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자는 장부를 비치·기장하여야 하며, 사업규모에 따라 복식부기의무자와 간편장부대상자로 구분됩니다. 장부를 작성하지 않은 경우 추계신고를 할 수 있으며, 소득금액을 계산시 수입금액에 따라 기준경비율과 단순경비율을 적용받게 됩니다. 장부의 비치·기장 사업자는 사업과 관련된 모든 거래사실을 복식부기 또는 간편장부에 의하여 기록ㆍ비치하고 관련 증빙서류 등과 함께 5년간 보관하여야 합니다. 간편장부대상자의 경우 장부를 기장하여 신고 시 단순경비율·기준경비율에 의해 소득금액을 계산하는 경우보다 소득세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복식부기의무자와 간편장부대상자 복식부기의무자 간편장부대상자 직전년도 수입금액이 일정금액 이상인 사업자와 전문직사업자 당해년도에 신규로 사업을 개시하였거나 직전년도 수입금액이 일정금액 미만인..
사업자는 분기별로 부가가치세를, 개인사업자는 매년 5월에 소득세를, 법인사업자는 매년 4월에 법인세를 신고납부해야 합니다.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개인사업자의 경우에는 매년 2월에 사업장현황신고를 해야 합니다. 부가가치세 신고 확정신고기한 부가가치세는 아래 과세기간으로 하여 확정 신고·납부하여야 합니다. 사 업 자 과세기간 확정 신고대상 확정 신고 납부기간 일반과세자 제1기 1.1.∼6.30. 1.1.∼6.30. 까지 사업실적 7.1.∼7.25. 제2기 7.1.∼12.31. 7.1.∼12.31. 까지 사업실적 다음해 1.1.∼1.25. 간이과세자 1.1.∼12.31. 1.1.∼12.31 까지 사업실적 7.1.∼7.25. 예정신고기한 일반과세자는 4월과 10월에 직전 과세기간의 납부세액의 1/2에 해당하는 ..
모든 사업자는 사업을 시작한 날로부터 20일 이내에 사업자등록을 해야 하며, 사업자등록 신청시 일반과세와 간이과세자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사업자등록을 하지 않으면 가산세가 부과되며, 매입세액을 공제받을 수 없습니다. 사업자등록 신청시 과세유형 선택 부가가치세가 과세되는 사업의 과세유형에는 사업규모에 따라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가 있으며 사업자등록 신청을 할 때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는 세금의 계산방법 및 세금계산서 발행 가능 여부 등의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어느 유형이 자기의 사업에 적합한지 살펴본 후 사업자등록을 해야 합니다.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 구분 일반과세자 간이과세자 대상 1년간 매출액 4,800만원 이상이거나 간이과세 배제되는 업종·지역인 경우 1년간 매..
소득세, 법인세, 상속세, 지방세 등 중 세법의 세율 및 가산세를 한 곳에 모아서 정리합니다. 종합소득세 기본세율 종합소득세는 개인이 지난해 1년간의 경제활동으로 얻은 소득에 대하여 납부하는 세금으로서 모든 과세대상 소득을 합산하여 계산하고, 다음해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주소지 관할 세무서에 신고·납부하여야 합니다. 18년부터 소득세 최고세율이 상향되었습니다. 과세표준 1억5천만원 초과 38%, 과세표준 3억원 초과 40%, 5억원 초과 42% 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 1,200만원 이하 6% ━ 1,200만원 초과 4,600만원 이하 15% 108만원 4,600만원 초과 8,800만원 이하 24% 522만원 8,800만원 초과 1억5천만원 이하 35% 1,490만원 1억5천만원 초과 3억 이하 ..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 - 칼 마르크스 지음, 최형익 옮김/비르투출판사 제2판에 부치는 마르크스의 서문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 / 칼 마르크스 계급투쟁과 보통선거제의 정치적 동학 / 최형익 마르크스와 근대성의 문제: 그의 「브뤼메르 18일」에 대한 푸코의 계보학적 읽기 / 이구표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 / 칼 마르크스10 헤겔은 어디선가 세계사에서 막대한 중요성을 지닌 모든 사건과 인물들은 반복된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그러나 그는 다음과 같은 말을 덧붙이는 것을 잊었다. 한 번은 비극으로 다음은 소극으로 끝난다는 사실 말이다. 당통에 대해서는 꼬씨디에르가, 로베스피에르에 대해서는 루이 블랑이, 1793~1795년의 산악당에 대해서는 1848~1851년의 산악당이 그러하며,..
