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담화冊談話 | 인문고전 읽기의 실제 1-1

 

2023.05.31 🎤인문고전 읽기의 실제 1-1

커리큘럼

5.31   호메로스, 오뒷세이아
6.14   투퀴디데스,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6.28   플라톤, 국가·정체
7.12   셰익스피어, 리처드 2세 / 맥베스 / 오셀로
7.26   허먼 멜빌, 모비 딕

 

서지정보

호메로스 / 오뒷세이아 (알라딘 바로가기)

투퀴디데스 /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알라딘 바로가기)

플라톤 / 국가, 정체 (알라딘 바로가기)

셰익스피어 / 리처드 2세, 맥베스, 오셀로 (아침이슬 셰익스피어 전집 2, 4, 15)

허먼 멜벨 / 모비 딕 (페이퍼백)  (일러스트레이트 양장본)

 


제1강 호메로스, 오뒷세이아

일시: 2023. 5. 31. 오후 7시 30분-9시 30분
장소: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
강의 안내: https://learning.suwon.go.kr/lmth/01_lecture01_view.asp?idx=3172 

Robert Fagles, The Odyssey [Deckle Edge edition] 
Emily Wilson, The Odyssey

 

「인문고전 읽기의 실제」라는 것을 다섯 번 강의를 한다. 영어로 말하면 Reading in practice. 아주 당연하게도 가령 《오뒷세이아》를 읽을 때 텍스트의 내용을 주로 이야기하다 보다는 기술적인 측면을 주로 얘기하겠다. 《오뒷세이아》는 서사시이고, 《펠로폰네소스 전쟁사》는 역사책이다. 역사책을 나눌 때 원천적 역사, 반성적 역사, 철학적 역사로 나누는데 《펠로폰네소스 전쟁사》는 원천적 역사에 해당하는 책. 《국가·정체》는 고대의 대화편인 철학책. 우리가 읽는 것이 문학의 원형으로서의 서사시, 역사책의 원형으로서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역사책을 읽는 기술, 세번째는 대화편으로 이루어진 드라마의 형식을 띠고 있는 철학책을 읽는 기술, 네번째는 셰익스피어 드라마. 셰익스피어는 드라마이긴 드라마인데 고대 그리스 비극이 아닌 르네상스 시대, 즉 근대 드라마를 읽는 기술. 셰익스피어 드라마를 읽을 때는 어떤 기술을 사용해야 하는가를 알려주는 것. 말그대로 in practice, technē, 기술을 가르쳐 주는 것. 마지막으로 《모비 딕》은 서사시이다. 소설이라는 장르는 생각해서는 안된다. 소설은 소설을 읽는 기술이 없다. 소설은 roman, novel이라고 하는데 novel이라는 단어는 명사가 아니라 new이다. 원래 소설은 roman이다. 소설에 관한 가장 정교한 이론을 만들어 놓은 사람이 게오르그 루카치인데 책 제목이 《소설의 이론》 Die Theorie Des Romans이다. roman이라는 말은 원래 '제멋대로인' 이라는 뜻이다. 소설은 제멋대로 되어있는 글들이다. 기술이 필요 없다. 내키는 대로 읽으면 된다. 소설을 읽는 방법을 가르칠 수가 없다. 서사시는 구조가 있다. 셰익스피어 드라마도 당연히, 아리스토텔레스가 《시학》에서 만들어놓은 기술이 있고 그것에 따라서 고대 그리스 비극 드라마가 만들어져 있고, 이것을 셰익스피어가 약간 개수해서 만들어 놓은 것이 셰익스피어의 드라마들이다. romanticism은 낭만주의로 번역이 되는데 사실 낭만주의라는 말 자체가 적극적인 의미 내용을 가지고 있지 않은 말이다. 고전주의에 반대되는 것이 다 낭만주의이다. 고전이 아닌 것을 가리킬 때 낭만주의라고 한다. technē라는 것은 규범nomos에 따라 만들어진다. 규범nomos에 따라 만들어 지는 것을 classic이라고 한다. 옛날에 만들어졌다고 해서 클래식이 아니라 규범을 따른다고 해서 클래식이다. 클래식이라고 하는 것에 대해서는 그 규칙을 잘 알면 그것이 읽기의 기술이 된다. 그 기술을 읽히면 클래식을 읽을 수 있다. romanticism은 낭만주의라는 말도 되지만 non-classical 하나는 의미로도 쓸 수 있다. non은 非라는 말이고, classical 하지 않은 모든 것을 가리킬 때 쓴다.

