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유원의 북리스트 | 정치철학(41) #Miller 50쪽

 

 

2023.02.01 정치철학(41) #Miller 50쪽

공동체주의적인 아나키스트는 먼저 공동체가 있고, 그리고 그런 공동체들로 이루어진 사회가 있다. 그리고 그러한 사회가 있으면 훨씬 더 큰 규모로 협조가 가능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 부분을 조금 주해를 해보자면 아나키스트는 공동체주의적인 아나키스트가 있고 시장 아나키스트가 있다고 말하는데, 앞서서 내용상 크게 다르지 않다. 동일한 사태를 이쪽 측면과 저쪽 측면을 본 것일 뿐이지 특징적으로 구별되지 않는다고 말한 바 있다. 왜 그러한가 하면 공동체들로 이루어진 사회가 있다고 할 때 서비스를 교환한다. 그러면 어디가서 서비스를 교환할 것인가를 물어보면 사람들이 모여있는 곳에 가서라고 한다. 아나키스트들은 그런 서비스를 교환하는 또는 그런 서비스를 유지해주는 국가를 상정하지 않기 때문에 그 장소/장치가 국가는 아닐 것 것이다. 어쨌든 공동체들이 만나는 곳이 있어야 하는데 바로 시장이다. 따라서 여기 설명에 " 공동체주의적인 아나키스트는 이와 같은 공동체들로 이루어진 사회에서"라고 할 때 여기서 사회라고 하는 것은 그냥 공동체들이 만나는 장소, 유형의 공간이 되었건 무형의 약속이 되었건 이미 사회라는 것을 말하는 것 자체가 이미 시장을 전제를 하는 것이다. 따라서 공동체주의적인 아나키스트라고 해도 이미 시장 아나키스트가 있는 셈이다. 오히려 그냥 아나키스트라고 말을 해버리고, 아나키스트는 공동체주의다, 서로 구별되지 않는다, 그런 다음에 그 사람들과는 다르게 자유지상주의자, 리버테리안을 설명하면 되었을 텐데 설명 방식이 조금 문제가 있는 점을 미리 알려둔다.  


50 이러한 계약[협정]을 맺는 것은 각각의 공동체의 이익이며, 만약 한 공동체가 신뢰를 상실한 것으로 입증된 경우에는 장차 어떤 공동체도 그 공동체와는 협조하려고 하지 않게 된다는[협조하지 않는다는], 협정 위반[계약/협정]에 대한 제재도 존재한다[있다].  
26 It is in each community’s interest to make these agreements, and the penalty for breaking them is that no one will be willing to cooperate with your community in the future if it proves to be untrustworthy.  


profit은 이윤이라고 번역되고, 이익은 좀 더 포괄적이다. interest는 이익, 이해관계, 관심으로 옮길 수 있다. 세가지 번역어 후보를 놓고 맥락에 따라서 적절한 것을 선택하면 된다. 

개념어를 구사하는 책에서는 번역 시 주의해야 한다. 같은 단어는 같은 번역어를 사용해야 한다. 여기서 agreements를 계약이라고 번역했다면, 뒷문장에서 breaking them의 them 도 계약이라고 해야 한다. 


51 그래서 다시 한번 강조하건대[말하건대], 사람들에게 무엇을 할 것인지 명령할 수 있는[말해주는] 중앙 권력[권위]은 필요 없으며, 공동체들에게 서로 협조하도록 강제하기 위해 강압적인 힘을 동원할[사용할] 필요도 없다. 이러한 체계는 효과적으로 질서를 유지할 것이다[자율적으로 다스려지게 될 것이다]. 
26 So once again there is no need for a central authority to tell people what to do, and no need to use coercive force to compel communities to cooperate – the system will effectively be self-policing.  

여기서 self 라는 단어도 번역을 해야 한다. 공동체주의적인 아나키스트이니 여기에는 자율적으로 움직인다는 것이 전제되어 있다. 
police는 질서를 유지한다는 뜻보다는 포괄적인 의미가 있다. police는 헬라스의 공동체(폴리스)에서 유래한 말. govern보다는 조금 느슨한, 다스려진다는 의미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