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포퍼: 歷史主義의 貧困

 

本書가 出刊되기까지
序言
序論
I. 歷史主義의 反自然主義的 理說
II. 歷史主義의 自然主義的 理說
II. 反自然主義的 理說의 批判
IV. 自然主義的 理說의 批判

解說
索引


序言

5 『역사주의의 빈곤』에 있어서 나는 역사주의가 반약한 방법━아무런 결실도 맺지 못하는 방법―이라는 것을 밝히려고 노력하였다. 그러나 나는 역사주의를 참으로 논박하지는 못하였다. 그 후로 나는 역사주의를 논파하는데 성공하였다 : 나는 엄밀한 이론적 이유로 우리가 역사의 미래의 과정을 예측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함을 밝힌 것이다  

5 그 논증은 195년에 공간한 논문 ‘고전물리학과 양자물리학에 있어서의 비결론'(Indeterminism in Classical Physics and Quantum Physics) 속에 들어있다. 그러나 나는 이미 이 논문에는 만족하지 않고 있다. 더 만족스러운 논의는 졸저 『과학적발견의 논리』(Logic of Scientific Discovery)의 『보유: 20년이 지난 뒤에』(Postscript : After Twenty Years)의 일부인 비결정론에 관한 한 장 가운데에 들어가게 될 것이다.  

5 나는 이 자리에서 이러한 역사주의의의 논박의 개요를 간단히 언급해 두고자 한다· 그 논의는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의 언명으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1) 인간의 역사 과정은 인간의 지식의 성장에 영향을 입는다. 
(2) 우리는 합리적 또는 과학적 방법에 의해서 우리의 과학적 지식이 미래에 어떻게 성장할 것인가를 예측할 수가 없다. 
(3) 그러므로 우리는 인간의 역사의 미래 과정을 예측할 수가 없다. 
(4) 이것은 우리가 이론역사학(theoretical history)의 가능, 다시 말하면 이론물리학(theoretical physics)에 대응하는 역사적 사회과학의 가능을 부인해야만 함을 의미한다. 역사적 예측의 근거가 될 수 있는, 역사의 발전에 관한 과학적 이론이란 있을 수 없다. 
(5) 그러므로 역사주의적 방법들(이 책 11절에서 16절까지 참조)의 기본적 목표는 오해에 기인한 것이요, 역사주의는 와해한다.  

6 이 논증에 있어서의 결정적인 단계는 언명(2)이다. 이 언명은 그 자체로서 수긍이 가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 즉 만일 인간의 지식이 성장해가는 것이라면, 우리는 내일에 가서야 알게 될 일을 오늘 미리 예지할 수는 없는 것이다. 이것은 건전한 추리라고 생각되지만, 그러나 이것이 곧 언명(2)의 논리적 증명이 되는 것은 아니다. (2)의 증명을 나는 상술한 저작들 가운데에서 해놓았거니와, 이것은 복잡한 것이지만, 그러나 더 간단한 증명이 발견될 수 있다고 할지라도, 나는 놀라지는 않을 것이다. 나의 증명은 어떠한 과학적 예측자도―인간인 과학자이든 또는 계산기계이든―과학적 방법에 의하여 그 자신의 미래의 성과를 예측할 수는 도저히 없다고 함을 밝히는 것이다. 그러한 예측을 하려는 시도는 일이 일어난 연후에야 비로소 그 성과를 올릴 수 있는데, 그 때에는 예측을 하기에는 너무나 늦는 것이다. 즉 예측이 회고에로 바뀌고 난 뒤에야, 그러한 시도는 그 성과를 올릴 수 있는 것이다.  

序論

12 이 의문은, 별로 성공을 거두지 못한 과학들의 방법에 관심을 가진 사상의 학파들이란 단순하게 분류된다는 사실을 종사해 준다. 물리학의 방법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그들의 견해에 따른다면, 우리는 이 학파들을 자연주의적(pro-naturalistic) 학파와 반자연주의적(anti naturalistic) 학파로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사회과학에 대한 물리학의 방법들의 적용을 지지하면, 그 학파는 ‘자연주의적' 또는 ‘긍정적'이 라고 부르고, 이러한 방법들의 사용을 반대하면, 그 학파는 ‘반자연주의적' 또는 ‘부정적'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다. 