classical한 텍스트들의 공통적인 정서fundamental sentiment가 있는데 그것에 동조가 되어야 텍스트를 읽을 수 있다. 그것이 쓸쓸함이다. 쓸쓸함이라는 것은 절망도 아니고 한탄도 아니고 그렇다고 엄청난 야망도 아닌 적당한 선에서 자기 스스로에서 물러나서 세계를 한쪽 눈만 뜨고 바라보는 태도라고 할 수 있다. 약간은 남에게 인정 욕구가 있어야 한다. 그렇다고 너무 인정받고 싶은, 남이 나를 인정 안해주면 어떻게 할까 하는 두려움에 떨면서 살면 안된다. 세상에서 한발짝 물러나 있되 그렇다고 완전히 물러나 있지는 않은, 그러면서도 이 세상에 울퉁불퉁한 거친 파도 밑바닥에 뭐가 있는지를 자기가 겪어보려는 태도가 쓸쓸함이다. 다시 말해서 전혀 세상을 겪지 않은 것은 아니다. pathos가 열정, 정념이라고 번역이 되는데 영어로는 passion이다. passion는 열정이라고 번역되기도 하고 수난이라고 번역되기도 한다. passion of christ. 열정이 있기 때문에 수난을 겪는 것이다. 《오뒷세이아》의 주제를 여러가지로 생각할 수 있는데 대표적인 주제로 알려진 것이 오뒷세우스라는 남자와 페넬로페라는 여자 그 두 사람 사이의 같은 마음homophrosynē을 확인하는 것이고 pathos를 겪어야 하는 것이다. 이것은 내용에 해당하는 것인데 그 내용을 가지고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얘기하지 않겠다. 그것은 각자가 느껴야 하는 일이다. 저는 형식적인 기술만을 얘기하겠다. 이번에 다섯번에 읽게 될 텍스트들은 종류가 다른 것이기 때문에 이 내용을 어떻게 이해하고 하는 것은 다시 얘기하지 않겠다. 

