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락제 - 단죠 히로시 지음, 한종수 옮김/아이필드 책읽기 20분 | 영락제 2 [ 원문보기]중화中華의 의미하夏, 화華, 제하諸夏, 화하華夏: 우월성을 드러내는 문화적 의미중국中國, 중주中州, 중토中土: 지리적 관점에서 나온 말이에 대비되는 동이東夷, 서융西戎, 남만南蠻, 북적北狄 또한 지리적 개념이면서 동시에 문화적 개념 “이적이라도 예의를 알면 중화의 백성이 되고 중화의 백성조차도 예와 의를 실추시키면 이적으로 취급되었다.” 화이華夷화이華夷 질서는 동아시아 국제 관계를 규정하는 개념당나라 때 책봉冊封 체제로 구체화“절대적인 무력과 경제력과 정치력으로 동아시아 세계에 군림”참조: 박한제, 宋은 漢族이 건국했지만 군사력이 열세여서 화이질서를 내세우지 못했다.元은 몽골족이 건국했고 막강한 군사력과 국제무역..
영락제 - 단죠 히로시 지음, 한종수 옮김/아이필드 책읽기 20분 | 영락제 1 [ 원문보기]전근대 동아시아 국제질서, 즉 ‘화이질서華夷秩序’의 완성자로서의 영락제를 다룬다.현대 중국에서는 영락제의 적극적인 외교정책의 측면에서 그를 재평가한다. - 저자의 관점“14, 15세기 무렵의 중국과 이에 휘말린 동아시아 각 나라들의 관계를 축으로, 영락제 시대를 재현하고 그에게 부여된 역할을 객관적으로 분석” - 명대 이후의 동아시아 질서“중국의 영향을 받은 주변 국가들은 영락제 시대에 명나라를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에 편입되어 그 구조 안에서 행동하도록 강제되었다.” - 영락제의 ‘화이일가華夷一家’라는 용어와 그것의 현실적 실현, 다민족 복합국가로서의 명나라 체제 - 청대 옹정제의 ‘화이일가’, 건륭제의 ‘중이일..
제국 - 헤어프리트 뮌클러 지음, 공진성 옮김/책세상 책읽기 20분 | 제국 10 [ 원문보기]제5장 약자의 힘에 좌절하는 제국 뮌클러, 참조 “강한 적에 막혀 제국이 좌절한 경우보다 훨씬 더 시사하는 바가 많은 것은 제국이 자기에게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예상하지 못한 약한 상대에 의해 무릎을 꿇게 되는 경우이다.” 제6장 제국 이후의 시대에 놀랍게 돌아온 제국 냉전 이후 미합중국(아메리카 제국)이 ‘유일하게 남은 초강대국’으로 남은 시대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가. 제5장 약자의 힘에 좌절하는 제국, 제6장 제국 이후의 시대에 놀랍게 돌아온 제국을 남겨두고 있는데 이 두 챕터는 앞서 1,2,3,4장에 나온 얘기들의 후속편에 해당한다. 오늘날의 상황에 대해서 다루고 있어서 자세하게 얘기하려면 굉..