12 한 방법의 연구가가 반자연주의적 이설을 지지하느냐 자연주의적 이설을 지지하느냐, 또는 양리설을 결합한 이론을 받아들이느냐 하는 것은, 대체로 그가 고려하고 있는 과학의 성격과 그 과학의 주제의 성격에 관한 그의 견해에 따라 좌우될 것이다. 그러나 그가 취하는 태도는 물리학의 방법에 관한 그의 견해에 따라서도 좌우될 것이다. 나는 후자의 점이 가장 중요한 점이라고 믿는다. 그리고 나는 대부분의 방법론적론의에 있어서의 결정적인 과오들은 물리학의 방법에 관한 흔히 볼 수 있는 약간의 오해에서 일어난다고 생각한다.  

13 여기에서는, 내가 말하는 ‘역사주의’란 역사적예측(historical prediction)이 사회과학의 주요한 목적이라고 생각하고, 또 이러한 목적은 역사의 진전의 밑바닥에 있는 ‘율동’이나 ‘유형’, ‘법칙’이나 ‘추세’를 발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고 상정하는 사회과학에의 하나의 접근법을 의미한다고 말해 두면, 그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그와같은 역사주의의 방법의 이설들은 이론적 사회과학(경제이론이외의)의 불만족한 상태에 대하여 근본적인 책임이 있다고 나는 확신하고 있으므로, 이 이설들을 제시함에 있어서 나에게 반드시 편견이 없지는 않다. 그러나 나는 다음의 나의 비판의 진의를 살리기 위해서, 우선 역사주의를 지지하는 입장을 힘껏 선명하려고 노력하였다.   

 

解說

165 원저는 전후에 나온, 사회과학방법론에 관한 가장 중요한 저서 중의 하나라는 정평을 받고 있으며, 우리 나라에서도 그 방면에 관심을 가진 인사들에게는 이 저자의 다론 저작과 함께 아미 많이 알려져 있는 책이다· 그러나 역자가 알기로는, 그의 저작 중 우리 말로 번역되는 것은 본서가 처음이므로, 일반독자들을 위해서는 이 기회에 저자의 약력과 사상을 간단히 소개해 두는 것이 좋을 듯싶다.  

166 Popper의 철학적 입장은 한마디로 말해서 과학철학이다. 그의 철학적 사색의 출발점부터가 우선 과학철학적 문제에 있었던 것이다. 1953년의 논문 「과학: 추측과 반박」(Science: Conjectures and Refutations)에서 그는 자신의 사색의 행정을 회고하고 있거니와, 이 회고에 의하면 그는 1919년 가을 약관 17세에 이미 ‘이론은 어떤 때에 과학적인 것으로 분류되어야 하는가?' (When should a theory be ranked as scientific?), 또는 ‘이론의 과학적 성격이나 자격의 기준이란 있는 것인가?' (Is there a criterion for the scientific character or status of a theory?) 하는 문제의 해결에 고하였고, 그해 겨울에 그가 도달한 결론은 이론의 과학적 결론의 기준은 그 이론의 반증가능성, 반박가능성, 또는 테스트가능성이다' (the criterion of the scientific status of a theory is its falsifiability, or refutability, or testability) 타고 하는 것이었다.  

