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티오의 책들 | 문학 고전 강의 — 08 제4강(1) 길가메쉬 서사시

 

2023.04.04 문학 고전 강의 — 08 제4강(1) 길가메쉬 서사시

⟪문학 고전 강의 - 내재하는 체험, 매개하는 서사⟫, 제4강(1)

서사시가 사용하는 상징적 의미어들
보다, 심오한 것, 고난, 돌기둥에 새기다, 빵, 맥주, 노래
성벽: 도시와 경계, 문명, 문명화, 질서와 규율(근원적 질서, 인간들 사이의 자연발생적 질서, 공공영역의 규범질서)

 

오늘은 《문학 고전 강의》 제4강을 읽는다. "엔키두와 함께 세속적 야망을 성취하려 했던 길가메쉬" 이다. 5. 길가메쉬와 엔키두의 만남인데 책에 나와있듯이 영역본에는" The Taming of Enkidu"라고 되어 있다. 엔키두를 길들인다. taming이라는 단어는, 하비 맨스필드라고 하는 미합중국의 학자가 있다. 하비 맨스필드가 쓴 마키아벨리의 군주론 관련 책 중에 Taming the prince라는 제목을 가진 책이 있다. 군주를 길들임. 그런데 군주를 길들인다는 조금 그렇다. 군주의 훈육 그런 것쯤 되겠다. 그래서 여기 얘기한 것처럼 교화라는 이해할 수 있다. 서사시기 때문에 서사시에는 문학작품에서 사용하고 있는 가장 원형이 되는 상징적 의미를 가진 말들, 가장 원천적으로 되는 상징적 의미를 가진 말들이 여기에 들엉있다. 길들인다는 말도 이후에도 많이 나온다. 길가메쉬 서사시는 내용을 읽고 감동을 받는다는 것은 우리의 감정에게 알아서 하게 내버려두고, 길가메쉬 서사시를 공부를 한다고 할 때는 여기에 들어있는, 아주 오래된 서사시이기 때문에 여기에 들어있는 상징적인 의미를 가진 말들을 찾아내고 그것들로 단어장을 만들어 두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 새로운 상징들을 개발해서 통용될 수 있도록 문학작품에서 사용한다는 것이 그렇게 쉽지 않다. 문학작품이라는 것이 그렇게, 자기 혼자 읽고 자기 혼자 즐기기 위해서 문학작품을 창작하고 그리고 자기만 알 수 있는 상징을 쓴다는 것은 서사시에는 없다. 서사시에서 사용되고 있는 상징이라든가 표현이라든가 이런 것들은 대개의 것들은 널리 통용되는 것들이기 때문에 그게 바로 문학의 언어들이다. 그런 것들을 정리해두면 좋을 것 같다. 