청일.러일전쟁 - 하라다 게이이치 지음, 최석완 옮김/어문학사 Reading_20min_20140707_3– 시베리아철도와 일본– 이나가키 만지로(稻垣滿次郞, 1861-1908), 東方策: 지정학적 관점에서 서술된 국제정치론– 구가 가쓰난(陸羯南, 1857-1907): “메이지 24년(1891)은 실로 우리 동양 문제가 움직이기 시작한 시대”(1894년의 언급)– 야마가타 아리토모(山県有朋)의 의견들1) 군사의견서(1888년 1월): 시베리아철도 계획 발표 3년후. 아시아에서 영국과 러시아의 대립, 캐나다의 태평양철도, 시베리아철도2) 외교정략론(1890년 3월): “우리나라 이익선의 초점은 실로 조선에 있다… 시베리아철도가 완공되는 날이 곧 조선에서의 多事가 일어나는 날이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제국 - 헤어프리트 뮌클러 지음, 공진성 옮김/책세상 책읽기 20분 | 제국 9 [원문보기]제4장 문명화와 야만인 경계: 제국적 질서의 과제와 특징 제국 지배 정당화 담론의 핵심은 ‘평화’. ‘로마의 평화’(Pax Romana) 제국의 사명과 정당화 야만인 담론 번영에 대한 약속 “제국의 사명이 제국의 중심부에 있는 엘리트를 주로 향하고, 야만인 담론을 통해 제국적 공간의 질서가 그것을 둘러싼 무질서와 구별된다면, 번영에 대한 약속은 제국의 [중심부와 주변부의] 모든 거주자에게 전달되어야 한다. 이때 그것은… 제국이 자기의 경계 안에서 사는 모든 사람에게 약속하는 확실한 이익이다.” “제국이 번영에 대한 약속을 이행하고, 야만인 담론을 통해 상상의 경계를 세우고, 제국적 사명에 대한 설득력을 유지하고, ..
제국 - 헤어프리트 뮌클러 지음, 공진성 옮김/책세상책읽기 20분 | 제국 8 [원문보기]제3장 초원 제국, 해양 제국, 그리고 지구적 경제: 제국적 지배에 관한 간략한 유형학(3) – 제국의 발전과 쇠퇴는 상승과 하강으로 이루어져 있다. 관건은 위기 국면인 저점을 빠르게 통과하는 것과 상승 국면에 오래 머무는 것이다. – ‘아우구스투스의 문턱’은 상승 국면에 오래 머물 수 있는 개혁 조치들을 실행하는 것을 말한다. 옥타비아누스의 개혁내용 1) 로마 농촌 귀족들의 신뢰를 획득함으로써 도시의 귀족을 견제 2) 헌정과 행정 질서에 대한 영향력 3) 행정체계 재구성을 통해 과두 집단의 축재蓄財 공간이었던 속주들을 효율적으로 통치되는 제국의 일부로. 이 모든 것은 “부패에 맞설 수 있는 행정 엘리트의 창출에 달..
청일.러일전쟁 - 하라다 게이이치 지음, 최석완 옮김/어문학사 Reading_20min_20140629_2– 일본에게는 1874년의 대만 출병의 성과를 유지·확대하려는 의지나 군사력은 없었다. 일본이 계속적인 전쟁의지를 갖게 된 것은 청일전쟁 이후이다. 대륙에 확보한 이권이나 식민지를 유지·확대하는 것이 아시아·태평양 전쟁까지 이어진 일본의 국가목표였다.– 청일전쟁의 의의: 제국주의 국제체제에 가담, 계속적인 전쟁의지의 출발점, 매스미디어에 의한 국민의 탄생– 복합전쟁으로서의 청일전쟁: 1)7월 23일 전쟁(대 조선), 2)협의의 청일전쟁(대 청), 3)농민전쟁 섬멸작전(대 조선민중), 4)대만정복전쟁(대 대만민중)– 러일전쟁의 의의: 군사적 사회로 가는 길, 서구제국주의에 대한 아시아의 승리가 아니라 ..
청일.러일전쟁 - 하라다 게이이치 지음, 최석완 옮김/어문학사Reading_20min_20140623_1– 청일전쟁(1894-1895), 러일전쟁(1904-1905)– 한반도와 직접 관련되는 영역들이 많은 시기이다.– 한국과 일본의 관계라는 주제를 파악할 때 관련되는 차원을 혼동해서는 안된다. 추상적 차원의 평화논리와 역사적 차원의 진실 규명, 법적 차원의 책임문제 등은 각각이 가진 차원에서 논의해야만 한다.– 역사는 온전히 인간이 행한 일의 기록이며, 인간이 책임져야 하는 영역이다. ‘신의 뜻’이 개입될 여지는 전혀 없다.– 일본과 한국의 역사왜곡, ‘자학사관'(自虐史觀)에 관한 논의는 메이지 시대에 대한 찬양에 근거하는 경우가 많다. – “일본의 군대는 청일전쟁부터 아시아태평양 전쟁이 종료될 때까지 ..
