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티오의 책들 | 문학 고전 강의 — 48 제18강(2) 아이스퀼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

 

2023.09.09 문학 고전 강의 — 48 제18강(2) 아이스퀼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

⟪문학 고전 강의 - 내재하는 체험, 매개하는 서사⟫, 제18강(2) 

코러스. “아아, 이 왕가에 / 혈족 살해의 무서운 폭풍이 / 세 번째로 불어닥쳤구나. / 첫 번째는 제 자식의 살점을 먹은 / 튀에스테스의 비참한 운명이고, / 두 번째는 아카이오이 족의 군대를 / 지휘하시던 왕이 욕조에서 피살된 일이라네. / 세 번째는 구원자께서 나타나실 차례이거든, / 내 이제 그를 구원자라 불러야 할것인가, / 아니면 파멸이라 불러야 할 것인가? / 이 살인의 광기는 기운이 다해 잠들기 전에 / 또 어디로 달려갈 것인가?”(제주를 바치는 여인들, 1065-1076)

 

 

《문학 고전 강의》 제18강 오레스테이아 3부작에서 오레스테스가 왜 주인공인가를 지난 번에 얘기했다. 가장 심각한 이율배반에 처한 사람이기 때문에 그렇다. 우리가 살면서 이율배반의 경우를 많이 당한다. 나쁜 짓을 할 것인가 착한 일을 할 것인가 라는 것은 이율배반이 아니다. 당연히 착한 일 해야 한다. 지난번에는 왜 그것이 제목이 되었는가 그가 왜 주인공이 되었는가를 얘기했으니 이번에는 한번 책을 읽어가면서 살펴보겠다. 

190페이지에 보면 "오레스테스는 자신이 어떤 행위를 해야할지 분명히 말합니다. 그것은 "아버지의 죽음"을 복수하는 것입니다. 그 과정이 <제주를 바치는 여인들>에서 차근차근 나타납니다."라고 했다. 차근차근이라는 단어를 썼는데 이게 참 좋은 단어인 것 같다. 차곡차곡은 쌓아 올린다는 느낌이 들고 차근차근은 한발 한발 한 걸음씩 나아간다는 느낌이다. 영어를 모국어로 쓰는 사람에게는 그런 느낌을 주는지 모르겠지만 step by step의 느낌이다. 저는 글을 쓸 때 의성어 의태어 이런 것들 있는데 그런 것들을 좀 궁리해서 골라 쓰려고 노력을 한다. 그러면 글의 생동감을 가져다주는 일이 아주 가끔 있다.  

제18강 190 오레스테스는 자신이 어떤 행위를 해야할지 분명히 말합니다. 그것은 "아버지의 죽음"을 복수하는 것입니다. 그 과정이 <제주를 바치는 여인들>에서 차근차근 나타납니다.

 

그런데 어머니를 죽이는 것을 차근차근 한다는 건 조금 아무래도 느낌이 좀 안 좋다. 간단한 일이 아니니까 그렇다. 그래도 친모 살해라고 하는 잔혹한 행위를 하려면, 이건 정말 친부 살해보다도 대체로 인류의 역사 속에서 가장 잔악한 행위로 여겨져 온 것이다. 그러면 도대체 왜 이 헬라스 비극들은 이렇게 극단적인 상황으로 인간을 몰고 갈까. 이걸 읽으면서 많이 의문을 가졌는데 여전히 잘 모르겠다. 도대체 왜 이들은 이렇게 극단으로 사태를 몰고 가는 것일까. 좀 더 읽어봐야 될 건지 아니면 이렇게 극단적인 일을 당해봐야 알 것인지, 아마 당해봐야 알 것 같다. 그런데 아직 그런 일을 안 당해봐서 그런 건지 이 헬라스 비극의 극단성을 뚜렷하게 실감하지는 못하겠다. 그저 읽고 읽으면서 막연히 공감을, 그런데 막연히 공감도 할 수 없다. 친모살해를 어떻게 공감하겠는가. 막연히 그냥 생각만 해보는 것이다. reasonable하지는 않다. 설득되지는 않는데 이게 스토리를 만들려고 하는 것인가 라고 생각된다. 
 
그다음에 이제 191페이지에 보면 코로스가 "이 궁전의 영특한 꿈의 예언자 공포가 / 머리털을 곤두세운 채 잠결에 노여운 숨을 / 몰아쉬며 한밤중에 무서운 비명을 지르니 / 집 안 깊숙한 곳에서 울려퍼지는 / 이 공포의 목소리." 이 공포의 목소리는 이제 클리타이메스트라이다. 영특한 꿈의 예언자 공포가 머리털을 곤두세운 채 무엇인가를 두려워하면서 울부짖고 있다. 그러니까 클리타이메스트라가 자기 남편을 죽이고 사랑하는 아이기스토스와 행복한 삶을 살 줄 알았는데, <아가멤논>에서는 분명히 그렇게 되었다. 장담했는데 결국 그게 아니었던 것이다. 