제4강 49 다시 텍스트로 돌아와서 "5. 길가메쉬와 엔키두의 만남"을 읽겠습니다. 여기에서 두 번째 토판이 시작됩니다. 영역본에는 이 부분의 소 제목이 "The Taming of Enkidu"라고 되어 있습니다. 이는 '엔키두를 길들임' 정도로 옮길 수 있겠습니다. 다르게는 교화敎化라는 말로 이해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샴하트는 야생을 잊을 정도로 자신에게 푹 빠져 있었던 엔키두에게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내가 견고한 성벽으로 둘러싸인 우르크로 당신을 모시고 갈게요" 견고한 성벽으로 둘러싸인 우르크 이런 말들도 그냥 지나치면 안되겠다. 문명이 세워진 정치적 공간, 그러니까 성벽 안에 들어가야만 진정한 문명 사회를 알 수 있는 것이다. 50페이지에 적어 두었듯이 성벽이라는 말이 나오면 뭔가 상징적인 의미가 있다. 예를 들어서 크세노폰이 쓴 《헬레니카》를 보면 아테나이가 스파르타에게 함락당한 다음에 그런 구절이 있다. "그 후 리산드로스가 페이라이에우스로 들어왔고," 리산드로스는 스파르타, 라케다이몬의 장군이다, "망명객들이 돌아오고 피리 연주에 맞추어 적극적으로 성벽을 허물기 시작했다. 그날부터 헬라스의 자유가 시작된 것으로 간주되었다." 성벽을 허물었다는 것은 구체적인 물리적인 성벽이기도 하지만 아테나이 폴리스가 가지고 있던 고유한 질서 이런 것들이 더 이상 그 땅에서 의미를 가지지 않게 되었다는 것이다. 나중에 아테나이가 스파르타의 지배를 물리치고 자신의 폴리스의 고유함을 되찾았다고 하면 성벽을 다시 쌓았다고 표현할 수 있다. 성벽이라는 것은 그런 의미를 가지는데 한국에서는 성벽이 그렇게 큰 의미를 가지고 있지는 않다. 한국에서는 성벽보다는 궁전을 볼 때 그런 것일까. 임진왜란 때 궁전이 많이 불탔다. 일본에서는 오사카 성이나 그런 곳을 가보면 성에 싸움을 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 그리고 공격과 방어를 위한 요새의 하나로 성을 쌓는다. 그런데 우리는 그렇지 않다. 그것은 동아시아 세계에서 전범이 되는 방식에 따라 궁전을 짓는다. 중국에서도 싸움을 하면 성벽을 허물었다는 말은, 성벽을 실제로 쌓고 전쟁에 이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그것이 문명을 상징하는 구조물은 아니다.  

제4강 49 샴하트는 야생을 잊을 정도로 자신에게 푹 빠져 있었던 엔키두에게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엔키두, 당신을 보니 신처럼 변하셨군요. 왜 하필이면 야수들과 들판에서 떠도세요? 자, 이리 오세요. 내가 견고한 성벽으로 둘러싸인 우르크로 당신을 모시고 갈게요" _《길가메쉬 서사시》 5.길가메쉬와 엔키두의 만남

제4강 49 "견고한 성벽으로 둘러싸인 우르크", 이것은 문명이 세워진 정치적 사회를 말합니다.

제4강 50 크세노폰이 펠로폰네소스 전쟁에 관하여 쓴 《헬레니카》에서는 아테나이의 마지막을 다음과 같이 서술합니다. "그 후 리산드로스가 페이라이에우스로 들어왔고, 망명객들이 돌아오고 피리 연주에 맞추어 적극적으로 성벽을 허물기 시작했다. 그날부터 헬라스의 자유가 시작된 것으로 간주되었다"(《헬레니카》 Ⅱ.2.23) 


 

그 다음에 "견고한 성벽으로 둘러싸인 우르크"로 가기 전에 엔키두와 여자는 먼저 목동들의 막사로 갑니다. 목동들의 막사 이것 역시도 하나의 상징적인 장소이다. 목동들의 막사에서 빵과 맥주를 마신다. 거의 하나 하나가 다 단어장에서 쓸 수 있는 말이다. 빵과 맥주.  역자가 붙여 둔 각주를 보면 “물은 신이 만들었고, 술은 인간이 만들었다." 물은 자연 그대로 있던 것이고, 인간이 태어나 보니 물이 있더라, 그런데 술은 인간이 만들어야만 하는 것이다. 목동들은 야생의 장소에서 살고 있지만 먹는 음식은 분명히 문명인이 만든 것이고, 그것을 먹고 마셔야만 인간이 될 수 있으니까 목동들이 사는 막사로 갔다는 것은 중간 예비 단계를 거쳐가는 것이다. 그 전에는 엔키두가 샴하트와 있는 당시 여성과의 교섭 단계에는 그건 별로 문명화 단계라고 말하기 어렵다. 이제 갓 발길을 뗀 어린아이와 같은 것이고, 목동들의 막사로 갔다는 것, 거기서 배가 터지게 빵을 먹고, 일곱 단지나 되는 맥주를 마시고 노래를 불렀다. 빵과 맥주와 노래, 문명을 누리는 첫 단계에 들어선 것이다. 이것은 상징이기 때문에 인간이 먹고 마시고 자신에 대해서 표현하는 것을 상징하는 것이지 빵과 맥주와 노래를 하면 문명화가 된다는 것은 아니다. 표면적으로 이해하면 안된다. 텍스트를 밋밋하게 평탄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만 생각하고 읽으면 그런 식으로 되겠다.  

