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기 20분 | 중국정치사상사 | 27 주례의 국가 체제 사상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 - 상 - 10점
유택화 지음, 장현근 옮김/동과서


Reading_20min_20150713: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上)-27

周禮(주례) 중의 국가 체제 사상

문헌 성립 사정

- 西漢 河間獻王 劉德(서한 하간헌왕 류덕)이 민간에서 수집해온 고서. 국가체제와 관리의 직무에 관한 내용.

- 관리를 6대 계통(天官冢宰 地官司徒 春官宗伯 夏官司馬 秋官司寇 冬官考工記)(천관총재 지관사도 춘관종백 하관사마 추관사구 동관고공기)으로 나누고 이 관제를 이용하여 각종 제도와 연계시킨다.

- 서주 초기 周公이 ‘制禮作樂’(제례작악)하여 얻어진 것이라 전해진다.

- 전국시대 이후의 작품으로 보는 것이 사실에 가깝다.

- 국가체계에 관한 설계도이며, 그 가운데 수많은 고대 자료가 흡수되어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어떤 국가기구를 설립해야 군주전제의 수요에 더욱 적절한가에 관한 답을 내놓으려 한 것이다.

- 구체적 제도가 끼친 영향을 제한적이나 군주전제의 정신은 중국 고대정치에 상당한 영향을 까쳤다.


군주전제의 정치사상

- "오직 왕만이 나라를 세우며, 방위 배열을 바로 하며, 국내외 경계와 강역을 구분지으며, 관직을 설치하여 직무를 규정하며, 그로써 백성을 위해 준칙을 마련한다. 惟王建國 辨方正位 體國經野 設官分職 以為民極"(周禮 天官冢宰)

- "앉아서 도를 논하는 것 坐而論道"(周禮 冬官考工記)


禮와 刑

- 모든 관리의 기본적이고 공통적인 직무는 예의 수호와 형벌의 시행이다.

- 大宗伯(대종백)이 전적으로 예를 관장하지만, 사실상 예는 주례 전체를 꿰뚫고 있어서 각 조직과 관리들은 모두 예를 반드시 수호하며 예에 입각해 일을 처리해야 했으며, 책 전체에 예를 언급하지 않은 곳이 없다.

- 예는 습속일 뿐만 아니라 행정규정이며, 양자가 하나로 합해지기도 한다.

- 예와 형은 국가의 정치적 기능이 핵심적으로 구체화된 것으로 양자가 서로 배합하고 보완했을 때 통치자는 비로소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結語

“주례는 국가의 정치체제를 논술한 가장 완벽하고 가장 체계적인 저작… 관리의 직책 규정을 보면 단순히 국왕에게 일률적으로 아첨하고 순응하며 받들기만을 요구하고 있지는 않다. 오히려 관리들에게 왕명의 존중, 직책의 준수, 민중에 대한 돌봄 등 삼자를 결합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 요구는 왕권을 공고히 하고 통치질서를 안정시키는 데 매우 필요한 것이었다.”






오늘은 유가 정치사상에서 맨 마지막 항목에 해당하는 주례의 국가 체제 사상을 읽는다. 주례는 주희의 주자가례와 혼동될 수 있는데 그것이 아니라 이 문헌은 서한 무렵에 만들어진 것이다. 우리가 유가라고 하면 공자·맹자의 말씀으로만 여긴다. 대개 한국에서 유가라고 하면 조선시대 널리 퍼졌던 또는 통용되었던 성리학적 세계관과 그것에 근거한 여러 가지 정치기구나 관행을 생각하기 쉽다.  그런데 그것은 우리생각이고 유가는 일단 공자와 맹자의 이야기를 지나가고 나면 현실세계와 아주 긴밀하게 교감하는 정치사상이었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정치제도 또는 국가기구에 관한 논의들이 유가에서는 더 중요한 것이 아닐까 한다. 


유가의 특징을 잘 드러내는 것이 공자의 말이라고 하는데 공자의 사상은 그것대로 좋고 중요하지만 정치사상이 아닌 정치학의 영역, 구체적인 실행기구의 영역으로 들어올 때는 법가나 유가나 굉장히 강력한 힘을 갖는다. 이런 점을 놓쳐서는 안된다. 그런 점을 본다면 주례라는 텍스트는 많이 거론되지 않는다. 그래도 유가에서는 반드시 다루어야 할 텍스트이다. 


주례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기로는 서한 하간헌왕 류덕이 민간에서 수집해온 고서라고 한다. 국가체제와 관리의 직무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관리를 6대 계통으로 나누고 이 관제를 이용하여 각종 제도와 연계시킨다. 문헌이 전해진 역사를 살펴보면 서주 초기 주공이 제례작악하여 얻어진 것이라 전해진다. 서주 초기라고 하는 것은 문헌이 얼마나 오래되었는가를 정당화하기 위해 내놓은 것이고 실제로는 전국시대 이후의 작품으로 보는 것이 사실에 가깝다고 한다. 그러니까 국가체계에 관한 설계도이며, 그 가운데 수많은 고대 자료가 흡수되어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다보니 이 텍스트가 제도를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들에게는 관심있게 받아들여졌다. 


군주전제의 기본적인 정치사상인데 서문에 "오직 왕만이 나라를 세우며, 방위 배열을 바로 하며, 국내외 경계와 강역을 구분 지으며, 관직을 설치하여 직무를 규정하며, 그로써 백성을 위해 준칙을 마련한다."고 말하고 있고 군주는 무엇을 하는 자인가에 대해 "앉아서 도를 논하는 것"이라 말하고 있다.


주례라고 하는 책 안에 들어있는 정신이 무엇인가, 어떤 점에서 유가의 텍스트로 분류될 수 있는가를 생각해보면 모든 관리의 기본적으로 예를 수호해야 한다는 것을 공통적인 직무로 삼고 있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사실상 예는 주례 전체를 꿰뚫고 있어서 각 조직과 관리들은 모두 예를 반드시 수호하며 예에 입각해 일을 처리해야 했으며, 책 전체에 예를 언급하지 않은 곳이 없다. 예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습속일 뿐만 아니라 행정규정이며, 양자가 하나로 합해지기도 한다. 예와 형은 국가의 정치적 기능이 핵심적으로 구체화된 것으로 양자가 서로 배합하고 보완했을 때 통치자는 비로소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총결로 주례라는 책은 국가의 정치체제를 논술한 가장 완벽하고 가장 체계적인 저작이다. 관리의 직책 규정을 보면 단순히 국왕에게 일률적으로 아첨하고 순응하며 받들기만을 요구하고 있지는 않다. 오히려 관리들에게 왕명의 존중, 직책의 준수, 민중에 대한 돌봄 등 삼자를 결합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 요구는 왕권을 공고히 하고 통치질서를 안정시키는 데 매우 필요한 것이었다.


이제 세 번째 파트인 법가에 들어갈 차례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