scientific credit)과 호칭, Plotinos의 철학: 존재의 대연쇄, 유출, 영혼의 역할* scientific credit 학문적 신용, 신용자본나홀로 볼링 >> 사회적..
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2012.6 강의 17강: 철학·사상의 보편화, 서양과 중국 존재론의 근본구도 18강: Gottesnähe(신의 임재臨在), 헬레니즘적 기독교, Paul의 성취, “gaudium et spes” 19강: 기독교의 사회철학적 의의, 새로운 문화적 정체성의 성립 문제, 필론(Philon)의 시도 20강: 학문적 크레딧(scientific credit)과 호칭, Plotinos의 철학: 존재의 대연쇄, 유출, 영혼의 역할 20120622 19강: 기독교의 사회철학적 의의, 새로운 문화적 정체성의 성립 문제, 필론(Philon)의 시도4) 기독교의 사회철학적 의미(지난주에 이어)- 사랑이라는 주제로 세상을 파악하고(이해하고) 동시에 개인적 차..
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2012.6 강의 17강: 철학·사상의 보편화, 서양과 중국 존재론의 근본구도 18강: Gottesnähe(신의 임재臨在), 헬레니즘적 기독교, Paul의 성취, “gaudium et spes” 19강: 기독교의 사회철학적 의의, 새로운 문화적 정체성의 성립 문제, 필론(Philon)의 시도 20강: 학문적 크레딧(scientific credit)과 호칭, Plotinos의 철학: 존재의 대연쇄, 유출, 영혼의 역할 20120617 18강: Gottesnähe(신의 임재臨在), 헬레니즘적 기독교, Paul의 성취, “gaudium et spes”* 사도 바울로 218-222 교재 복습할 것* 강의에서 인용한 성경 자료: http://g..
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2012.6 강의 17강: 철학·사상의 보편화, 서양과 중국 존재론의 근본구도 18강: Gottesnähe(신의 임재臨在), 헬레니즘적 기독교, Paul의 성취, “gaudium et spes” 19강: 기독교의 사회철학적 의의, 새로운 문화적 정체성의 성립 문제, 필론(Philon)의 시도 20강: 학문적 크레딧(scientific credit)과 호칭, Plotinos의 철학: 존재의 대연쇄, 유출, 영혼의 역할 20120608 17강: 철학·사상의 보편화, 서양과 중국 존재론의 근본구도1) 동서 존재론의 차이 동양의 사유과 서양의 사유의 근본적인 차이는 어디에서 오는가?- 도법자연 道法自然 : 동양의 도내재론 = 도일원론 노자 2..
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2012.5 강의13강: nous철학의 종언, Epikouros의 철학: tetrapharmakon, Lucretius의 철학시(哲學詩), Stoa철학: Marcus Aurelius의 «명상록», 18세기 이신론(理神論)14강: 세계(Welt)/ 세계상(Weltbild)/ 세계관(Weltanschauung), 인도의 종교들: 힌두교, 자이나교15강: 인도불교, 중국 사상의 기본개념, 중국의 종교들: 유교, 도교, 불교16강: 조로아스터교, 유대교, 초기 기독교, 이슬람교 20120525 16강: 조로아스터교, 유대교, 초기 기독교, 이슬람교교재 목차: 동양의 지혜 2-공자와 유교 / 동양의 지혜 3- 노자, 장자, 도교 / 페르시아의 ..
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2012.5 강의13강: nous철학의 종언, Epikouros의 철학: tetrapharmakon, Lucretius의 철학시(哲學詩), Stoa철학: Marcus Aurelius의 «명상록», 18세기 이신론(理神論)14강: 세계(Welt)/ 세계상(Weltbild)/ 세계관(Weltanschauung), 인도의 종교들: 힌두교, 자이나교15강: 인도불교, 중국 사상의 기본개념, 중국의 종교들: 유교, 도교, 불교16강: 조로아스터교, 유대교, 초기 기독교, 이슬람교 20120518 15강: 인도불교, 중국 사상의 기본개념, 중국의 종교들: 유교, 도교, 불교교재 목차: 동양의 지혜 1-힌두교, 자이나교, 불교 / 동양의 지혜 2-..
