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티오의 책들 | 문학 고전 강의 — 70 제29강(2) 셰익스피어 《오셀로》

 

2023.12.02 문학 고전 강의 — 70 제29강(2) 셰익스피어 《오셀로》

⟪문학 고전 강의 - 내재하는 체험, 매개하는 서사⟫ 제29강(2)

- 기독교도 오셀로
“우리가 터키 인이 된 겐가, 그리고 우리 자신한테 저지르는 겐가,
하늘이 오토만 인들한테도 금했던 짓을?
기독교도로서 부끄러운 일이로다, 이 야만적인 소란을 멈추라.”

Are we turn'd Turks, and to ourselves do that
Which heaven hath forbid the Ottomites?
For Christian shame, put by this barbarous brawl.(2.3.172-174)

 

 

 

《문학 고전 강의》의 《오셀로》를 읽고 있다. 제29강의 분량이 얼마되지 않는데 《오셀로》라고 하는 이 작품이 가지고 있는 배경이나 우리가 주목해서 봐야 될 지점들이 《맥베스》에 비하면 꽤 복잡다단하다 하는 말을 했다. 《문학 고전 강의》를 해설하면서 《문학 고전 강의》가 다루고 있는 작품들을 다시 한번 읽어보고 있다. 셰익스피어 드라마 중에 소홀하게 다뤄진 것들이 어디 있겠는가, 여러 사람들이 아주 다양한 시각에서 보고 있다. 《오셀로》를 다시 한 번 많이 열심히 읽어봐야겠다. 군데군데 떼어내서 읽어보는 것도 꽤 좋은 것이다. 오셀로라고 하는 사람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을 해보는데, 제가 강의할 때 가지고 다니는 이 텍스트, 김정환 씨가 번역한 아침이슬에서 나온 책을 보면 간지라고 하는 부분이 있다. 책 앞에 본문 들어가기 전에 출판사에서 끼워놓은 여분의 종이를 말하는데 거기에 읽다가 생각나는 걸 적어두거나 강의 교재로 사용하는 것들은 본격적으로 읽기 전에 전체를, 제가 생각해 놓은 구도를 적어놓는다. 거기를 보니까 5개 항목을 적어놓았다. 그때도 얘기했던 것 같은데 다섯 번째를 보면 오셀로가 관객에게 제시하는 선택지라고 써놨는데, 현실 인식 위의 비참한 삶과 거짓의 비극적인 외견상 고결한 삶. 관객에게 곤란한 선택을 압박하는 것이 드라마의 목표이다. 희랍비극에서는 사실 사람이 선택할 게 없다. 그냥 닥치는 대로 살다 보면 moira에 의해서 어떻게 된다. 그들은 궁극적으로 믿고 있는 바가 있다. 그런데 드라마 오셀로는 르네상스 드라마니까 인간이 뭔가를 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 데스데모나는 이제 읽어가면서 얘기를 하더라도, 오셀로는 어쨌든 드라마의 주인공이니까, 오셀로가 도대체 왜 이렇게 되었을까, 자신이 살아가고 있는 현실은 베니스이니까, 베니스라고 하는 그런 지점에서 뭔가를 좀 하지 않았을까를 생각해보게 된다. 

지금 이 드라마가 다 해서 5막인데 2막 3장을 읽어보다가 이 지점에서 그때 이것을 좀 열심히 읽어볼 걸 하는 지점이 다시 있었다. 2막 3장이 키프로스 성채이다. 키프로스에 오셀로와 데스데모나가 왔다. 거기서 오셀로가 "훌륭한 마이클, 오늘 밤 경계를 부탁하네"라고 하니까 이제 캐시오가 "이아고에게 지시를 내려놓았습니다"하고 오셀로가 "이아고는 아주 충실하지. / 마이클, 잘 자게. 내일 일어나자마자 / 얘기를 나누세." 그리고 나서 데스데모나에게 이제 가자고 했다. 어딜 가는지 모르겠고 그러고 나니까 오셀로, 데스데모나 그리고 시종들이 퇴장하자 이아고가 등장해서 이아고가 캐시오와 둘이 대화를 나눈다. 그런데 여기서 캐시오와 이아고가 나누는 대화를 보면 이아고는 약간 깐죽거리면서 얘기를 한다. "장군님이 이리 일찍 우리를 보내신 것은 데스데모나에 대한 그분의 사랑 때문이죠. 뭐 그렇다고 비난하자는 얘기는 아니고요. 그분은 아직 그녀와 밤을 놀아보지 못하셨으니까요." 약간이 아니라 뭐 많이 비아냥거리는 얘기를 한다. 그러니까 캐시오는 "그분은 아주 우아한 숙녀시라네." 그런데 이아고가 "장난기가 철철 넘치시고요." 이러다가 이제 술을 마시러 간다. 이제 거기에서 몬타노가 나타난다. 몬타노는 키프로스 행정관이다. 여기서 잉글랜드 사람들은 술을 잘 마신다고 하면서 몬타노, 캐시오, 이아고 셋이서 술을 마시다가 이제 몬타노와 캐시오 사이에 다툼이 벌어진다. 캐시오가 좀 술을 많이 마셨다. 그러다 둘이 싸운다. 거기서 이아고가 "[로드리고에게] 가라고, 빨리. 가서 반란이라고 외쳐." 그래서 종이 울리는데 거기서 오셀로가 등장한다. 거기부터 보면 오셀로가 "여기 무슨 일인가?", 몬타노가 "제기랄, 아직도 피가 나네. 치명상을 입었어." 그다음에 오셀로가 "멈춰라, 살고 싶으면!" 그리고 이아고가 여기서 "부관님, 귀하, 몬타노, 신사 여러분들! / 지각과 의무감 일체를 망각하셨단 말입니까? / 그만하세요. 장군께서 말씀하고 계십니다. 멈춰요, 멈춰. 창피하게시리." 그다음에 오셀로가 하는 말이 있다. 