<제주를 바치는 여인들> 33~37행
코로스 4(우1): 이 궁전의 영특한 꿈의 예언자 공포가 / 머리털을 곤두세운 채 잠결에 노여운 숨을 / 몰아쉬며 한밤중에 무서운 비명을 지르니 / 집 안 깊숙한 곳에서 울려퍼지는 / 이 공포의 목소리

 


코로스는 클리타이메스트라의 공포가 해소되기 위해서는 무엇이 이루어져야만 하는지를 냉정하게 진단해서 말을 한다. "아아, 어머니 대지여, / 신에게 미움을 산 그 여인", 복수의 여신에게 미움을 샀다. "나를 보낸 것은 / 이렇게 달갑지도 않은 호의로 / 재앙을 막기 위함이라네. / 이는 진정 말하기조차 무서운 일, / 한번 땅에 쏟은 피 그 무엇으로 보상하리오?" 뭔가 한 번 땅에 쏟은 피는 아가멤논의 피니까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게 이제 눈에는 눈 이에는 이. 말 그대로 인간사는 끝없이 선의는 선의로 갚고 악의는 악으로 갚고 죄는 죄로 갚아야 한다. 코로스가 이렇게 말함으로써 오레스테스가 복수를 해야 한다는 것에 대한 이건 일종의 인간사회의 영원한 법칙이다.  

<제주를 바치는 여인들> 42~48행
코로스 4(좌2): 아아, 어머니 대지여, / 신에게 미움을 산 그 여인 / 나를 보낸 것은 / 이렇게 달갑지도 않은 호의로 / 재앙을 막기 위함이라네. / 이는 진정 말하기조차 무서운 일, / 한번 땅에 쏟은 피 그 무엇으로 보상하리오?

 

배경이 설정되고 이제 복수를 하려면 마음만 먹어서 되는 게 아니라 극단으로까지 그 복수심이 끌어올라야 하는데 그 복수심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아버지의 무덤으로 가야한다. 그래서 거기서 엘렉트라와 오레스테스가 만난다.  이제 그 둘이 아버지의 무덤가에서 엘렉트라와 오레스테스가 둘이 말하자면 복수심의 상승, 에스컬레이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겠다.  오레스테스가 하는 말 "아버지 불쌍하신 아버지. / 무슨 말을 하고 어떻게 행동해야 / 멀리 떨어져 있는 제가 암흑 속에 누워 계시는 / 아버지 곁에 갈 수 있겠나이까?" 아버지와 같은 마음이 되어서 이제 아버지의 분노를 자기에게 당겨오려는 것이다. 그런데 오르스테스에게는 이것이 너무나도 당연한 것이지만 코로스는 인간사회의 규칙을 떠올리면서 "땅에 쏟아진 피는 / 또 다른 피를 부르는 법. / 살육이 풀어낸 복수의 여신이 / 이전에 살해진 자들을 위해 / 재앙의 재앙을 포기하는 것이지요."라고  미리 얘기를 하는 것이다. 행한 자는 당하기 마련이라고 하는 정의의 대원칙이 여기서 천명된다. 저는 정의의 대원칙을 믿는다. 용서는 인간이 할 수 있는 일이 아니기 때문에 용서는 신이 하는 것이고 우리 인간은 그냥 복수해야 한다. 인간은 그렇게 해서 정의를 세워야 한다. 저는 그렇게 생각한다. 그러니까 애초에 복수할 일을 안 만들고 인간사에 얽혀 들어가려고 하지 않고 그러는 것일 뿐이다.  

<제주를 바치는 여인들> 315~318행
오레스테스: 오오, 아버지 불쌍하신 아버지. / 무슨 말을 하고 어떻게 행동해야 / 멀리 떨어져 있는 제가 암흑 속에 누워 계시는 / 아버지 곁에 갈 수 있겠나이까?

<제주를 바치는 여인들> 400~404행
코로스: 땅에 쏟아진 피는 / 또 다른 피를 부르는 법. / 살육이 풀어낸 복수의 여신이 / 이전에 살해진 자들을 위해 / 재앙의 재앙을 포기하는 것이지요. 