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2012.5 강의13강: nous철학의 종언, Epikouros의 철학: tetrapharmakon, Lucretius의 철학시(哲學詩), Stoa철학: Marcus Aurelius의 «명상록», 18세기 이신론(理神論)14강: 세계(Welt)/ 세계상(Weltbild)/ 세계관(Weltanschauung), 인도의 종교들: 힌두교, 자이나교15강: 인도불교, 중국 사상의 기본개념, 중국의 종교들: 유교, 도교, 불교16강: 조로아스터교, 유대교, 초기 기독교, 이슬람교 20120511 14강: 세계(Welt)/ 세계상(Weltbild)/ 세계관(Weltanschauung), 인도의 종교들: 힌두교, 자이나교교재 목차: 종교와 정신성-..
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2012.5 강의13강: nous철학의 종언, Epikouros의 철학: tetrapharmakon, Lucretius의 철학시(哲學詩), Stoa철학: Marcus Aurelius의 «명상록», 18세기 이신론(理神論)14강: 세계(Welt)/ 세계상(Weltbild)/ 세계관(Weltanschauung), 인도의 종교들: 힌두교, 자이나교15강: 인도불교, 중국 사상의 기본개념, 중국의 종교들: 유교, 도교, 불교16강: 조로아스터교, 유대교, 초기 기독교, 이슬람교 20120504 13강: nous철학의 종언, Epikouros의 철학: tetrapharmakon, Lucretius의 철학시(哲學詩), Stoa철학: Marcus ..
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2012.4 강의09강: Platon의 ‘좋음’의 형이상학: 좋음(agathon), 내 것(oikeion), 불멸(athanathon), ‘eros의 사다리’10강: Sokrates와 Alkibiades(«향연», 212c-222b)11강: Aristoteles의 형상내재론(形相內在論), 학문의 분류: 이론학, 실천학, 제작학12강: Aristoteles의 운동(kinesis)개념: dynamis(뒤나미스, 잠재태), entelecheia, energeia(엔텔레케이아, 에네르게이아, 현실태) 20120427 12강: 12강: Aristoteles의 운동(kinesis)개념: dynamis(뒤나미스, 잠재태), entelecheia, ..
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2012.4 강의09강: Platon의 ‘좋음’의 형이상학: 좋음(agathon), 내 것(oikeion), 불멸(athanathon), ‘eros의 사다리’10강: Sokrates와 Alkibiades(«향연», 212c-222b)11강: Aristoteles의 형상내재론(形相內在論), 학문의 분류: 이론학, 실천학, 제작학12강: Aristoteles의 운동(kinesis)개념: dynamis(뒤나미스, 잠재태), entelecheia, energeia(엔텔레케이아, 에네르게이아, 현실태) 20120420 11강: Aristoteles의 형상내재론(形相內在論), 학문의 분류: 이론학, 실천학, 제작학 교재 목차: 철학자 중의 철학자..
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2012.4 강의09강: Platon의 ‘좋음’의 형이상학: 좋음(agathon), 내 것(oikeion), 불멸(athanathon), ‘eros의 사다리’10강: Sokrates와 Alkibiades(«향연», 212c-222b)11강: Aristoteles의 형상내재론(形相內在論), 학문의 분류: 이론학, 실천학, 제작학12강: Aristoteles의 운동(kinesis)개념: dynamis(뒤나미스, 잠재태), entelecheia, energeia(엔텔레케이아, 에네르게이아, 현실태) 20120413 10강: Sokrates와 Alkibiades(«향연», 212c-222b)교재 목차: 플라톤-형이상학자 혹은 숭고한 해학가? ..
