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향연 / 파이드로스 / 리시스 - 박종현 역주/서광사머리말 5 우리말 번역본과 관련된 일러두기 9 원전 텍스트 읽기와 관련된 일러두기 13 《향연》 편 15 해제 17 목차 35 대화자들: 본 대화 틀 밖의 인물들 39 본 대화(심포시온)에 참여한 인물들 43 《향연》 49 《파이드로스》 편 201 해제 203 목차 217 대화자들 221 《파이드로스》 223 《리시스》 편 375 해제 377 목차 385 대화자들 389 《리시스》 391 관련 사진 447 참고 문헌 451 고유 명사 색인 459 내용 색인 465 《파이드로스》 편250c 그러나 아름다움의 경우, 우리가 말했다시피, 그것들과 함께 있을 때도 그건 빛났지만 우리가 이곳으로 와서도, 우리의 감각들 중에서도 가장 또렷한 감각을 통해서..
향연 - 플라톤 지음, 강철웅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 작품 안내 작품 분절 틀 이야기 1. 아폴로도로스의 도입 이야기 (172a1-174a2) 본 이야기 2. 아리스토데모스의 향연 이야기 서두 (174a3-175e10) 3. 향연 방식과 이야기 주제 결정 (176a1-178a5) 4. 파이드로스의 연설 (178a6-180b8) 5. 파우사니아스의 연설 (180c1-185c3) 6. 아리스토파네스의 딸꾹질 (185c4-e5) 7. 에뤽시마코스의 연설 (185e6-188e4) 8. 웃음에 관한 공방 (189a1-189c1) 9. 아리스토파네스의 연설 (189c2-193e2) 10. 소크라테스의 걱정 (193e3-194e3) 11. 아가톤의 연설 (194e4-197e8) 12. 소크..
향연 - 플라톤 지음, 강철웅 옮김/이제이북스 2012년 CBS 라디오에서 진행하였던 강유원 선생님의 '라디오 인문학' 강의를 녹음파일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itunes.apple.com/kr/podcast/jumal-nyuseusyo-bagmyeong/id576954501 2013-02-02 14회 플라톤의 "향연" 1이 앞서 읽은 책들과 공통점이라고 한다면 드라마라는 점. 흔히 대화편이라 하는데 대화형식으로 쓰여졌기 때문. 당시의 비극작품과 똑같은 형식을 가진 것은 아니지만 대화형식을 가지고 있다. 그럼 점에서는 드라마로 볼 수 있고, 대화 중간에 설명들이 나오는데 오이디푸스 왕처럼 설명을 유심히 보면 대화가 펼쳐지는 맥락을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면 를 보면 강가에서 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