 

코로스가 정의의 대원칙을 천명하고 엘렉트라는 자신이 어머니에게 학대를 받았다는 것을 알리고 그리고 이제 코로스가 조금이라도 오레스테스의 분노를 가라앉히려고 노력을 한다 하면 바로 엘렉트라가 그것을 불러일으킨다. 그러니까 여기서는 가만히 보면 엘렉트라와 클리타이메스트라는 분노를 불러일으키는 역할을 맡고 있다. 그런데 이제 엘렉트라가 잠깐이라도 잊어서는 안 되는 그것을 상기시킨다. 듣기에도 창피한 장례식, 즉 아가멤논의 장례식이 굉장히 불명예스럽게 치러졌다는 것을 얘기한다. "아버지께서는 / 그 여인의 손에 난도질당한 채 / 묻히셨으니, 이는 아버지의 죽음으로 / 그대 일생의 부검을 지우는 거예요." 난도질당한 채 묻히셨다. 이게 심란한 것이다. 시신이 훼손된 상태로 묻혔다는 것은 "고대 그리스에는 흉계로 피살된 사람의 손발을 잘라 겨드랑이와 목에다 묶고 칼에 묻은 핏자국을 피살자의 머리에 닦아버리면 가해자가 복수를 면한다는 미신이 있었다." 그러니 클리타이메스트라는 아가멤논을 죽인 후에 복수를 피하기 위해서 손발을 잘라 겨드랑이와 목에다 묶고 아가멤논을 죽일 때 사용한 칼에 묻은 핏자국을 머리카락으로 닦았다는 것이다. 물론 클리타이메스트라는 복수를 피하기 위해서였지만 시신을 훼손하여 훼손된 상태로 묻었다는 것 이것은 정말 앞에서 나온 것처럼 듣기에도 창피한 장례식이었던 것이다.  

<제주를 바치는 여인들> 439~442행
코로스: 끔찍한 말씀이오나, 아버지께서는 / 그 여인의 손에 난도질당한 채 / 묻히셨으니, 이는 아버지의 죽음으로 / 그대 일생의 부검을 지우는 거예요.

 

그러니 오레스테스가 그리고 엘렉트라가 당연히 "정의와 정의가 맞서리라. 신들이시어 정당한 판결을 내려주소서." 이렇게 맹세를 하는 것이고 기원을 하는 것이다.  거기까지 왔다. 그리고 코로스도 "그들이 승리하도록 도움을 주소서." 이제 "일단 행동하기로 결심한 이상 운명을 시험해 보세요." 여기까지 왔다.  그런 다음에 지난 시간에 얘기했던 것처럼 오레스테스는 궁전으로 들어가 아이기스토스를 죽이고 클리타이메스트라를 죽이려 하는데 그 시점에서 어떻게 할까라고 망설이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제 어머니를 죽인다. 오레스테스는 인간이니까 복수의 사슬에서 벗어날 수 없다.  

 

어머니를 죽이고 그리고 나서 뭐라고 하는가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기 위해서 말을 한다. 록시아스, 즉 퓌토의 예언자 록시아스는 아폴론이다. 아폴론이 "내게 이런 행동을 하도록 촉구하셨소"라고 말을 했다. 그런데 이것은 오레스테스 마음대로 해석한 신의 뜻이겠다. "살인을 하더라도 벌받지 않을 것"이라고 하셨다.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기 위해서 아폴로신을 동원했다. 그런데 코로스는 그렇지 않다고 얘기를 한다. 저는 이 코로스의 1065행에서 1076행 사이에 있는 말이 오레스테스의 신을 동원한 자기정당화에 대해서 한 얘기가 그다음으로 이어져 가는 얘기의 연결고리이자 사실은 참다운 진리는 이런 것이다 라고 본다. 코로스의 역할을 생각해 볼 때 항상 등장 인물들의 대사보다는 코로스의 대사가 뭔가 진리에 훨씬 가깝다. "이 살인의 광기는 기운이 다해 잠들기 전에 / 또 어디로 달려갈 것인가?" 계속해서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그 복수의 연쇄가 살인의 관계이고 그것이 어디로 갈 것인가, 해소되어야만 할 텐데 어떻게 될 것인가. 그것은 살인을 하더라도 벌을 받지 않을 수 있는가. 이것은 이제 <자비로운 여신들>에서 답을 얻을 수 있겠다. 그러면 다음번에는 제19강 자비로운 여신들을 보겠다.  

<제주를 바치는 여인들> 1065~1076행
코러스. 아아, 이 왕가에 / 혈족 살해의 무서운 폭풍이 / 세 번째로 불어닥쳤구나. / 첫 번째는 제 자식의 살점을 먹은 / 튀에스테스의 비참한 운명이고, / 두 번째는 아카이오이 족의 군대를 / 지휘하시던 왕이 욕조에서 피살된 일이라네. / 세 번째는 구원자께서 나타나실 차례이거든, / 내 이제 그를 구원자라 불러야 할것인가, / 아니면 파멸이라 불러야 할 것인가? / 이 살인의 광기는 기운이 다해 잠들기 전에 / 또 어디로 달려갈 것인가? 

 

지난번에 부루노 스넬의 책 얘기를 잠깐 언급했는데 <오이디푸스>를 읽고 그다음에 에우리피데스의 <메데이아>를 읽고 그런 다음에 브루노 스넬의 텍스트에 있는 내용들 정리해서 몇 번에 걸쳐서 한번 읽어보려고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