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2012.4 강의09강: Platon의 ‘좋음’의 형이상학: 좋음(agathon), 내 것(oikeion), 불멸(athanathon), ‘eros의 사다리’10강: Sokrates와 Alkibiades(«향연», 212c-222b)11강: Aristoteles의 형상내재론(形相內在論), 학문의 분류: 이론학, 실천학, 제작학12강: Aristoteles의 운동(kinesis)개념: dynamis(뒤나미스, 잠재태), entelecheia, energeia(엔텔레케이아, 에네르게이아, 현실태) 20120406 Platon의 ‘좋음’의 형이상학: 좋음(agathon), 내 것(oikeion), 불멸(athanathon), ‘eros의 사..
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2012.3 강의5강: 근본범주들/ 형이상학: 자체(kath’auto)에 대한 사유/ 상대적 nomos와 절대적 nomos6강: Sokrates: 방법론, 적극적 주장, Platon과의 구별7강: Sokrates의 성취와 한계, Platon의 계승/ Idea론[形相論]8강: Platon의 ‘동굴의 비유’: 고개돌림(periagōgē), 오름(anabasis), 내려가기(katabainein), ‘지혜를 사랑하는 사람-통치자’와 실정성(Positivität) 20120330 8강: Platon의 ‘동굴의 비유’: 고개돌림(periagōgē), 오름(anabasis), 내려가기(katabainein), ‘지혜를 사랑하는 사람-통치자’와 실..
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2012.3 강의5강: 근본범주들/ 형이상학: 자체(kath’auto)에 대한 사유/ 상대적 nomos와 절대적 nomos6강: Sokrates: 방법론, 적극적 주장, Platon과의 구별7강: Sokrates의 성취와 한계, Platon의 계승/ Idea론[形相論]8강: Platon의 ‘동굴의 비유’: 고개돌림(periagōgē), 오름(anabasis), 내려가기(katabainein), ‘지혜를 사랑하는 사람-통치자’와 실정성(Positivität) 20120323 7강: Sokrates의 성취와 한계, Platon의 계승/ Idea론[形相論]교재 목차: 플라톤-형이상학자 혹은 숭고한 해학가? / 철학자 중의 철학자-아리스토텔레..
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2012.3 강의 5강: 근본범주들/ 형이상학: 자체(kath’auto)에 대한 사유/ 상대적 nomos와 절대적 nomos6강: Sokrates: 방법론, 적극적 주장, Platon과의 구별7강: Sokrates의 성취와 한계, Platon의 계승/ Idea론[形相論]8강: Platon의 ‘동굴의 비유’: 고개돌림(periagōgē), 오름(anabasis), 내려가기(katabainein), ‘지혜를 사랑하는 사람-통치자’와 실정성(Positivität) 20120316 6강: Sokrates: 방법론, 적극적 주장, Platon과의 구별 교재 목차: 소크라테스 플라톤의 대화편을 저작순서대로 하자면 초기 대화편: 에우튀프론, 소크라..
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2012.3 강의5강: 근본범주들/ 형이상학: 자체(kath’auto)에 대한 사유/ 상대적 nomos와 절대적 nomos6강: Sokrates: 방법론, 적극적 주장, Platon과의 구별7강: Sokrates의 성취와 한계, Platon의 계승/ Idea론[形相論]8강: Platon의 ‘동굴의 비유’: 고개돌림(periagōgē), 오름(anabasis), 내려가기(katabainein), ‘지혜를 사랑하는 사람-통치자’와 실정성(Positivität) 20120309 5강: 근본범주들/ 형이상학: 자체(kath’auto)에 대한 사유/ 상대적 nomos와 절대적 nomos교재 목차: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자들 2-기초 질서 공부를..
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2012.2 강의 1강: 철학이란 무엇인가/ 철학사는 무엇인가/ 한국에서 철학사를 읽는 이유 2강: ‘축(軸)의 시대’와 사상사적 전환/ ‘대우주(大宇宙)-소우주(小宇宙) 모형’의 의미 3강: 철학, 신화, 종교, 과학/ 희랍철학의 원류들과 고유한 형성 4강: 희랍철학의 전개/ 자연철학자들/ Thoukydides의 의의 20120224 4강: 희랍철학의 전개/ 자연철학자들/ Thoukydides의 의의 교재 목차: 최초의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자들 1- 세계의 질료 희랍철학에는 여러 종류의 사유 모형이있었다 1) 형이상학(metaphysika) : 피타고라스, 파르메니데스, 헤라클레이토스 2) 자연학(physika)..
