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 - 헤어프리트 뮌클러 지음, 공진성 옮김/책세상책읽기 20분 | 제국 6 [원문보기]Posted on 2017년 2월 27일 by 강유원 제3장 초원 제국, 해양 제국, 그리고 지구적 경제: 제국적 지배에 관한 간략한 유형학(1) 마이클 만, 권력의 네 가지 원천 팽창 단계: 군사적 우위, 경제적 우위(물리적 위력) 공고화 단계: 정치적 힘, 이데올로기적 힘(무형의 위력) — 지배공간의 통치와 관련된 비용의 규모, 제국이라는 짐을 짊어지려는 주민들의 의지 도일Doyle, “아우구스투스의 문턱”: 팽창에서 공고화로 이행하는 과정, 로마공화정(Respublica Romana)에서 로마제국(Imperium Romanum)으로. 참조.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
근대 천황상의 형성 - 야스마루 요시오 지음, 박진우 옮김/논형 목차 한국어판 서문 1장 과제와 방법 2장 근세 사회와 조정.천황 3장 민속과 질서의 대항 4장 위기의식의 구조 5장 정치 카리스마로서의 천황 6장 권위와 문명의 심벌 7장 근대 천황상에 대한 대항 8장 근대 천황제의 수용기반 9장 코멘트와 전망 천황제와 젠더 바이어스 이와나미 현대문고판의 후기에 대신하여 저자후기 역자후기 저자주 인용문헌 일람 찾아보기 관련 공부 글 보기 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4 | 일본 근현대사 | 02 민권과 헌법 1 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4 | 일본 근현대사 | 02 민권과 헌법 2 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4 | 일본 근현대사 | 02 민권과 헌법 3 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4 ..
민권과 헌법 - 마키하라 노리오 지음, 박지영 옮김/어문학사 Reading_20min_20140616_7야스마루 요시오(安丸 良夫), 근대천황상의 형성(近代天皇像の形成) 읽기 – 18세기 말까지의 이데올로기 상황 속에서 질서의 정당화: “막부와 번의 권력과 결합하여 유교적인 仁政觀을 전제로 한 질서상” – 19세기 이후 등장한 천황숭배론과 국체론으로써 체제(regime)의 통일성을 이루는 기본요소가 전면적으로 교체됨 – 천황권위의 내면화: “학교 교육과 청년단, 재향군인회 등을 통해서 천황 숭배와 국체관념은 점차 깊숙히 국민의식 속에 파고 들어가게 되며, 근대화 과정의 성과는 천황의 권위와 결부되어 국민의 통념적인 부분을 형성” – “천황에게 권위 중추를 두고 국민국가로서의 통합과 발전을 꾀한다는 지상의..
일본 근현대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 이와나미 신서 편집부 엮음, 서민교 옮김/어문학사 머리말-5 제1장―막말기, 구미에 대해 일본의 자립은 어떻게 지킬 수 있었던가?제2장―왜 메이지 국가는 천황을 필요로 했던가?제3장―청일·러일전쟁은 일본의 무엇을 변화시켰는가?제4장―다이쇼 데모크라시란 어떤 데모크라시였는가?제5장―1930년대의 전쟁은 무엇을 위한 투쟁이었던가?제6장―왜 전쟁의 시작(開戰)을 막을 수 없었던가?제7장―점령기 개혁은 일본을 변화시켰던 것일까?제8장―왜 일본은 고도경제성장이 가능했던 것일까?제9장―역사는 어디로 가는 것일까?종장―왜 근현대 일본의 통사(通史)를 배우는 것인가? 총목차 270저자 소개 280. 제1장―막말기, 구미에 대해 일본의 자립은 어떻게 지킬 수 있었던가?36 지금까지 ..