서사시의 개념을 보면 헤시오도스의 《신들의 계보》에 나와있는 얘기이다. "올륌포스의 집들에 사시는 무사 여신들은", 아홉 명의 무사 여신이 있다. 오늘날로 생각하면 문학, 서사시도 있지만 예술, 라틴어로 ars에 해당하는 것이다. 희랍어의 technē에 해당하는 것. 클레이오는 원래 명성에 해당하는 것으로 역사를 담당. 에우테르페는 서정시, 탈레이아는 풍요와 환성를 가리키는 말인데 희극을 가리킨다. 멜포메네는 비극, 테릅시코레는 합창과 가무, 에라토는 독창이고, 폴륌니아는 찬가, 우라니아는 천문인데, 천문이 들어가 있다. 천문이라는 것이 예술에 속하는가. 하늘의 이치, 하르모니아 즉 조화에 대해서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코스모스가 우주라는 뜻인데 동시에 조화로운 전체를 가리킨다. 그 다음에 칼리오페가 서사시이다. 칼리오페는 beautiful-voiced, 아름다운 음성이라는 뜻이다. 즉 칼리오페 여신이 관장하는 기술 영역이 서사시이다. 이때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예술로 이해하면 안된다. 오늘날 예술은 예술가들의 자의식이 굉장히 많이 투영되어 있는 분야인데 이 사람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아름다운 음성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아름다운 음성을 가지고 있으면 곧바로 이것으로부터 생겨나는 효과는 남을 잘 설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오늘날 예술은 자기 혼자 자의식이 충만해서 그것을 바탕으로 자기 혼자 즐기고 남이 예술이라고 하든 안하든 내가 예술이라고 생각하면 그만이다 생각하는데 이 당시의 사람들은 그런 예술 개념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그러면 아주 자연스럽게 반드시 청중을 생각하게 되고, 글로써 전해주는 것이 아니라 남들 앞에서 소리를 내어 들려준다. 우리가 책으로 읽는 《오뒷세이아》 텍스트를 눈으로 혼자 읽는 것이 아니라 이 얘기를 다른 사람 앞에서 음유시인이 이야기했다는 것이다. 가능하면 듣는 사람들이 느낄 수 있도록 약간의 연기를 해야 했다. beautiful-voiced에서 beautiful이 아름답다는 뜻만이 아니라 설득력있다는 뜻도 된다. 즉 감미로운, 사람들에게 파고드는 뜻도 되고, 사람들에게 아주 낯선 얘기를 하면 사람들이 못 알아들기 때문에 그것을 막기 위해서 상투적으로 사람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되풀이되는 꾸미는 말들을 끼워넣게 된다. 어떤 사람이 나오면 정해진 형용사를 쓸 수밖에 없게 된다. 호메로스의 서사시에서 아킬레우스는 발이 빠른 아킬레우스. 아킬레우스라는 사람이 나왔을 때 사람들에게 각인시키기 위한 하나의 서술방식. 

《신들의 계보》 75-80 올륌포스의 집들에 사시는 무사 여신들은, / 위대한 제우스에게서 태어난 아홉 딸들인 클레이오, / 에우테르페, 탈레이아, 멜포메네, / 테릅시코레, 에라토, 폴륌니아, / 우라니아, 칼리오페는. 칼리오페는 그분들 모두 중에서 / 가장 빼어나셨으니, 존경스런 왕들과도 함께 하신다.

 

찰스 디킨스 소설을 읽다가 호메로스 서사시를 읽으면 안된다. 찰스 디킨스는 사실주의 작가이다. 사실주의는 우리가 뭔가에 대해서 묘사를 할 때 가능한 한 묘사하는 사람의 생각과 태도를 최대한 배제하고 있는 그대로 서술하려는 태도이다. 우리는 뭔가에 대해서 서술할 때 사람의 행동을 중심으로 서술한다. 문학 장르로서의 사실주의라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대상 인식 방법과 굉장히 어긋나 있다. 그래서 놀라운 방식이다. 우리는 기본적으로 시간과 공간이라고 하는 직관의 형식으로 대상을 파악한 다음에 그 다음에 그것이 어떻게 움직이는가를 중심으로 대상을 파악한다. 내가 어디서 누구를 만나서 이러이러한 행동을 했다고 말해야 전달하기가 쉽다. 그런데 사실주의는 우리가 시간과 공간과 움직임에 집중하다 보니 놓치고 있는, 사실 이런 것들이 놓여있는 배경을 놓치고 있어서 그것부터 있는 그대로 해야 우리가 총체적인 앎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 사람들이 생각하기에 진실을 전하는 새로운 방법이다. 카메라의 눈이다. 그러니까 사실주의라는 장르가 본격적으로 등장하고 사진이라는 것이 등장하고 그에 이어서 영화가 등장하는 것이 맞물려 있는 상태이고 그것은 바로 아주 오랜 시간동안 사람들이 뭔가 사태를 설명하는 지배적인 방식이었던 서사시적 전달 방식을 전복시키는 것이다. 그래서 사실주의가 힘든 것이다.  간단히 말해서 사물을 파악하고 규정하고 그것을 전달하는 방식, 그 방식의 차이다. 우리는 대체로 사실주의 방식에 익숙해 있다. 우리는 그것을 과학으로 부른다. 서사시는 과학이 아니다. 발빠른 아킬레우스는 천천히 걸었다. 이것은 분명히 비과학적인 언명이다. 우리는 일단 어떤 사람에 대해 말할 때 아킬레우스 그러면 일단 발빠른 사람으로 규정하고 들어간다. 그래서 사실주의 문학의 가장 탁월한 업적을 남긴 사람이 에밀 졸라이다. 에밀 졸라가 《루공-마카르 총서》를 쓰면서 자기의 소설 장르는 실험소설이라고 했다. experiment, 즉 소설을 가지고 자연과학적인 실험을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서술 방식이 조금 다른 것이 아니라 아예 내 눈 앞에 펼쳐져 있는 것들을 나는 무엇이 중요한지를 지금까지의 사람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보겠다고 선언한 것이다. 그러면 어떤 classical한 규범이 없이 있는 그대로 내 눈 앞에 쭉 늘어서 있는 대로 쓰는 것이니까 roman이다. roman이라고 하는 것은 쓰는 사람에게 주도권이 있는 것이 아니라 저쪽에 주도권이 있는 것이다. 인간이 규칙을 만들어서 어떻게 해 볼 도리가 없는 것이다. 그래서 소설을 읽던 방식과 기술로는 서사시를 읽으면, 우리가 아주 익숙하지 않은 서술방식이다. 