제4강 50 "견고한 성벽으로 둘러싸인 우르크"로 가기 전에 엔키두와 여자는 먼저 목동들의 막사로 갑니다.

제4강 50 역자가 붙여둔 각주를 보면 “물은 신이 만들었고, 술은 인간이 만들었다"고 적혀있습니다.


그 다음에 엔키두가 거리에 나타나 왕의 길을 막아섰다. 그런데 그전에 그는 "몸을 씻고, 기름으로 몸을 문"질렀습니다. 그러자 그는 사람으로 변하였습니다고 한다. 그러니까 빵과 맥주와 노래를 거친 다음에 몸을 씻었다. 그러니까 '사람'이 된 것이다. 이제 엔키두가 진짜 문명인이 되었다는 것이다. 여기까지 오고 그 다음에 엔키두와 길가메쉬가 만나서 "서로 맞잡고  젊은 황소처럼 겨루었다." 겨룬 다음에 친구가 되었다는 것이겠고, 맞잡고 겨루었다는 말들이 굉장히 상징적인 말들이다. 지금 길가메쉬 서사시의 첫번째부터 지금까지 상징적인 의미를 가진 말들이 나왔다. 단어장을 만들어 놔야 한다. 독서카드를 하나 해놓고 보면서 다른 문학 텍스트에도 그런 것들이 나오면 이런 것이구나 하고 새로운 의미가 덧붙여진 듯하면 덧붙여서 써놓기도 하고 그렇게 할 필요가 있다. 앞에서 "He who saw the Deep"라고 했는데 여기서 "보다"도 의미가 있다. 길마메쉬는 자신이 겪은 고난을 돌기둥에 새기다, 서사시의 주인공들은 꼭 고난을 겪는다. 그리고 자신이 겪은 고난을 돌기둥에 새겼다. 그 다음에 오늘 나온 것이 빵과 맥주와 노래이고, 성벽이다. 성벽은 중요하다. 다른 것도 중요하지만 문명과 관련해서는 성벽을 세운다라는 것이 중요하다. 도시를 가리킬 수도 있고 경계선을 가리킬 수도 있고 라티움어 civitas는 도시라는 뜻인데 성벽으로써 경계가 지워지는 것이다. 경계선이 굉장히 중요하다. 그 경계선이라는 것이 인간은 함부로 넘나들 수 없는 것이니까 당연히 그것은 질서와 규율과도 연결되는 것이다. 지난 시간에는 근원적 질서, 인간들 사이의 자연발생적 질서 그리고 공공영역의 규범질서 이런 것들에 대해 말했다. 그러면 도시에서 만들어지는 질서란 공공영역에서의 규범적 질서다. 이것은 인위적인 것이다. 인위적인 것이기 때문에 문화인 것이고 그것을 정당화하기 위해서 아주 먼 옛날부터 있었다, 근원적 질서다 라고 하거나 또는 인간들 사이의 도대체 거스를 수 없을 만큼 자연법 질서라고 말을 하기도 한다.   

제4강 51 "빵", "맥주", "노래" 이 세가지는 그가 인간의 문명을 누리는 첫 단계에 들어선 것을 보여줍니다. 그런 다음 그는 "몸을 씻고, 기름으로 몸을 문"질렀습니다. 그러자 그는 사람으로 변하였습니다. 이제야 그는 도시에 들어갈 수 있는 '사람'이 된 것입니다. 


오늘은 제4강을 간단하게 얘기했는데 여기서 지금까지 나와있던 상징들에 대해서 찬찬히 생각해보기 바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