제국 - 헤어프리트 뮌클러 지음, 공진성 옮김/책세상책읽기 20분 | 제국 5 [원문보기]Posted on 2017년 2월 20일 by 강유원 제2장 제국, 제국주의, 패권: 필수적인 구분 위신 추구와 권력경쟁: 정치적 제국주의 이론 – 이론의 원천: 마르크스가 에서 제시한 ‘보나파르트주의’. 좌·우 세력이 균형상태에 이르러 어느 한 쪽도 다른 쪽은 완전히 제압하지 못한 상황에서, 쿠데타를 통해 찬탈한 지배권을 대외전쟁을 거듭함으로써 연장하려는 시도에서 이 전쟁이 제국주의 전쟁으로 전개되는 것. 권력과 영향력을 두고 벌이는 국가들 간의 경쟁을 설명하는 방식 — 소프트파워 제국과 패권의 구별 – 마이클 만, 찰머스 존슨, 헨리 키신저 등의 구별방식 – 하인리히 트리펠: 패권은 국가가 경계가 뚜렷한 반면 제..
민권과 헌법 - 마키하라 노리오 지음, 박지영 옮김/어문학사 Reading_20min_20140609_6야스마루 요시오(安丸 良夫), 근대천황상의 형성(近代天皇像の形成) 읽기– 전통적 권위로서의 천황: “교토를 중심으로 의례적 질서나 우주론적인 차원에서 조정숭배나 신국론으로 경사(傾斜)하여 스스로의 사회적 존재를 권위지우는 경향”– 현실 권력으로서의 막부의 장군: “장군=국왕설의 입장에서 막부의 전제적 지배권을 명확히 하려는 동향”– 체제의 위기: “권력이 구성하려는 질서나 질서의식과 사회의식의 다양한 흐름과의 사이에 균열” “여기에 일정한 형태의 새로운 질서관념이 적극적으로 구성되기 위해서는 위기의식이라는 별도의 매개가 필요”– 대립되는 체제 정당화 기제들의 충돌, 위기의식의 돌출, 새로운 질서를 내재..
민권과 헌법 - 마키하라 노리오 지음, 박지영 옮김/어문학사 Reading_20min_20140602_5야스마루 요시오(安丸 良夫), 근대천황상의 형성(近代天皇像の形成) 읽기– 천황을 파악하는 두 가지 방법: 연속설(고대부터 연속성을 가진 것으로 파악), 단절설(“우리가 천황제라고 할 때 흔히 통념적으로 연상하는 것들도 실은 메이지 유신을 경계로 하는 근대화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 근대 천황제의 기본관념들이 명확하게 일정한 형태를 갖추고 정리되는 것은 근대 후기 이후의 일본 사회 전체가 전환하는 과정에서였다.– 근대 천황제의 네 가지 기본 특징1) 萬世一系의 皇統: 現人神 천황과 여기에 집약되는 계통적 질서의 절대성과 불변성 — 전통성과 정통성2) 祭政一致라는 神政旳 理念 — 초월적 권위성3) 천황과..
초간본 의 교정문(校定文)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주해와 상세한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 제3장 군자는 평상시에 왼쪽을 높이고 통행본 31 장 중·하반부, 백서본 105장 노자와 , 그리고 초간본 에 대하여, 알라딘 도서정보 君子居則貴左 / 군자거즉귀좌 군자는 평상시에는 왼쪽을 높이고, 用兵則貴右 / 용병즉귀우 전쟁을 할 때에는 오른쪽을 높인다. 故曰, 兵者, 〔非君子之器也〕 / 고왈, 병자, 〔비군자지기야〕 그러므로 "병기는 군자의 기물이 아니다"라고 말한다. 〔不〕得已而用之 / 〔부〕득이이용지 〔병기는〕 부득이 해서 쓰는 것이다. 㷔淡爲上, 弗美也 / 염담위상, 불미야 조용히 담담한 것이 제일이니, 〔전쟁을〕 미화하지 말라. 美之, 是樂殺人 / 미지, 시요살인 그것(=전쟁)을 미화한다면, ..