166 Popper의 철학적 입장은 한마디로 말해서 과학철학이다. 그의 철학적 사색의 출발점부터가 우선 과학철학적 문제에 있었던 것이다. 1953년의 논문 「과학: 추측과 반박」(Science: Conjectures and Refutations)에서 그는 자신의 사색의 행정을 회고하고 있거니와, 이 회고에 의하면 그는 1919년 가을 약관 17세에 이미 ‘이론은 어떤 때에 과학적인 것으로 분류되어야 하는가?' (When should a theory be ranked as scientific?), 또는 ‘이론의 과학적 성격이나 자격의 기준이란 있는 것인가?' (Is there a criterion for the scientific character or status of a theory?) 하는 문제의 해결에 고하였고, 그해 겨울에 그가 도달한 결론은 이론의 과학적 결론의 기준은 그 이론의 반증가능성, 반박가능성, 또는 테스트가능성이다' (the criterion of the scientific status of a theory is its falsifiability, or refutability, or testability) 타고 하는 것이었다.  

167 Popper가 그처럼 반증가능성이라는 기준에 상도하게 된 데에는 무엇보다도 Marx의 역사이론, Adler의 개성심리학, Freud의 정신분석 등 세 이론 과 Einstein의 상대론적 중력이론과의 대비에서 받은 감동이 크게 작용하였던 것 같다. 1918 년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의 붕괴, 프롤레타리아 혁명, 마르크스주의의 고양 등 일련의 정치적 격동을 겪으면서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매일매일 신문에 보도되는 사건들이-아니 보도되지 않은 사건들조차도―모두가 마르크스주의의 역사이론을 확증해주는 것이라고 떠들어 댔다.  이와 유사한 주장은 Freud의 정신분석이나 Adler의 개성심리학에서도 들을 수 있는 것이었으니, 그들은 그들의 이론이 관계하는 분야에서 일어나는 일이면, 설사 그것이 전혀 상반되는 인간행동이라 할지라도, 무엇이나 설명할 수 있다고 호언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그들의 이론에 모순되는 관찰을 생각할 수가 없고, 그것을 경험에 의하여 반증할 수가 없다. 경험에 의한 반증의 불가능성― 이것이 그들의 이론의 공통적 특징이었던 것이다.  

168 이렇게 해서 확립된 Popper의 반증가능성, 반박가능성의 기준은 모든 언명의 과학성의 기준이요, 따라서 그것은경험과학적언명의 성격규정일 뿐만 아니라, 경험과학적리론과 의사과목적리론과의 ‘구획의 기준'(criterion of demarcation)이기도 한 것이다. 그리고 이 점에서 그의 반증가능성의 이론은 이른바 Wien 학단의 논리적실증주의가 주창하는 ‘검증가능성의 원리'와는 다른 것이었다. 1920년대 후반 Schlick나 Hahn에 의해서 Wien 학단이 형성된 이래, Popper는 학생시대에 Schlick의 청강자이었던 인연도 있고 해서 이 두 사람 이외에도 그 주요 멤버들과는 개인적접촉을 가져왔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이 학단에 대해서는 언제나 이설을 제기했고, 특히 『탐구의 논리』에 있어서는 이 학단의 기본입장에 비판적으로 대결하였던 것이다. 원래 논리적 실증주의자들이 ‘의미의 검증가능성의 이론’ 또는 ‘유의미성의 이론’(criterion of meaningfulness)을 채택하게 된 근본의도는 과학적명제와 형이상학적 명제와의 구획기준을 설정하고, 그 기준에 의해서 일절의 형이상학적명제를 무의미한 의사명제로 몰아붙임으로써 형이상학을 절멸하려는 데에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Popper의 문제의식은 애당초 그와 같은 반형이상학적 의도와 결부되어 있었던 것은 아니다. 경험에 의한 반증가능성은 진정한 과학적 명제와 비과학적의 의사과학적 명제를 구획하는 기준이요, 따라서 형이상학의 명제는 경험에 의한 반증이 불가능하므로 비과학적 명제이기는 하지만, 그러나 반증불가능성이 반드시 무의미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한, 형이상학적 명제는 모두 무의미하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리하여 Popper는 일찌기 실증주의자들의 ‘유의미성의 기준'에는 ‘반형이상학적 책략'(anti-metaphysical stratagems)이 숨어있음을 간파하고, 이 기준을 다음과 같이 비판하였던 것이다: "실증주의자들은 형이상학을 절멸하려고 열망하지만, 그와 함께 자연과학도 절멸하게 된다. 왜냐하면 과학적 법칙도 경험의 기초적 언명에로 논리적으로 환원될 수가 없기 때문이다. Wittgenstein의 유의미성의 기준은, 만일 그것을 철저히 적용하면, 자연법칙들도 무의미한 것으로 배격하게 된다. 그러나 그러한 법칙의 탐구야말로 Einstein이 말하는 물리학자의 지고한 직책인 것이다." 

