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현대사학회: 새롭게 쓴 한국 독립운동사 강의

 

새롭게 쓴 한국 독립운동사 강의 - 10점
한국근현대사학회 엮음/한울(한울아카데미)

책을 펴내며 _박걸순
총론: 자유와 독립 그리고 평화 _장석흥
1강 일제강점기 통치의 성격과 특징 _박맹수
2강 한국 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 _김기승
3강 한국 독립운동의 시기별 특성 _박걸순
4강 한말 국권회복운동 _이계형
5강 1910년대 국내 비밀결사운동 _이성우
6강 3·1운동 _김정인
7강 1920년대 국내 독립운동 _강윤정
8강 1930~1940년대 국내 독립운동과 사회주의운동 _김명섭
9강 한국 독립운동과 민족통일전선운동 _박윤재
10강 국내외 여성 독립운동 _김성은
11강 만주 지역의 독립운동 _김주용
12강 연해주 지역의 독립운동 _윤상원
13강 중국 관내 지역의 독립운동 _손염홍
14강 대한민국임시정부 _김광재
15강 미주 지역의 독립운동 _김도훈
16강 일본·동남아 지역의 독립운동 _김도형
17강 보론: 식민지근대화론 비판 ― 광복과 독립운동의 경제적 의의 _허수열

 


4 한국근현대사학회가 독립운동사를 정리해 『한국 독립운동사 강의』를 간행한 것은 1998년의 일이었다. 그 후 2009년에 일부 내용을 다듬고 사진을 더해 개정판을 발행했다. 그간 이 책은 대학의 교양과목 교재로서, 또한 교원 임용시험 등의 수험용 도서와 일반인들의 교양 도서로 애용되어 왔다. 

그러나 초판이 발행되고 상당한 시간이 지나 학회 안팎에서 새로운 판을 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이에 따라 몇 년 전부터 저술에 착수하고자 했으나 지지부진하다가 2018년부터 다시 추진했으나, 또한 상당한 시일이 걸렸다. 제목을 놓고 한국근현대사학회 이사회에서 논의를 거듭한 끝에 『새롭게 쓴 한국 독립운동사 강의』로 결정했다. 이는 초판 이후 연구된 새로운 성과를 적극 반영하고, 집필진을 신진학자들로 대거 교체하자는 의지의 표현이었다. 본문은 대학의 교양 강의를 염두해 16강과 보론(1 7강)으로 구성했다. 차례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의견이 제기되었다. 연구자의 전공 분야가 다양했기 때문에 차례를 놓고 합의하는 데도 오랜 시간이 필요했다. 

많은 논의 끝에 독립운동을 총괄할 주제를 자유와 독립 그리고 평화(총설), 일제강점기 통치의 성격과 특징(1강), 한국 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2강), 한국 독립운동의 시기별 특성(3강) 등 네 개로 설정해 학계의 중진인 장석홍·박맹수·김기승·박걸순이 집필했고, 4~16강은 40~50대 학자들이 집필했다. 4강부터 10강까지는 시기별·주제별 독립운동을, 11강부터 16강에서는 해외에서 전개된 독립운동을 다뤘다. 보론에서는 여전히 논란이 그치지 않고 있는 식민지근대화론의 문제점에 관해 허수열 교수가 집필해 글의 무게를 더했다. 

 

21 의병의 방략은 의협투쟁으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의열투쟁으로 발전해 갔다. 의열투쟁이란 무력으로 열세한 상황에서 소수의 인원으로 직에게 타격을 입히는 일종의 특공작전과 같은 것이다. 안중근 의거 이래 강우규 의거, 김상옥 의거, 나석주 의거, 이봉창 의거, 윤봉길 의거 등에서 보듯이, 의열투쟁은 독립운동의 어려운 고비 마다 새로운 활로를 열어주었다.

