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단력비판 - 이마누엘 칸트 지음, 이석윤 옮김/박영사 제1부 미감적 판단력의 비판 제1편 미감적 판단력의 분석론 제2편 미감적 판단력의 변증론 제2부 목적론적 판단력의 비판 제1편 목적론적 판단력의 분석론 제2편 목적론적 판단력의 변증론 부 록 판단력비판 제1서론 판단력비판』의 내용 448 기술한 바와 같이 『판단력비판』은 한편으로는 미학, 또 한편으로는 목적론이라는 얼핏 보아 서로 관계가 먼 것으로 생각되는 두 부문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또 전자는 미와 숭고, 후자는 자연목적으로서의 유기체와 목적의 체계로서의 자연이라는 두 가지 문제들을 각각 내포하고 있어서, 그 전체적 구성이 다른 두 비판서에 비하여 다소 복잡한 데가 있다. 따라서 본서의 내용을 간단히 개관해 두는 것이 이러한 전..
2018년 5월 28일부터 KBS 라디오 강유원의 책과 세계에서 진행되는 선생님의 라디오 방송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www.podbbang.com/ch/16843 20180608-010 칸트, 순수이성비판의 의의 칸트가 쓴 책은 이 널리 알려져 있다. 흔히 ‘3비판서’라고 하는게 있는데 , , 이 그것이다.칸트는 에서 우리가 ‘안다’고 말하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정리한다. 그에 따르면 우리가 무엇을 안다고 말하려면, 그 무엇을 보거나 듣거나, 즉 그 무엇에 대한 감각이 있어야만 한다. 간단히 말해서 우리가 실제로 겪어보지 못한 것들은 안다고 말할 수 없다는 것.칸트가 살았던 시대에서 이 기준을 가지고 판단을 해보면, 그때 가장 중요하게 여겼던 것이 무너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판단력 비판 - 임마누엘 칸트 지음, 김상현 옮김/책세상 들어가는 말 제1장 미의 분석론 취미판단의 제1계기: 성질의 범주에 따른 고찰 취미판단의 제2계기: 분량의 범주에 따른 고찰 취미판단의 제3계기: 취미판단에서 고찰되는 목적의 관계 취미판단의 제4계기: 대상들에 관한 만족의 양상 분석론 제1장에 대한 총주 제2장 숭고의 분석론 A. 수학적 숭고에 관하여 B. 자연의 역학적 숭고에 관하여 해제 - 비판철학의 완성과 낭만주의로의 여행 용어해설 주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옮긴이에 대하여 + 칸트의 중 제1부의『미의 분석론』과『숭고의 분석론』을 옮긴 것이다. 용어 해설 감성 Sinnlichkeit 일반적으로 감각과 관련된 일체의 능력을 지칭한다고 보면 된다. 칸트는 에서는 감성을 "대상에 의해서 우리가 촉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