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 에드워드 크레이그 지음, 이재만 옮김/교유서가 1. 철학 2.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플라톤의 『크리톤』 3. 우리는 어떻게 아는가?―흄의 『기적에 관하여』 4. 나는 누구인가?―무명 승려의 자아에 관한 성찰: 밀린다 왕의 마차 5. 몇 가지 주제 6. ‘-주의/론’에 관하여 7. 흥미로운 저작들―나의 선택 8. 누구에게 어떻게 이로운가? 참고문헌―어디로 가야 하나?/ 역자 후기/ 도판 목록 도서목록: 알라딘 서재 옮긴이 이재만 님의 더 읽을거리 1. 철학 12 철학이 우리와 그토록 가깝다면, 어째서 그토록 많은 이들이 철학은 난해하고 다소 기이한 무엇이라고 생각하는 걸까? 그렇지 않다고 쉽게 치부해버릴 수도 없다. 어떤 철학은 난해하고 기이하며, 최고의 철학은 대부분 처음에는 난해하거나 기..
플라톤 - 남경희 지음/아카넷 머리말 서문 : 플라톤과 서양철학의 사유범주 제1부 플라톤의 생애와 철학의 개관 제2부 윤리적 삶에서 인신과 이익 제3부 정신의 지향성 제4부 형상의 존재론 제5부 국가에서 정의와 이성 제6부 세계 구성의 원리 참고문헌 찾아보기 1장 플라톤의 시대와 그의 저술 33 플라톤과 그 시대 고대 그리스는 위대한 시기였다. 이 시기는 서구 정신사에서 가장 탁월한 인물 셋을 거의 동시에 배출했다. 이들 세 사람은 우연히 동시대적 인물이 된 것이 아니라 깊은 정신적 관계 속에서 등장 했으므로 고대 그리스의 문화가 우리에게 주는 의의는 더욱 크다고 하겠다. 소크라테스(Socrates)는 플라톤(Platon)의 스승이었고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는 플라톤이 개설한 서양 최초의 ..
세계사 공부의 기초 - 피터 N. 스턴스 지음, 최재인 옮김/삼천리 옮긴이의 말 서장 세계사란 무엇인가 1장 세계사의 골격 2장 역사가처럼 생각하기 3장 시간, 시대구분과 평가 4장 공간, 지역과 문명 5장 만남과 교류 6장 주제와 범주 7장 세계사의 쟁점 8장 현대사, 우리 시대의 세계사 관련 공부 글 보기 [공부/인문학공부 I] - 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6 | 01 세계사 공부의 기초 ? 역사가처럼 생각하기 1 [공부/인문학공부 I] - 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6 | 01 세계사 공부의 기초 ? 역사가처럼 생각하기 2 [공부/인문학공부 I] - 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6 | 01 세계사 공부의 기초 ? 역사가처럼 생각하기 3 [공부/인문학공부 I] - 강유원의 책읽기 20..
에우티프론,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파이돈 - 플라톤 지음, 박종현 엮어 옮김/서광사 머리말 일러두기 편 편 편 편 관련 사진 참고 문헌 고유명사 색인 내용 색인 목차 I. 시작 하는 대화 (2a~5d) 1. 에우티프론이 소크라테스가 기소된 이유 를 들음 (2a~3e) 2. 에우티프론이 자기 아버지를 살인죄로 기소하게 된 경위를 소크라테스가 들음 (3e~4e) 3. 소크라테스가 에우티프론 에게 '경건함'이 무엇인지에 대한 가르침을 청함 (4e~5d) ll. 경건함에 대한 첫번째 정의: 사례 열거를 통한 의미 규정의 잘못 (5d~6e) 1. 에우티프론이 살인, 성물 절취 따위의 올바르지 못한 짓에 대한 기소와 같은 사례를 들어, 이를 '경건한 것' 이라 말함 (5d~6c) 2. 경건함'에 대한 물음은..
국가·정체(政體) - 플라톤 지음, 박종현 옮김/서광사개정 증보판을 내면서 초판의 머리말 플라톤의 생애와 철학 《국가》(政體) 해제 일러두기 대화자들 제1권 제2권 제3권 제4권 제5권 제6권 제7권 제8권 제9권 제10권 1권327a 어저께 나는 아리스톤의 아들 글라우콘(Glaucon)과 함께 피레우스로 내려 갔었네. 332c 그렇다면 시모니데스는 올바른 것(정의로운 것: to dikaion)이 무엇인지를 말함에 있어서 시인처럼 암시적으로 말한 것 같소. 그는 각자에게 합당한 것을 갚는 것, 이것이 올바른 것이라 생각하고, 이 합당한 것(to prosēkon)을 갚을 것(마땅한 것: to opheilomenon)이라고 일컬은 것 같으니까 말씀이오. 338c 들으십시오! 저로서는 올바른 것(to dika..
향연 - 플라톤 지음, 강철웅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 작품 안내 작품 분절 틀 이야기 1. 아폴로도로스의 도입 이야기 (172a1-174a2) 본 이야기 2. 아리스토데모스의 향연 이야기 서두 (174a3-175e10) 3. 향연 방식과 이야기 주제 결정 (176a1-178a5) 4. 파이드로스의 연설 (178a6-180b8) 5. 파우사니아스의 연설 (180c1-185c3) 6. 아리스토파네스의 딸꾹질 (185c4-e5) 7. 에뤽시마코스의 연설 (185e6-188e4) 8. 웃음에 관한 공방 (189a1-189c1) 9. 아리스토파네스의 연설 (189c2-193e2) 10. 소크라테스의 걱정 (193e3-194e3) 11. 아가톤의 연설 (194e4-197e8) 12. 소크..