오셀로가 하는 얘기를 보면 "왜, 어쩌다 이 지경이, 호? 어쩌다 이런 일이 벌어졌는가?"  그다음에 보면 "우리가 터키 인이 된 겐가, 그리고 우리 자신한테 저지르는 겐가, / 하늘이 오토만 인들한테도 금했던 짓을?" 이게 이 부분에서 특정한 국가, 특정한 어떤 종족을 거론한다는 것에서어떤 종족적 편견이라고 하는 것을 갖고 있는 것이다. 오셀로가 지금 이렇게 얘기를 하는 부분을 보면 "Are we turn'd Turks, and to ourselves do that"이라고 되어있다. "하늘이 오토만 인들한테도 금했던 짓을? Which heaven hath forbid the Ottomites?" 이게 2막 3장의 172행이다. 이런저런 책 읽다 보면 평소에는 그냥 무심코 지나쳤던 것들도 다시 보게 되는데, 요즘에 세계사 책을 읽다 보니까 그냥 쭉 읽어나가다가 눈에 툭 덜커덕 걸렸다. 그다음에 오늘 오셀로의 정체성, 오셀로의 생각을 알아차리는데 이게 괜찮겠다 라는 것이 "기독교도로서 부끄러운 일이로다, 이 야만적인 소란을 멈추라. For Christian shame, put by this barbarous brawl."하는 대사가 있다. 그리고 바로 그 72행에서는 "Are we turn'd Turks"라고 되어 있다. 그리고 74행에 "하늘이 오토만 인들한테도 금했던 짓을? / 기독교도로서 부끄러운 일이로다" 이렇게 세 줄을 쭉 읽어보면 이 지점에서 기독교도와 투르크인의 대립 구도를 드러내 보였다. 이때까지만 해도 오셀로가 굉장히 고결한 삶을 사는 거 아니었겠는가. 자기의 정체성을 계속 바깥에다가, 남들이 나에 대해서 뭐라고 하든 간에 어쨌든 나는 나를 이런 사람으로서 스스로를 규정하고 그 규정성을 내적으로나 외적으로나 합치시켜가려고 노력을 한다. 사실 사람이라면 다 그렇게 한다. 나쁜 놈들은 내가 나쁜 놈이구나 그러니까 나쁜 짓을 계속해서 내가 나쁜 놈이라고 하는 정체성을 계속 유지하려고 하지만 그렇게 사는 놈은 별로 없다. 그러니까 그런 놈들은 나쁜 짓을 할 것이고, 그런데 우리는 어쨌든 겉으로 드러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늘 신경 쓰면서 그것을 자기 내면과 일치시키려고 하고 있다. 이제 오셀로는 그걸 알고 이제 현실이 이러하니까 거기서 외견상 고결한 삶을 살아야겠다 라고 생각하는 것이고 노력을 할 것이다. 그런데 또 한편으로는 밀려오는 열등감, 주변의 시선 그리고 이아고가 자기를 건드리는 깐죽거림 이런 것들 때문에 미치겠으니까 그냥 자신의 비참함이라고 하는 것이 내면에서 계속 이렇게 갈등하고 있는 것이다. 

《오셀로》 2막 3장
오셀로: 왜 어떠다 이 지경이, 호? 어떠다 이런 일이 벌어졌는가?
  우리가 터키 인이 된 겐가, 그리고 우리 자신한테 저지르는 겐가,
  하늘이 오토만 인들한테도 금했던 짓을?
  기독교도로서 부끄러운 일이로다, 이 야만적인 소란을 멈추라.