칼리오페는 beautiful-voiced, 아름다운 음성이라고 되어있다. 아름답다고 하는 말이 그냥 아름답다가 아니라 그 당시 사람들에게는 설득력있는 그런 의미로 받아들여졌다는 것을 생각해야 한다. 무엇이 설득력이 있는가. 사실 그 사람이 무엇에 중요한 가치를 두느냐에 따라서 설득력 있는 것이 달라진다. Robert Fagles의 The Odyssey 책을 보면 Deckle Edge 에디션이다. deckle edge edition이라는 것은 책이 제본기로 깔끔하게 잘린 것이 아니라 톱날처럼 되어있는 것이다. 손이 베일일이 없다. 옛날에는 날카로운 제본기가 없으니 나이프로 자르다 보니 이렇게 된 것이다. 프린스턴 출반부에 나온 The Book of Exodus도 그렇다. 이런 책들을 꼭 사야만 하는가. 한국 사람들은 전세계적으로 알아주는 효율성의 민족이다. 효율성이라고 하는 것은 각각의 개인이 가지고 있는 고도의 순간적인 판단력과 판단력에 따른 빠름, 그리고 빠름을 금전적 이익으로 환원시키는 능력 이 세가지를 함축한다. 그 다음에 abuse, 오용과 남용과 시스템의 무력화가 일어난다. 그렇게 되면 구성원들의 신뢰가 깨지고 자연스럽게 전쟁상태가 된다. 그런 것이 한국사회에 이를테면 사회적인 심성구조social mentality로 되어있다. 그래서 beautiful-voiced라는 말이 설득되기 어렵다. 극소수의 돈 안되는 취향으로 전락하기 쉽다. RSC(Royal Shakespeare Company)에 가면 goods shop이 있다. 이번에 신상이 나왔다. 이런 것이 유치찬란한 취향이 아니라 이런 것들이 종합적으로 이루어질 때 beautiful-voiced라는 말이 연결이 된다. 이것이 하나의 일종의 미학적 총체가 된다. 

