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혁 3 : 19세기의 역사풍경 - 위르겐 오스터함멜 지음, 박종일 옮김/한길사제11장 국가 최소정부, 통치자의 업적, 미래의 철창·267 제3부 주제 제12장 에너지와 공업 제13장 노동 문화의 물질적 기초·267 제14장 네트워크 범위, 밀도, 틈·267 제15장 등급제도 사회적 공간의 수직적 배열·267 제16장 지식 증가, 농축, 분포·267 제17장 문명화와 배제·267 제18장 종교·267 맺는 말 19세기의 역사적 지위·267 역자 후기·533 2095 19세기의 가장 중요한 문화적 진보 가운데 하나는 문해력의 대규모 확산이었다. 대중적인 문해력의 보급은 하나의 과정이었다. 여러 사회에서 이 과정의 시작은 수세기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지역 또는 국가에 따라 발전 속도에 큰 차이를 보였는..
대변혁 2 : 19세기의 역사풍경 - 위르겐 오스터함멜 지음, 박종일 옮김/한길사 제6장 도시 유럽 모형과 세계적 특색 제7장 프런티어 공간의 정복, 유목생활에 대한 침입 제8장 제국과 민족국가 제국의 지구력 제9장 강대국체제, 전쟁, 국제주의 제10장 혁명 찾아보기·1515 1097 제국과 민족국가는 19세기에 인류가 모여 살았던 양대 정치치단위다. 1900년 전후로 전 지구적 영향력을 가진 오직 두 개의 정치실체였다. 거의 모든 사람이 제국이나 민족국가가운데 어느 하나의 권위 아래서 살았고 이른바 세계정부 또는 초국가기구는 아칙 출현하지 않았다. 열대우림, 대초원 혹은 극지방 같은 격리된 곳에 사는 소수의 인종집단만이 더 높은 권력기구에 공물을 바쳐야 하는 의무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세계 모든 지역..
대변혁 1 : 19세기의 역사풍경 - 위르겐 오스터함멜 지음, 박종일 옮김/한길사서론·27 제1부 근경近景 제1장 기억과 자기관찰 19세기의 영구화·45 제2장 시간 19세기는 언제인가?·167 제3장 공간 19세기는 어디인가?·267 제2부 전경全景 제4장 정주와 이주 유동성·379 제5장 생활수준 물질적 생존의 안전과 위험·513 찾아보기·695 서론27 모든 역사는 세계사가 되는 경향이 있다. 사회학의 '세계사회' 이론에 따르면 세계는 '모든 환경의 환경'이며, 모든 역사적 사건과 그 서술의 궁극적인 배경이다. 역사 발전의 기나긴 과정에서 지역을 넘으려는 추세는 끊임없이 강화되어왔다. 신석기시대의 세계사에서는 원거리의 밀접한 교류가 발견되지 않는다고 한다면, 20세기의 세계사는 기본적으로 조밀하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