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기 20분 | 중국정치사상사 | 49 묵자의 상현론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 - 하 - 10점
유택화 지음, 장현근 옮김/동과서


Reading_20min_20151214: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下)-49

墨子의 尚賢說(상현론)

尚賢說

- 전국 초기 사들은 정무에 참여하고자 하였으나 정권은 대귀족들이 장악하고 있었다. 이에 대한 묵자의 비판

- “천척이면 시키고 별다른 이유없이 부귀하고, 얼굴이 곱상하면 시키는 것 親戚則使之 無故富貴 面目佼好則使之”(墨子, 尚賢中)

- 용인의 원칙 “능력있는 사람을 씀으로써 다스려진다. 使能以治之”(墨子, 尚賢中)

- 상현의 대상은 당시의 지식계층인 士

- “현량한 사는 덕행이 두텁고 담론을 잘하며 도술에 박식하다. 이들이야말로 국가의 보배이며 사직의 보좌이다. 賢良之士厚乎德行 辯乎言談 博乎道術者乎 此固國家之珍 而社稷之佐也”(墨子, 尚賢上)

- 賢能(현능)은 위아래를 조화시킬 수 있는 사람, 멸사봉공으로 법을 지키고 직무를 다하는 청백리

- “상현은… 정무의 근본 尚賢者… 而政事之本也”(墨子, 尚賢下)


상현의 三本

- “작위가 높지 않으면 백성들이 존경하지 않는다. 작록이 두텁지 않으면 백성들이 믿지 않는다. 정치명령이 단호하지 않으면 백성들이 두려워하지 않는다. 爵位不高則民不敬也 蓄祿不厚則民不信也 政令不斷則民不畏也”(墨子, 尚賢中)

- “부귀하게 해주고, 존귀하게 해주고, 존경해주고 명예롭게 해준 뒤라야 어진 선비들을 등용할 수 있다. 貴之 敬之 譽之 然后國之善射御之士 將可得而衆也”(墨子, 尚賢上)


節用說(절용설)

- “재화의 생산은 풍성하게, 사용은 절약하라. 其生財密 其用之節也”(墨子, 七患)

- 당시의 역사적 조건에서 통치자가 생산을 파괴한 것은 무도한 사치와 무거운 염출로 인한 것이었다.


非攻說(비공설)

- 攻은 단순히 전쟁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라 義나 利에 합치하지 않는 모든 행위를 가리킨다.

- 이와 의와 합치하는 것은 誅(주)이다.

- “지금 능력이 있어서 의라는 이름으로 천하에 우뚝 서고 덕으로 제후들을 구하려는 사람이 있다면, 천하의 복종을 서서 기다려도 될 것이다. 今若有能以義名立於天下 以德求諸侯者 天下之服可立而待也”(墨子, 非攻下)


결어

- 묵자의 기본 주장은 “위아래의 조화 上下調和”(墨子, 節葬下)이다.

- “위에서는 정치를 하고, 아래에서는 (그것으로) 풍속을 삼는다. 上以為政 下以為俗”(墨子, 節葬下)

- “위에서 정치를 바꾸면, 백성을 교화내용을 바꾼다. 上變政而民易教”(墨子, 非命中)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下) 47~49는 묵자에 대한 내용으로 2015년 12월 녹음되어 당시 배포가 되었으나 현재 녹음파일을 가지고 있지 않아 위 요약 내용만을 적어놓는다. 이것으로 2014년에 진행된 책읽기20분 「중국정치사상사」 정리를 끝낸다.


+ '큐어'님이 녹음파일을 공유해 주셔서 강의를 끝까지 들을 수 있었다. 녹음파일을 듣고 옮겨적는다.



중국정치사상사를 마지막으로 읽는다. 귀속적 지위와 획득적 지위를 구별해서 나눠볼 수 있다면 묵자는 귀속적 지위를 가진 가지들이 정치를 해서는 안된다고 얘기했다. 그러면 당연하게도 사람을 쓰는 원칙이라는 것은 능력 있는 사람을 씀으로써 다스려진다. 능력있는 사람을 쓴다는 것이 당대 관행이 아니었고 거기에 도전이었음을 주목해볼 필요가 있겠다. 일단 능력 있는 사람들이 그 자리에 올라가면 그 사람들이 또 하나의 일종의 귀족적인 견고한 연대를 만들다. 또다시 별다른 이유 없이 친척이면 시키는 일이 생겨난다. 귀족적인 것으로 나아가는 것도 어느 정도 필요하다. 카르텔을 깨뜨리는 것, 견고한 연대를 깨뜨리는 것이 쉽지 않다. 묵자의 주장뿐만 아니라 이 당시 현명한 자를 등용해야 한다는 얘기는 전국시대에 충격적인 발언이다. 어쨌든 묵자뿐만 아니라 중국정치사상사 선진편을 마무리하면서 보면 현명한 자를 등용해야 한다는 말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총괄적으로 생각해 봐야 한다. 아무리 공자가 주나라의 정치를 따르겠다고 해도 귀족정을 따르겠다는 것은 아니었다. 공부하는 사람이 등용되어야 했던 것이고, 물론 그 와중에도 체제는 주체제여야 했던 것인데, 묵자가 그보다도 더 급진적이었던 것은 주나라 정치체제를 본받을 필요 없다고 한 것. 그래서 - "현량한 사는 덕행이 두텁고 담론을 잘하며 도술에 박식하다. 이들이야말로 국가의 보배이며 사직의 보좌이다." 그리고 그들은 위아래를 조화시킬 수 있는 사람, 멸사봉공으로 법을 지키고 직무를 다한다. 사에 대한 칭송이 자자하다. 현명한 지식인을 숭상하는 것은 정무의 근본이다 라는 것이 묵자가 가지고 있는 핵심적인 주장이다.


