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교파 한눈에 보기 - 전희준 지음/이레서원 |
I. 서론
1. 교파 공부의 유익
2. 교파와 교단 용어 정리
3. 책 내용 소개
II. 각 교파의 형성 과정 및 특징
1.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개신교
2. 개신교
III. 주요 교리 비교
1. 기본 신학
2. 성례
3. 교회 정치 체제
IV. 결론
1. 내용 요약
2. 교파 공부 시 유의 사항
교파별 주요 사건 연대표
참고 문헌
결론
1. 내용요약
지금까지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개신교 교파의 형성 과정과 주요 교리를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각 교파의 주요 교리는 크게 세 가지 범주로 구분했다.
첫 번째 범주는 구원에 있어서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책임 사이의 관계에 관한 교리이다. 하나님의 주권을 좀 더 강조하는 개혁주의와 루터주의에는 장로교회, 루터교회가 속하고, 인간의 책임을 좀 더 강조하는 웨슬리주의에는 감리교회, 성결교회, 오순절 교회, 구세군이 속한다. 침례교회와 성공회는 양쪽의 교리를 모두 수용하는 공존형이다.
두 번째 범주는 성례에 대한 이해이다. 로마 가톨릭교회와 동방정교회는 일곱 개의 성례를 받아들이지만, 개신교에서는 세례와 성찬 두 개의 성례 만을 인정한다 개신교 중에서 구세군은 외적인 형태의 성례를 시행하지 않는다. 세례의 경우, 세례의 효과에 있어서 한쪽 편에는 로마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가 있다. 이들은 세례가 구원을 가져오는 은혜의 수단이라고 믿는다. 다른 한쪽에는 침례교회가 있는데 이들은 세례가 단지 구원의 상징일뿐이라고 믿는다. 대부분의 교파는 이 둘 사이에 위치해 있다. 세례의 방식에는 침수례, 점수례, 살수례, 주수례(관수례) 등이 있다. 대다수의
교파에서는 세례 방식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고, 주로 살수례나 주수례를 행한다. 침례교회는 침수례만을 인정한다. 동방 정교회와 다수의 오순절 교회도 침수례를 행한다. 유아 세례의 경우, 대다수의 교파에서는 유아 세례를 시행한다. 외적인 의식으로의 성례 자체를 거부하는 구세군을 제외하면 침례교회와 대부분의 오순절 교회, 그리고 일부 성결교회에서만 유아세례를 시행하지 않는다.
성찬에 관한 이해는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로마 가톨릭교회는 화체설을 주장한다. 떡과 포도주의 본질이 각각 그리스도의 살과 피로 변화된다는 이론이다. 동방 정교회는 이 용어를 사용하지는 않지만 화체설과 동일하게 성찬을 이해한다. 루터교회는 공재설(실재설)을 주장한다. 그리스도의 살과 피가 실제 떡과 포도주 '안에, 그것들과 함께, 그리고 그것들 아래에' 임재한다는 이론이다. 침례교회는 상징설 혹은 기념설의 입장을 취한다. 그리스도가 떡과 포도주에 실제로 임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들은 단지 그리스도의 몸과 피를 상징할 뿐이라는 견해이다. 영적 임재설은 장로교회, 성공회, 감리교회, 성결교회, 오순절 교회 등이 취하는 견해이다. 성찬은 그리스도의 과거 사역을 기념하는 예식이며, 실제로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유익을 얻는 예식이라는 것이다. 그리스도의 몸과 피는 하늘에 계시지만, 성령을 통해, 신자가 성찬에서 떡과 포도주를 받을 때 생명을 주는 유익이 전달된다고 믿는다.
세 번째 범주는 교회 정치에 대한 이해이다. 교회 정치는 크게 감독 정치, 회중 정치, 장로 정치로 나뉜다. 감독제를 택한 교파는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성공회, 감리교회, 구세군이고, 회중제는 침례교회, 장로제는 장로교회와 성결교회이다 루터교회와 오순절교회는 혼합형이다.
다음의 표는 위의 내용을 참고로 해서 간략하게 정리한 것이다.
'책 밑줄긋기 > 책 2023-25'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네스 O. 모건: 옥스퍼드 영국사 (0) | 2023.02.19 |
---|---|
후지타 쇼조: 천황제 국가의 지배원리 (0) | 2023.02.17 |
오구라 가즈오: 일본외교의 과오 (0) | 2023.02.14 |
토마스 만: 파우스트 박사 2 (0) | 2023.02.14 |
토마스 만: 파우스트 박사 1 (0) | 2023.02.01 |
D. 로즈: 헤겔의 <법철학> 입문 (0) | 2023.01.31 |
루치아 임펠루소: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 마로니에북스 세계미술관 기행 4 (0) | 2023.01.26 |
니콜라우스 쿠자누스: 신의 바라봄 (0) | 2023.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