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2012.2 강의1강: 철학이란 무엇인가/ 철학사는 무엇인가/ 한국에서 철학사를 읽는 이유2강: ‘축(軸)의 시대’와 사상사적 전환/ ‘대우주(大宇宙)-소우주(小宇宙) 모형’의 의미3강: 철학, 신화, 종교, 과학/ 희랍철학의 원류들과 고유한 형성4강: 희랍철학의 전개/ 자연철학자들/ Thoukydides의 의의 20120217 3강: 철학, 신화, 종교, 과학/ 희랍철학의 원류들과 고유한 형성 교재 목차: 철학, 신화, 종교, 그리고 과학신화라고 하는 것은 신화적인 설명과 철학적인 합리성을 기준으로 하지만 엄밀하게 구분 할 수 없다.합리적인 설명이라고 하여도 철저하게 물질적인 것일 수도 있고, 관념적인 것일 수도 있다. 유물론적인 세..
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2012.2 강의1강: 철학이란 무엇인가/ 철학사는 무엇인가/ 한국에서 철학사를 읽는 이유2강: ‘축(軸)의 시대’와 사상사적 전환/ ‘대우주(大宇宙)-소우주(小宇宙) 모형’의 의미3강: 철학, 신화, 종교, 과학/ 희랍철학의 원류들과 고유한 형성4강: 희랍철학의 전개/ 자연철학자들/ Thoukydides의 의의 20120210 2강: ‘축(軸)의 시대’와 사상사적 전환/ ‘대우주(大宇宙)-소우주(小宇宙) 모형’의 의미교재 목차: '축(軸)의 시기'와 철학의 기원축의 시대: 싯다르타, 공자, 노자, 조로아스터 29 자라투스트라에 따르면, 선과 악이 함께 우리 모두의 안에서 태어났다. 그는 오래전 북아프리카에서 성 아우구스티누스가 이 문..
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2012.2 강의1강: 철학이란 무엇인가/ 철학사는 무엇인가/ 한국에서 철학사를 읽는 이유2강: ‘축(軸)의 시대’와 사상사적 전환/ ‘대우주(大宇宙)-소우주(小宇宙) 모형’의 의미3강: 철학, 신화, 종교, 과학/ 희랍철학의 원류들과 고유한 형성4강: 희랍철학의 전개/ 자연철학자들/ Thoukydides의 의의 20120203 1강: 철학이란 무엇인가/ 철학사는 무엇인가/ 한국에서 철학사를 읽는 이유교재 목차: '축(軸)의 시기'와 철학의 기원 23 기원전 6세기와 4세기 사이에, 지구상의 몇몇 광대한 지역에서 중대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지중해의 북쪽, 남쪽 및 동쪽 지역에서, 또 중국과 인도에서, 그리고 그 사이에 있는 지역..
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2012년에 진행된 강유선 선생님의 서약철학사강의를 녹음파일을 듣고 정리한다. 목차 01강: 철학이란 무엇인가/ 철학사는 무엇인가/ 한국에서 철학사를 읽는 이유 02강: ‘축(軸)의 시대’와 사상사적 전환/ ‘대우주(大宇宙)-소우주(小宇宙) 모형’의 의미 03강: 철학, 신화, 종교, 과학/ 희랍철학의 원류들과 고유한 형성 04강: 희랍철학의 전개/ 자연철학자들/ Thoukydides의 의의 05강: 근본범주들/ 형이상학: 자체에 대한 사유/ 상대적 nomos와 절대적 nomos 06강: Sokrates: 방법론, 적극적 주장, Platon과의 구별 07강: Sokrates의 성취와 한계, Platon의 계승/ Idea론[形相論] 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