초간본 의 교정문(校定文)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주해와 상세한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 제2장 지대한 형상을 잡게 되면통행본 35장 전반부, 백서본 109장 노자와 , 그리고 초간본 에 대하여, 알라딘 도서정보 執大象, 天下往 / 집대상, 천하왕 지대한 형상(=도)을 잡게 되면 천하가 움직여 간다. 往而不害, 安平太 / 왕이불해, 안평태 〔만물이 스스로〕 움직여 가지만 〔외부로부터〕 방해됨이 없어, 안정되고 태평하다. 樂與傾, 過客止 / 악여이, 과객지 음악과 음식은 지나가는 나그네의 발길도 멈추게 하나 故山〔之出言〕, 淡阿其無味也 / 고도〔지출언], 담가기무미야 도(道)에서 나오는말은 덤덤하여 맛이 없다. 視之不足見 / 시지부족견 그것(=도)을 보려 해도 볼 수가 없고 聽之不足聞 / 청지부..
초간본 의 교정문(校定文)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주해와 상세한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 제1장 최선의 통치자는 아래에서 [백성들이] 그가 있다는 사실만을 알고통행본 17-18장, 백서본 86-87장 노자와 , 그리고 초간본 에 대하여, 알라딘 도서정보 大上下知有之 / 대상하지유지 최선의 통치자(=최상)는 아래에서 〔백성들이〕 그가 있다는 사실만을 알고 其次親警之 / 기차친예지 차선의 통치자(=상)는 〔아래 백성들이〕 친밀감을 느끼며 칭찬을 하는 것이고, 其次畏之 / 기차외지 그 다음(=하)은 〔아래 백성들이〕 그를 두려워하는 것이고, 其次梅之 / 기차모지 그 다음(=최하)은 〔아래 백성들이〕 그를 업신여기는 것이다. 信不足, 焉有不信 / 신부족, 언유불신 믿음이 부족하면 , 곧 믿어지지 않음..
복음을 듣지 못한 사람 어떻게 되는가 - 존 샌더스.가브리엘 파크레.로날드 내쉬 지음, 박승민 옮김/부흥과개혁사 서론 _ 존 샌더스 01 포괄적 구원론 - 존 샌더스 넓은 소망│하나님의 과분한 사랑│버리기 전에 받아 주심│위대한 반전│포괄적 구원론│믿음의 원리│예수님 오시기 전 신앙인│일반 계시와 섭리│로마서에 나타난 바울의 사상│유아들은 어떻게 되는가│선교 │결론 존 샌더스에 대한 논평-가브리엘 파크레 존 샌더스에 대한 논평-로널드 내쉬 02 신적 견인론 - 가브리엘 파크레 신적 견인론의 명칭│믿음의 선배를 통해 성경 해석에 대해 배우기│신적 견인론과 악의 문제│신정론과 신적 견인론│미전도인과 신적 견인론│성경에서의 신적 견인론│초대 시대의 신적 견인론│현대 시대의 신적 견인론│노아 언약에 대한 구체적..
민권과 헌법 - 마키하라 노리오 지음, 박지영 옮김/어문학사 Reading_20min_20140526_4– 일본제국의 ‘근대국민국가’ 편성원리로 등장한 천황과 신민(臣民)개념 – “신민이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이름이며, 민권이나 공권을 상실한 사람도 또한 제국의 신민임에는 틀림없다.” – “신(臣)과 민(民)을 융합시켜 ‘천황의 자식’으로 만들어 버리면 모든 ‘일본인’을 천황과의 관계하에서 일원화시킬 수 있다.” – ‘입헌주권’과 ‘천황대권’이라는 이중성 위에 세워진 대일본제국 헌법은 흠정헌법(欽定憲法)이므로 비민주적이지만 폐지될 수 없다. 다른 한편으로 내각은 의회, 정당에 의한 민주적 요구를 받게 된다. – 야스마루 요시오(安丸 良夫), 근대천황상의 형성(近代天皇像の形成)에서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