영락제 - 단죠 히로시 지음, 한종수 옮김/아이필드 저자 서문 제1장 중화라는 이름의 세계 제2장 대명제국의 탄생 제3장 황통의 장래 제4장 찬탈로 가는 계단 제5장 역사의 전복 제6장 잃어버린 시간 속에서 제7장 천명의 소재 제8장 쿠빌라이를 넘어서 제9장 화이질서를 총괄하는 자 제10장 영락제의 유산 참고문헌 저자 후기 문고판 저자 후기 역자 후기 부록 찾아보기 관련 공부 글 보기 책읽기 20분 | 03 영락제 1 책읽기 20분 | 03 영락제 2 책읽기 20분 | 03 영락제 3 책읽기 20분 | 03 영락제 4 책읽기 20분 | 03 영락제 5 저자 서문11 대몽골전의 전진기지인 북경을 분봉 받은 한 왕이 수만의 병사를 이끌고 남경을 함락하고 황위를 힘으로 빼앗았다. 그는 젊은 조카 건문제에 과감..
영락제 - 단죠 히로시 지음, 한종수 옮김/아이필드 책읽기 20분 | 영락제 5 [ 원문보기]제8장 쿠빌라이를 넘어서홍무제의 국방체제: 북방의 몽골족(北虜), 동남해안의 왜구(南倭) 전수방위專守防衛 체제영락제: 북로를 정벌하고 해금정책을 펴면서도 조공이라는 형식에 집착 —> 명나라 중심의 화이질서 확립 추구정화의 남해 대원정: 해외무역 확대발전이 목적, 무역은 부차적이고 조공이라는 의식 자체가 목적(영락제의 특수한 사정) 9장 화이질서를 총괄하는 자북경천도는 화이질서를 세우려는 시도 중의 하나였으나 경제와 군사의 불일치를 가져왔다. 10장 영락제의 유산“국가와 사회의 정치적 역량을 토대로 명나라 초기에 성립된 이 체제는 완성과 동시에 국가와 사회의 괴리를 필연화시키고 말았다… 해금=조공시스템도 홍무와 영..
영락제 - 단죠 히로시 지음, 한종수 옮김/아이필드 책읽기 20분 | 영락제 4 [ 원문보기]제4장 찬탈로 가는 계단2대 황제 건문제의 정책들: 삭번정책(황제권 강화), 민생중시책(황제권의 약화) 제5장 역사의 전복연왕의 거병과 황제찬탈4년 동안의 내란 — 정난靖難의 변 제6장 잃어버린 시간 속에서“찬탈과 살육의 오명을 어떻게 씻어낼 것인가?” 제7장 천명天命의 소재봉천정난奉天靖難(하늘의 뜻을 받들어 국난을 안정시킴), 여기에 실질을 덧붙여 정당화를 얻고자 하는 시도들1) 대전 편찬사업영락대전永樂大典 — 지상세계를 총괄하는 성왕, 사상의 통일시도2) 내각과 환관 — 황제독재체제의 기구 지난 시간에 대명제국의 탄생을 읽고 그에 이어서 제3장인 황통의 장래를 읽었다. 대명제국의 탄생은 명나라 건국의 역사인데..