169 Popper는 이러한 가설의 테스트 방법을 ‘연역적 테스트의 방법’이 라 부르고, 그것을 대략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1) 발견된 가설로부터 여러가지 결론을 논리적으로 연역하여 각 결론문의 논리적 비교에 의해서 체계의 내적정합성을 테스트한다. (2) 가설명제가 경험적 과학적 이론의 성격을 가지는 것인가 어떤가를 테스트한다. (3) 이 가설을 다른 이론들과 비교해 보고, 그것이 과연 테스트에 통과될뿐더러 과학의 진보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인가 음미(吟味)한다. 이상의 논리적 테스트가 끝나면, 최후에 (4) 이 가설에서 연역된 결론들을 실험에 의하여 테스트한다. 그리고 이렇게 해서 이론이 연역적 테스트에 통과하였을 때에, 그 이론은 ‘확증確證’(corroboration)되었다고 하거니와, 그러나 이론이 확증되었다고 함은, 그것이 아직 반증되지 않았으며, 그 때문에 아직은 그것을 폐기할 이유가 없다고 함을 의미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처럼 ‘‘이론의 참된 테스트는 그것을 반증하려는, 또는 그것을 반증하려는 시도요,” 따라서 과학의 방법은 시험적으로 대담한 추측을 가설로서 제기하고 그것을 연역적 테스트에 의하여 반증하고 반박하려고 하는 데에 성립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Popper는 이러한 방법을 통상 ‘시행착오의 방법' (method of trial and error), 또는 ‘추측과 반박의 방법 (method of conjecture and refutation)이라고 부르는가 하면, 또한 그것은 반증의 회피하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적극적으로 경험속에서 반증을 찾아내려고 하는 ‘비판적 정신', ‘비판적 태도’에서 운초되는 것이라고 보아, ‘비판적 방법' (critical method)이라고도 부른다.  

169 Popper는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이러한 비판적방법이 철학에 있어서도 가능한가를 묻고, 그에 대 한 해답을 비판적 태도와 합리적 태도와의 동일성 및 비판적 방법에 의한 철학과 과학과의 통일가능성에서 찾는다. 그에 의하면 철학적 이론과 과학적 이론을 막론하고 그것이 비판적으로 논의된다는 것이 곧 그 이론의 합리성을 의미한다. “비판적 태도, 즉 이론이 개량될 수 있도록 그 약점을 발견할 목적으로 이론을 자유롭게 논의하는 전통이 곧 합리성의 용도인 것이다.” 그리고 모든 합리적 논의란 “문제를 명석하게 진술하고, 그 문제에 대해서 제기된 해답을 비판적으로 음미하는”’ 것 이외의 다른 것이 아니다. 이것은 자연과학의 방법일 뿐만 아니라 그대로 철학의 방법이기도 하다. 

 170 Popper는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이러한 비판적방법이 철학에 있어서도 가능한가를 문고, 그에 대 한 해답을 비판적태도와 합리적태도와의 동일성 및 비판적방법에 의한 철학과 과학과의 통일가능성에서 찾는다. 그에 의하면 철학적 이론과 과학적 이론을 막론하고 그것이 비판적으로 논의된다는 것이 곧 그 이론의 합리성을 의미한다. “비판적태도, 즉 이론이 개량될 수 있도록 그 약점을 발견할 목적으로 이론을 자유롭게 논의하는 전통이 곧 합리성의 웅도인 것이다." 그리고 모든 합리적 논의란 “문제를 명료하게 진술하고, 그 문제에 대해서 제기된 해답을 비판적으로 합미하는”’ 것 이외의 다른 것이 아니다. 이것은 자연과학의 방법일 분만 아니라 그대로 철학의 방법이기도 하다.  