고르기아스 - 플라톤 지음, 김인곤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 작품 해설 작품 개요 등장 인물 본문과 주석 부록 옮긴이의 글 참고 문헌 찾아보기 작품 개요 I. 도입부(447a-448e) 연설 회장 바깥 장면: 소크라테스, 카이레폰, 칼리클레스 간의 짧은 대화 II. 소크라테스와 고르기아스의 대화 (449a-461b) (1) 연설술에 대한 정의 (449a-453a) (2) 정치술의 원동력이자 모든 기술의 상위 기술로서의 연설술 (453b-457b) (3) 고르기아스적 연설술의 문제점 (457c-461b) III. 소크라테스와 폴로스의 대화 (461c-481b) (1) 고르기아스적 연설술의 정체: 정치술의 부분적 모상 (461c-466a) (2) 고르기아적 연설술의 힘은 과연 큰가?..
파이드로스 - 플라톤 지음, 김주일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 작품 해설 작품 개요 등장인물 본문과 주석 부록(옮긴이의 글, 참고 문헌, 찾아보기) 목차 1. 서론 : 파이드로스를 만나 일리소스 강변으로 가다 (1) 신화를 합리적으로 해석하는 파이드로스와 소크라테스의 반론 (2) 이야기를 읽을 장소의 아름다움에 대한 묘사 2. 에로스에 대한 뤼시아스의 이야기 3. 첫 번째 막간 대화 : 뤼시아스 연설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비판 4. 에로스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첫 번째 연설 5. 두 번째 막간 대화 : 다이모니온의 개입과 ‘다시 부르는 노래’ 6. 소크라테스의 두 번째 이야기 : 다시 부르는 노래 (1) 도입 : 신적인 광기의 이로움 (2) 신적인 광기로서 에로스의 이로움 1) 혼의 ..
크리티아스 - 플라톤 지음, 이정호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 작품 해설 작품 개요 등장인물 본문과 주석 1.도입부 대화 2.옛 아테네와 선조들 3.아틀란티스섬과 사람들 4.본성의 타락과 징벌 부록 아틀란티스에 관하여 옮긴이의 글 참고 자료 참고 문헌 찾아보기 저작 연대는 기원전 369년, 대화시기는 기원적 430-425년 소크라테스가 40-45세. 20 가 쓰인 기원전 360년경의 아테네는 이미 선조들이 물려준 자랑스러운 모습도 아니었고 강대국 페르시아를 물리쳤던 위대한 조국도 아니었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아테네는 페르시아를 물리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후, 도시국가들 사이에서 주도권을 행사하며 급속하게 패권 국가로 나서기 시작하였다. 아테네가 더욱 제국화되면서 서로 조화와 ..
프로타고라스 - 플라톤 지음, 강성훈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 작품 안내내용 구분등장 인물 본문과 주석 부록시모니데스의 시옮긴이의 글참고 문헌찾아보기 357a-357c "좋아요 여러분. 우리 삶의 구원이 사실 즐거움과 괴로움의 올바른 선택, 더 많고 더 적고 더 크고 더 작고 더 멀리 있고 더 가까이 있는 즐거움과 괴로움의 올바른 선택에 있다는 것이 드러났으니, 이것은 우선 서로 간의 넘침, 부족함, 같음의 검토인 측정술이라는 것이 드러난 게 아닙니까?" - "그럴 수밖에요." - "측정술이니까, 그것은 필연적으로 기술이고 앎이라는 것이 분명하지요." - "그들이 동의할 것입니다." - "이것이 어떤 종류의 기술이고 앎인지는 다음 번에 검토하기로 하지요. 하지만 당신들이 우리에게..
알키비아데스 1,2 - 플라톤 지음, 김주일 외 옮김/이제이북스'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 알키비아데스11.작품 해설2.내용 구분3.등장인물본문주석 알키비아데스21.작품 해설2.내용 구분본문주석 부록옮긴이의 글참고 자료참고 문헌찾아보기 알키비아데스1117d~118b소크라테스: 그러니까 알지 못하는 것들에 관해서, 자네가 그걸 알지 못하는 것을 알고 있는 한에서는 헤매지 않겠지?알키비아데스: 그럴 성싶습니다.소크라테스: 그러면 행동상의 잘못들 또한 이런 무지탓에, 즉 알지도 못하면서 안다고 생각하는 무지 탓에 있게 된다는 것을 자네는 이해하겠는가?알키비아데스: 그건 또 무슨 뜻으로 하시는 말씀입니까?소크라테스: 아마도 우리는 우리가 행하는 게 무엇인지를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그때에 행동에 착수하겠지?..
중국인 이야기 1 - 김명호 지음/한길사 목차책을 내면서 덧붙이는 말 참새 소탕전의 추억류사오치는 마오쩌둥의 속마음을 읽지 못했다마오쩌둥, 장하오의 관을 메다물과 햇빛과 바람을 싫어한 천하명장 린뱌오문화대혁명을 뒤에서 음모한 캉성 전쟁을 하면서도 학문과 자유를 키운 시난연합대학두부와 혁명잊혀진 사상가 장선푸우리 가슴에 대나무 한 그루씩을 심자최고 권력자 장제스의 쟁우 후스시베리아 추위도 장징궈의 웃음 앗아가지 못했다영원한 자유주의자 레이전장제스와 비극적인 대논객 천부레이 북벌부인 천제루마오의 장정부인 허쯔전마오의 딸들무장한 여인중공의 청춘장춘차오를 감옥문에서 기다리던 원징 중화인민공화국 국가를 작곡한 녜얼중국 현대미술의 반역자예술은 사회와 인민의 것이다세상물정 모르는 화가들 마오쩌둥식 중·소외교짜고 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