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함경 - 마스타니 후미오 지음, 이원섭 옮김/현암사 지은이의 말1. 그 사람2. 그 사상3. 그 실천 지은이의 말6 전과는 다른 시각으로 불교를 연구하여 경전 비판을 새롭게 한 결과 이 『아함경』(한역의 네 아함경도 포함)만이 근본 성전임을 주장할 수 있게 되었다. 오늘날 불교 연구를 하고자 할 때, 붓다의 가르침을 그 원래의 형태대로 전하는 경전으로서 학문적으로 음미할 만한 것은 이 경전들 외에는찾아볼 수 없다. 일찍이 붓다는 무엇을 설했던가, 그리고 어떻게 말했던가, 그것을 있던 그대로 알고자 한다면 이 경전으로 달려갈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지금까지 이 경전을 돌보지 않았던 중국과 일본 불교인들은 원시 불교 즉 붓다의 사람됨과 그 사상의 진상을 전혀 몰랐던 것이라고 아니 할 수 없다. 또 오랫동안..
한글 아함경 - 고익진 엮음/담마아카데미 고익진: 한글 아함경1. 수행본기경2. 불설중본기경3. 반니원경4. 아함경정선 범례4. 아함경정선은 편자가 장·중·잡·중일 4아함에서 중요한경전을 정선하여 정연한 교리적 체계로 새로 엮은 것이다. 아함경은 장아함 22권, 중아함 60권, 잡아함 50권, 중일아함 51권, 총 183권에 이르는 방대한 양일뿐만 아니라, 교리를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잡아함은 현재 권수가 흐트러진 착간의 상태로 전해지고 있어, 초학자를 위해서는 아함경을 그렇게 새로 엮을 필요가 있는 것이다. 5. 아함경정선의 맨 처음에 외도를 비판하는 경전들을 모았는데, 이것은 불교가 당시 인도의 여러 가지 잘못된 종교사상을 비판하는 데에서부터 시작한 것이므로, 불교를 바로 이해하는 것도 거기에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