171 그러면 Popper가 말하는 역사주의란 무엇인가? 본문에서도 알 수 있듯이 Popper는 historicism과 historism을 술어적으로 구별한다. 후자는 근대의 소위 역사적 상대주의, 즉 일절의 사회적 문화적 현상은 역사적 시대적 조건 의해서 규정된 것이요, 따라서 절대적 정리나 가치는 없다고 하는 사상이다· 그에 반해서 전자는 “역사적 사건의 과정을 예언할 수 있는 역사의 법칙을 발견했다”고 주장하고, 또 그러한 역사적법칙을 발견하는 것이 사회과학의 주요한 과제라고 주장하는 철학적 입장이다. 그리고 이 입장은 그 근원을 캐보면 Herakleitos와 Platon의 철학에까지 거 슬러 올라가며, 특히 Hegel, Comte, Mill, Marx 등의 사상에 있어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이것은 전자와 구별하기 위해서는 ‘역사예측주의’ 또는 ’역사법칙주의’라는 역어라도 쓰면 좋을 듯 하나, 역자로서는 새로운 조어에 진중을 기하려는 뜻에서 우선 양자 모두 ‘역사주의’라고 번역해 두었다.  

172 그런데 Popper가 말하는 이러한 역사주의는 한편으로는 자연주의적 이설과 결합하여, 사회과학도 물리학과 마찬가지로 이론적 경험적과 과학이므로, 보편적 법칙을 발견하여 그것에 의해서 사회적 사상을 설명하고. 예측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서 또 한편으로 역사주의의 반자연주의적 이설은 자연에 있어서 자연의 제일성이 성립하듯이 사회에 있어서도 단일한 시대를 넘어선 사회적 제일성이 성립한다고는 할 수 없으므로, 사회과학은 물리학과는 다른 의미의 비판적 법칙, 즉 역사의 전체를 포섭하는 법칙, Popper의 말을 빌린다면 ‘한 시기에서 다른 시기로 이행을 규정하는 역사적 발전의 법칙을 발견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하여 이러한 역사적 발전의 법칙에 의하여 다가오는 미래에 관한 대규모의 예언을 하고 그것을 검사하는 것이 사회학의 임무요, 따라서 ‘사회학은 이론적 역사학이라'고 하는 것이 역사주의자의 근본주장인 것이다.  

173 Popper는 그처럼 역사주의에 대해서 역사적 법칙이나 추세에 의거한 역사적 장기예측의 가능을 거부하는 한편, 사회과학 방법론에 관한 반자연주의적 이설을 비판하고, 자신의 점차적 사회주의 (piece-meal social technology)을 제기한다. 이것은 그가 『탐구의 논리』에서 이미 확립한 과학적방법, 비판적방법과 다른 것이 아니다. 사회과학에 있어서도 우리는 단념하고, 그때 그때의 상황에 따라 보편적 법칙을 발견하고, 그것을 기초로 하여 예측하며, 그것을 사회적 실천에 의해서 테스트해나가는 것이다.  

174 오히려 문제는 Popper의 점차적 사회에 의해서 가능한 진보의 주요원천이 무엇인가 하는 데에 있다· 그것을 Popper는 이렇게 서술하고 있다: “인간의 진화에 관한 한, 그 주요원천은... ‘다수과 의견을 달리하고 자기자신의 길을 갈 수 있는 자유’이다. 전체론적 통제는 인간의 권리의 평등화가 아니라 인간의 정신의 평등화를 초래할 수밖에 없는 만큼, 진보의 종언終焉을 의미할 것이다.” — 이것이 곧 Popper의 결론이기도 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