제국 - 헤어프리트 뮌클러 지음, 공진성 옮김/책세상책읽기 20분 | 제국 6 [원문보기]Posted on 2017년 2월 27일 by 강유원 제3장 초원 제국, 해양 제국, 그리고 지구적 경제: 제국적 지배에 관한 간략한 유형학(1) 마이클 만, 권력의 네 가지 원천 팽창 단계: 군사적 우위, 경제적 우위(물리적 위력) 공고화 단계: 정치적 힘, 이데올로기적 힘(무형의 위력) — 지배공간의 통치와 관련된 비용의 규모, 제국이라는 짐을 짊어지려는 주민들의 의지 도일Doyle, “아우구스투스의 문턱”: 팽창에서 공고화로 이행하는 과정, 로마공화정(Respublica Romana)에서 로마제국(Imperium Romanum)으로. 참조.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
민권과 헌법 - 마키하라 노리오 지음, 박지영 옮김/어문학사 Reading_20min_20140616_7야스마루 요시오(安丸 良夫), 근대천황상의 형성(近代天皇像の形成) 읽기 – 18세기 말까지의 이데올로기 상황 속에서 질서의 정당화: “막부와 번의 권력과 결합하여 유교적인 仁政觀을 전제로 한 질서상” – 19세기 이후 등장한 천황숭배론과 국체론으로써 체제(regime)의 통일성을 이루는 기본요소가 전면적으로 교체됨 – 천황권위의 내면화: “학교 교육과 청년단, 재향군인회 등을 통해서 천황 숭배와 국체관념은 점차 깊숙히 국민의식 속에 파고 들어가게 되며, 근대화 과정의 성과는 천황의 권위와 결부되어 국민의 통념적인 부분을 형성” – “천황에게 권위 중추를 두고 국민국가로서의 통합과 발전을 꾀한다는 지상의..
제국 - 헤어프리트 뮌클러 지음, 공진성 옮김/책세상책읽기 20분 | 제국 5 [원문보기]Posted on 2017년 2월 20일 by 강유원 제2장 제국, 제국주의, 패권: 필수적인 구분 위신 추구와 권력경쟁: 정치적 제국주의 이론 – 이론의 원천: 마르크스가 에서 제시한 ‘보나파르트주의’. 좌·우 세력이 균형상태에 이르러 어느 한 쪽도 다른 쪽은 완전히 제압하지 못한 상황에서, 쿠데타를 통해 찬탈한 지배권을 대외전쟁을 거듭함으로써 연장하려는 시도에서 이 전쟁이 제국주의 전쟁으로 전개되는 것. 권력과 영향력을 두고 벌이는 국가들 간의 경쟁을 설명하는 방식 — 소프트파워 제국과 패권의 구별 – 마이클 만, 찰머스 존슨, 헨리 키신저 등의 구별방식 – 하인리히 트리펠: 패권은 국가가 경계가 뚜렷한 반면 제..
민권과 헌법 - 마키하라 노리오 지음, 박지영 옮김/어문학사 Reading_20min_20140609_6야스마루 요시오(安丸 良夫), 근대천황상의 형성(近代天皇像の形成) 읽기– 전통적 권위로서의 천황: “교토를 중심으로 의례적 질서나 우주론적인 차원에서 조정숭배나 신국론으로 경사(傾斜)하여 스스로의 사회적 존재를 권위지우는 경향”– 현실 권력으로서의 막부의 장군: “장군=국왕설의 입장에서 막부의 전제적 지배권을 명확히 하려는 동향”– 체제의 위기: “권력이 구성하려는 질서나 질서의식과 사회의식의 다양한 흐름과의 사이에 균열” “여기에 일정한 형태의 새로운 질서관념이 적극적으로 구성되기 위해서는 위기의식이라는 별도의 매개가 필요”– 대립되는 체제 정당화 기제들의 충돌, 위기의식의 돌출, 새로운 질서를 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