영락제 - 단죠 히로시 지음, 한종수 옮김/아이필드 책읽기 20분 | 영락제 3 [ 원문보기]2. 대명제국의 탄생 / 3. 황통의 장래 - 원나라 말기의 흑사병과 천하대란주원장은 “강남[長江 이남]의 요지인 남경에 근거지를 두고 세력을 확대했다.” “송나라 이래로 강남 지방의 경제적 발전은 이미 원나라 대에 최고에 올라 있었다. 이를 놓치지 않고 시류에 편승한 것이 주원장에게 행운을 가져다 주었다.” - 주원장의 황제독재체제 구축“현실세계의 황제-관-민의 질서는 명나라 초기에 철저하게 고정화되었다. 주원장은 사람마다 각자의 계층과 신분에 맞게 위치를 정해주고 자신의 권력과 법률로 이 질서를 유지시키려고 했는데, 원나라를 대신해 중화의 새 천자가 된 주원장에 의해 타율적이고 강제적인 유교질서가 만들어진 것..
청일.러일전쟁 - 하라다 게이이치 지음, 최석완 옮김/어문학사 Reading_20min_20140713_4– “1895년 제국 일본은 야마가타가 주장하는 ‘이익선’ 개념을 명확히 채택하고, 식민지 대만과 세력권 조선을 발판으로 이후의 50년 동안을 군사력 확대와 전쟁으로 나아간다. 그 전환점은 청일전쟁이었다.”– 청일전쟁을 어떻게 볼 것인가: 일본의 적극적인 침략의지가 일관된 계획 속에서 전개되고 실현되었는가, 아니면 일본의 ‘팽창주의’는 승인하되 적극적으로 준비된 침략임은 배제할 것인가.– 청일전쟁의 이데올로기: ‘문명의 義戦’이라는 이데올로기, “전투와 살육을 정당화하는 의식 조작” – 청일전쟁의 後果1) 국제관계: 청의 군사력이 약체라는 사실을 세계에 폭로2) 戰爭特需, 戰後經營 체제: 전쟁에 따른..
영락제 - 단죠 히로시 지음, 한종수 옮김/아이필드 책읽기 20분 | 영락제 2 [ 원문보기]중화中華의 의미하夏, 화華, 제하諸夏, 화하華夏: 우월성을 드러내는 문화적 의미중국中國, 중주中州, 중토中土: 지리적 관점에서 나온 말이에 대비되는 동이東夷, 서융西戎, 남만南蠻, 북적北狄 또한 지리적 개념이면서 동시에 문화적 개념 “이적이라도 예의를 알면 중화의 백성이 되고 중화의 백성조차도 예와 의를 실추시키면 이적으로 취급되었다.” 화이華夷화이華夷 질서는 동아시아 국제 관계를 규정하는 개념당나라 때 책봉冊封 체제로 구체화“절대적인 무력과 경제력과 정치력으로 동아시아 세계에 군림”참조: 박한제, 宋은 漢族이 건국했지만 군사력이 열세여서 화이질서를 내세우지 못했다.元은 몽골족이 건국했고 막강한 군사력과 국제무역..
중요한 사건들의 연대기 570 예언자 무함마드가 탄생함 610 히라 산에서 무함마드가 최초의 계시를 받음 622 무슬림이 메디나로 이주함(히즈라) 624 바드르 전투 625 우후드 전투 627 칸타끄(참호) 전투 628 메디나와 메카 사이에 후다이비야 조약이 맺어짐 630 매카와의 싸움에서 무함마드가 승리하고 무슬림이 메카를 점령함 632 무함마드가 사망함 632-634 초대 칼리파 아부 바크르 재위 634-644 제2대 칼리파 우마르 재위 644-656 제3대 칼리파 우스만 재위 656-661 제4대 칼리파 알리 재위, 알리는 최초의 쉬아파 이맘으로 간주됨 680 예언자의 손자 후사인이 카르발라 전투에서 사망함 661-750 우마위 왕조 750-850 압바스 왕조 756 마지막 우마위 왕조의 왕자 압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