 

또 이제 오셀로 못지않게 캐시오도 술에 취해서 몬타노와 칼부림을 했는데, 그 칼부림을 한 장면을 캐시오는 기억을 못하고 있고 이아고가 캐시오에 대해서 안 좋은 얘기를 한다.  "캐시오가 고래고래 욕을 하는 게 더 심상치 않았거든요. 이것도 / 전에 없던 일이니까요." 그러니까 오셀로는 "난 알고 있네, 이아고. / 자네의 진실성을"라고 얘기하고 캐시오는 "더 이상 내 장교는 아니야"라고 얘기한다. 이 지점에서 캐시오는 자기가 고생스럽게 지켜왔던 그 무언가를 잃어버리고 이제 데스데모나가 그 시끄러운 와중에 등장을 해서 오셀로하고 함께 퇴장을 했다. 그러니까 이아고와 캐시오가 둘이 이렇게 떠든다. "저런, 다치셨어요, 부관님?" 이아고는 정말 사악하다.  "그래, 아무런 치료도 소용없을 정도로" 이말은 몸뚱어리가 심하게 다쳤다는 것이 아니다. 그다음 대사를 보면 “명성, 명성, 명성━오 나의 명성을 잃어버렸어. 내 자신의 불멸의 일부를 잃어버렸어. 그리고 남은 것은 짐승뿐이로다! 나의 명성, 이아고, 나의 명성 Reputation, reputation, reputation! O, I have lost my reputation! I have lost the immortal part of myself, and what remains is bestial. My reputation, Iago, my reputation!" 이렇게 얘기를 한다. 지금 여기서 캐시오가 reputation을 6번을 얘기한다. 그러니까 아무런 치료도 소용없을 정도로 다쳤다 라고 말했을 때 그 치료는 육체적인 것이 아니라 명성을 잃어버린 것에 대한 고통이다. 그러니까 이아고가 "정직하게 말씀드리자면, 전 무슨 육체적 상처를 입으셨나 했네요. 명성보다야 그게 더 말이 되지요. 명성이란 게으르고 아주 인위적인 개념이죠. 종종 자격도 없이 얻어지고 억울하게 박탈되는. 스스로 잃었다고 평하지 않는 한 명성을 잃은 게 전혀 아녜요." 사실 이야고가 참 얄미운 게 아주 맞는 말을 한다. 캐시오나 오셀로나 맞는 말 하는 사람들이 아니다. 그냥 낯간지러운 말하는 사람들이고 이아고가 하는 말이 맞는 말이다. "명성이란 게으르고 아주 인위적인 개념"이다. 누가 나를 알아준다는 느낌, 스쳐서 죽는 독약과도 같은 것이다. 누가 나를 알아준다는 느낌이 명성이다. 게으르고 아주 인위적인 개념이다. 자격도 없이 얻어지고 억울하게 박탈되고, 스스로 잃었다고 평하지 않는 한 명성을 잃은 게 아니다. 내가 잃었다고 판단하지 않는 한, 내가 애초에 명성 따위는 신경 안 쓴다고 하면 잃을 것도 없다. 여기서 이아고는 이렇게 정말 맞는 말만 한다. 아주 명료하게 명성에 대해서 정리를 한다.  

《오셀로》 2막 3장
오셀로: 난 알고 있네, 이아고.
  자네의 진실성을. 그리고 사랑이 정말 이 일을 최소화,
  캐시오 건을 가볍게 만드는 군. 캐시오, 난 자네를 사랑하네,
  하지만 더 이상 내 장교는 아니야.

《오셀로》 2막 3장
이아고: 저런 다치셨어요, 부관님?
캐시오: 그래, 아무런 치료도 소용없을 정도로.
이아고: 쯧, 하나님 맙소사.
캐시오: 명성, 명성, 명성━오 나의 명성을 잃어버렸어. 내 자신의 불멸의 일부를 잃어버렸어. 그리고 남은 것은 짐승뿐이로다! 
  나의 명성, 이아고, 나의 명성
이아고: 정직하게 말씀드리자면, 전 무슨 육체적 상처를 입으셨나 했네요. 명성보다야 그게 더 말이 되지요. 명성이란 게으르고 아주 인위적인 개념이죠. 종종 자격도 없이 얻어지고 억울하게 박탈되는. 스스로 잃었다고 평하지 않는 한 명성을 잃은 게 전혀 아녜요. 


그리고 나서 이아고가 "장군님의 아내께서 장군이세요." 그러니까 데스데모나에게 뭔가를 해보라고 하니까 지금 이 지점에서 뭔가가 틀어져버린다. 드라마 전체가 그렇다. 캐시오는 이야고의 충고를 받아들여서 자신이 원하는 바가 명성이고 그 명성을 얻기 위해 최대한 생각을 해본다. 캐시오가 모르고 있던 궁리가 이야고에서 나왔다. 이아고는 도와주는 것이니까 충실하다. 오셀로는 자기가 기독교도로서, 사실 오셀로와 캐시오는 겉으로 드러난 모습에 아주 목을 매는 사람들이고 그렇기 때문에 둘 다 그럴 수밖에 없다. 우리는 이런 지점에서 고통스러운 선택을 계속해야 된다. 

《오셀로》 2막 3장
이아고: 장군님의 아내께서 장군이세요. 무슨 말인가 하면, 그분은 그녀의 몸매와 미덕을 응시하고, 주목하고, 또 관찰하느나 얼이 빠져 버렸다니까요. 그녀한테 툭 터놓고 말씀을 드려보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