그 다음에 서술방식. 모든 서사시가 다 그런 것은 아닌데 대체로 호메로스의 서사시만이 아니라 classical한 텍스들은 다 in medias res라는 방식으로 선택한다. 라티움어인데 in은 ~안으로, medias는 가운데, res는 사태, 사건, 사물, thing을 가리키는 말이다. 그래서 in medias res는 '사건의 한 가운데로'라는 뜻이다. 단순히 가운데가 아니라 서사시를 읽을 때 또는 셰익스피어 드라마를 읽을 때도 마찬가지이다. 우리는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인생의 모든 국면이 각기 독자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각각은 그것 자체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근대 이후의 적어도 18, 19세기 이후에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합의한 인생에 대한 태도이다. 서사시를 읽을 때 in medias res를 단순히 서사시의 기술이라고 생각해서는 안되고 인간과 세계를 보는 태도 자체가 다른 것이다. 태어난 순간부터 시작해서 죽을 때까지 모든 순간이 그것 자체로 그것 안에서 in itself meaningful 하다고 생각한다. 나중에 일어난 경험이 먼저 일어난 경험을 평가할 수 없다. 근대적 세계관의 관점에서 생각해보면 나서 죽을 때까지 특정한 지점을 떼어내서 그것이 그 사람의 인생 전체를 드러내 준다고 말할 수 없다. 《오뒷세이아》에서는 오뒷세우스라는 사람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그러면 오뒷세우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고 하면서 오뒷세우스가 태어나면서 죽을 때까지 전 이야기를 들려주면 그것은 roman이다. 그리고 그것이 전기biography이다. 그런데 지금 여기 보면 "20년 동안 있었던 일을 40일 정도로 압축했고 결정적 계기들을 중심으로 핵심적인 부분만 설명함으로써 사건 전체를 보고하는 방식"이다.  즉 1권~8권 사이가 10년, 9권~12권 사이가 10년, 13권 이후에 며칠의 분량이 앞의 분량과 거의 동일하다. 그 며칠 동안에 일어난 사건이 오뒷세우스의 일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들이라는 것이다. in medias res는 다르게 말하면 특정한 단면을 자른다는 뜻도 된다. 오뒷세우스가 집으로 돌아와서 며칠 동안 겪은 일들을 서술함으로써 그 사람의 삶 전체를 말할 수 있다는 태도가 바탕에 깔려 있는 것이다. 부분이 전체를 담고 있는 것. 기본적으로 사태를 파악하는 방식 자체가 다르다.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 라는 말은 서사시적 파악 방식이다. 하나를 보면 어떻게 알아, 열을 다 지켜봐야지라고 말하면 모던한 파악방식이다. 그래서 읽을 때 셰익스피어 드라마도 그렇고 호메로스 서사시도 그렇고 classical 한 텍스트들은 기본적으로 전 우주가 하나의 점 안에 들어갈 수 있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인간이라는 것이 별로 발전이 없다는 것이다. 인간의 삶이라는 것은 진보하지 않고 항상 되풀이된다고 하는 생각이 깔려 있다. 그러면 고전 문헌학을 전공한 사람들의 생각은 돌고 돈다는 세계관이다. 니체의 영겁회귀, 고전문헌학자이다, 니체의 생각을 가장 잘 알 수 있는 텍스트는 《비극의 탄생》이다. 그러면 인간을 바라보는 classical한 태도와 극단적으로 대립되는 태도는 기독교이다. 기독교는 기본적으로 인류 역사가 진보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런 수많은 고난을 거쳐서 메시아가 와서 안식의 시대가 와서 평화로운 시대가 계속될 것이라 말한다. 고통이 끝난다. 진보라는 생각이 기독교와 연결되어 있다. 그렇다면 classical한 텍스트를 쓴 사람들은 기독교적 세계관에 동조하지 않는 사람들이다. 그래서 대표적으로 셰익스피어 드라마 전체를 보면 안 쓴 단어가 있다. bible, spirituality 이런 단어들이 없다. 서양에서는 classical한 텍스트를 만드는 사람, 그리고 classical한 세계관을 가지고서 뭔가를 작업하는 사람들은 기독교적 세계관에 대해서 적극적으로는 아니어도 항상 배척하는 태도를 가지고 있다. 그러면 《모비딕》은 아주 대놓고 anti-christ이다. 그러니까 금서이다. 《모비딕》을 보면 욥기, 요나서도 나와서 기독교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생각하기 쉬운데 사실 그것은 표면적인 것이고 허먼 멜빌이 가지고 있는 밑바닥에 놓여있는 생각은 classical한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