의열투쟁은 분명히 '테러'와 분간할 필요가 있다. '테러'가 무고한 양민의 희생을 수단으로 삼는 반인류적이고 반인도주의적인 행위인 데 반해, 의열투쟁은 인류의 자유와 정의를 파괴하는 제국주의 침략의 원흉만을 표적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다르다. '테러'가 흉악한 '유괴범’이라면, 의열투쟁은 강도 퇴치에 앞장선 '정의의 사자'였던 것이다. 테러는 어떠한 경우라도 정당성을 담보할 수 없지만, 의열투쟁은 정당한 가치와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한 안중근을 동양평화의 수호자로 높이 평가하는 이유도 거기에 있다. 중국 하얼빈에 안중근의 사기념관이, 중국상하이 홍커우공원(현재 루쉰공원)에 윤봉길의 사전시관이, 윤봉길이 순국한 일본 가나자와에 윤봉길 의사암매장비와 순국기념비가 세워진 것은 의열투쟁이 테러가 아님을 명백히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독립운동의 근대적 정치 이념은 1919년 3· 1운동과 함께 임시정부가 수립되면서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갔다. 3· 1 운동을 계기로 국민주권주의가 보편화된 것이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나라를 잃은 상태라 부득이 국외에 세워졌지만, 27년간 민족 구심체로서 광복의 그날까지 독립운동을 이끌0었다. 한민족이 제2차 세계대전의 와중에 국제사회로부터 독립을 인정받은 것은 그같은 독립운동이 있기에 가능했다. 

 

22 근대국가를 지향한 민족적 의지는 3· 1 운동을 계기로 국내외에 7개의 임시정부가 수립되면서 뚜렷이 나타났다. 모든 임시정부는 민주공화국을 표방했다. 임시정부는 민주주의 이념과 공화주의 정치를 표방하면서 한국근대사발전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임시정부가 지향한 민주주의는 당시 세계를 제패하던 제국주의 방식을 극복하고, 인류의 자유와 평화의 실현을 지향했다는 점에서 세계사적으로도 귀중한 가치를 지니는 것이었다. 

 

23 독립운동과 1945년 광복 그리고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관계를 정립하는 문제는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다. 과연 광복은 독립운동으로 일구어 낸 것인가, 아니면 일제 패망에 의해 얻어진 산물인가? 독립운동으로 광복을 이뤘다고 하기에는 힘이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고, 일제 패망에 의해 얻어진 것이라면 독립운동의 가치가 설 자리가 없기 때문이다. 

 

313 임시정부 27년간의 역사는 침체와 고난의 위기를 겪으면서도 이를 극복해 간 굴절의 역사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임시정부는 1945년 8월 일제가 패망할 때까지 긴 시간 동안 한민족을 대표하며 반일운동을 전개했다. 세계사적으로 보아 '임시정부'라는 정부형태는 1917년 '2월 혁명' 뒤의 러시아나 폴란드의 임시정부처럼 단기간에 정식 정부를 수립하고 임무를 마치는 것이 통례였다. 그런데 임시정부는 27년이라는 유례없는 긴 시간 동안 존속했으니 그동안에 영고성쇠가 있었다고 해서 이상할 것이 없다.  


임시정부에 대해서는 ‘발생 가치'와 '역할 가치'로 구분해 평가해야 한다는 선학의 주장은 건국절 시비로 몸살을 않고 있는 오늘날 경청할 만한 선견지명으로 여겨진다. 임시정부가 한국 역사상 처음으로 민주공화정부로 수립된 그 자체는 '발생 가치' 측면에서 높이 평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임시정부가 명실상부하게 독립운동의 구심점 구실을 다했는가'라는 '역할 가치'는 시기에 따라 다르게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임시정부 27년간의 역사를 이해하려면 임시정부가 머물렀던 장소에 따라 상하이 시기(1919-1932년), 이동 시기(1932-1940년), 충칭 시기(1940-1945년)로 나누어 살펴보는 것이 편리하다. 이를 통해 임시정부 27년의 영광과 고난의 역사가 제대로 복원되고 평가되길 기대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