그러면 그런 사람을 어떻게 등용할 것인가. 우선 "작위가 높지 않으면 백성들이 존경하지 않는다. 작록이 두텁지 않으면 백성들이 믿지 않는다. 정치명령이 단호하지 않으면 백성들이 두려워하지 않는다." 그러려면 작위, 작록, 정치명령이 삼본인데 그런 사람들을 "부귀하게 해주고, 존귀하게 해주고, 존경해주고 명예롭게 해준 뒤라야 어진 선비들을 등용할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런 사람들이 정계에 진입하도록 길을 트면 자연스럽게 새로운 관료집단이 형성될 테고 그리하여 관료정치를 실현하게 된다. 귀족정치에 대립되는 말이 관료정치이다. 이때 귀속적 지위를 만들어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그 다음에 묵자는 절용설을 말했다. "재화의 생산은 풍성하게, 사용은 절약하라"는 원칙에 따라서 물질 생산을 중시했고, 동시에 당대 국력의 원천이라고 할 수 있는 인구의 증가를 장려했다. 묵자의 절용설들은 꽤나 실용적인 것이고, 유념해서 봐둘 것이 많이 있다. 나라가 살기 어려워 지는 것이 사실은 일부러 통치자가 생산시설을 파괴한다기 보다는 쓸데없는 것에 돈을 쓰는 데에 있다. 이것이 경제적인 얘기이고, 비공에 관한 얘기가 있는데 여기서 攻은 단순히 전쟁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라 義나 利에 합치하지 않는 모든 행위를 가리킨다. 의롭지 않고 이익도 안되는데 하는 짓이 모두 공이다. 따라서 비공이라고 하면 전쟁에 대한 반대라고 좁게 이해하면 안된다. 이와 의와 합치하는 것은 誅(주)라고 얘기한다. 묵자가 공을 비난한 까닭은 쓸데없이 그렇게 해서 사유재산을 침해하고 장거리로 군대를 보내야 하니 소모가 심하고 그것이 당연히 백성들에게 손해가 있을 뿐이지 이롭지 못하다는 것을 염두에 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묵자가 사유재산을 옹호했다고 하는 것은 왕의 재산만이 아니라 특권을 가지고 있지 않았던 작은 집안들을 옹호했다는 것으로 좁혀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유택화 교수는 이야기한다. 똑같은 단어라도 누가 주장했는지 봐야 하고, 어떤 사람이 어떤 시대에서 어떤 맥락 속에서 그렇게 말을 했는가를 봐야 한다. 그러니까 묵자는 말한다. "지금 능력이 있어서 의라는 이름으로 천하에 우뚝 서고 덕으로 제후들을 구하려는 사람이 있다면, 천하의 복종을 서서 기다려도 될 것이다." 의로움을 가지고 이익이 되게 한다면 천하에 사람들이 절로 복종할 것이다라고 말을 하는 것이다.


그러면 묵자의 정치사상이라고 하는 것이 보편 이론의 모양을 가지고 있지만 어떤 계층에 호소하는 가를 보면 간단히 말하면 사 계급에 호소하고 있는 것이다. 그들의 이익을 옹호하는데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래서 묵자의 기본 주장은 "위아래의 조화" 시키는 것이다. 이것을 할 때 "위에서는 정치를 하고, 아래에서는 그것으로 풍속을 삼는다." 중요한 말이다. 습속으로 만들어낸다는 지점, 정치를 속으로 옮겨내는 능력이 중요하다. 이미 있는 속을 가지고 뭔가를 해보다는 것도 중요하지만 새로운 속을 만들어 낸다는 것, 이것이 정치의 요체가 아닌가 한다. "위에서 정치를 바꾸면, 백성을 교화내용을 바꾼다." 묵자가 이런 말을 했던 맥락을 떠나서라도 이런 것들은 이데올로기적인 프로파간다 측면에서도 상당히 살펴볼만한 원칙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이로써 올해는 중국정치사상사를 다 읽는 것으로 마무리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