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의 『이성의 한계 안의 종교』 입문 - 에디스 N. 밀러 지음, 김성호 옮김/서광사옮긴이의 말 … 5 머리말 … 11 1장 맥락 … 15 2장 주제들의 개관 … 27 3장 본문 읽기 … 33 초판과 재판의 머리말 … 33 『종교』의 1부 … 42 『종교』의 2부 … 105 『종교』의 3부 … 141 『종교』의 4부 … 185 4장 평가와 영향 … 213 5장 더 읽어볼 만한 자료들 … 225 참고문헌 … 231 찾아보기 … 239 15 독일 철학자 칸트(Immanuel Kant, 1724-1804)의 여러 저술은 사실상 철학의 모든 영역에서 가장 중요한 영향력을 오늘날까지도 계속 발휘해왔는데 이런 사정은 이 책의 기본 주제인 종교철학의 영역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칸트의 저술 『이성의 한계 안의 종교』..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 - 임마누엘 칸트 지음, 백종현 옮김/아카넷책을 펴내면서 | 005 제1부 『순전한 이성의 한계들 안에서의 종교』 해제 | 015 해제 | 017 관련 주요 문헌 | 067 제2부『순전한 이성의 한계들 안에서의 종교』역주 | 109 ※역주의 원칙 | 111 ※유사어 및 상관어 대응 번역어 표 | 115 『순전한 이성의 한계들 안에서의 종교』 번역 및 주석 | 147 찾아보기 | 467 일러두기 | 469 인물 찾아보기 | 470 개념 찾아보기 | 472 제1판 머리말 149 도덕은 자유로운, 그러나 바로 그렇기 때문에 스스로 자신의 이성에 의해 자신을 무조건적인 법칙에 묶는 존재자인 인간의 개념에 기초하고 있다. 그런 한에서 도덕은, 인간의 의무를 인식하기 위해서 인간 위에 있..
노비에서 양반으로, 그 머나먼 여정 - 권내현 지음/역사비평사프롤로그 1장, 노비로서의 삶 2장, 평민 혹은 그 이상 3장, 양반을 꿈꾸다 에필로그─ 그들의 미래 프롤로그7 18세기의 노비 시인 정초부(1714-1789)가 죽자 주인 여춘영(,1734-1812)은 벗처럼 여겼던 그를 묻고 돌아오는 길에 "삼한 땅에 명문가 많으니 다음세상에는 그런 집에서 나게나"라고 읊조렸다. 노비 출신이 시인으로 당대에 이름을 날린 것도 특이하지만, 주인이 그를 오랫동안 벗으로 대우한 것도 흔한 일이 아니었다. 정초부가 양반들로부터 대우를 받은 것은 그가 글을 익혔을 뿐만 아니라 아름다운 시들을 남겼기 때문이다. 그것은 한편으로 그의 재능을 알아본 주인 여춘영의 배려가 있어서 가능한 것이기도 했다. 하지만 대다수의 노비..
헤겔의 종교철학 - 피터 C. 하지슨 지음, 정진우 옮김/동연출판사추천사 / 최신한, 정재현 서문 / 피터 C. 하지슨 문헌 주해 제1부 | 헤겔 종교철학의 형성 과정 1장. 정신의 신학자 헤겔 2장. 헤겔의 종교 관련 저작들 3장. 헤겔과 그 시대의 신학 제2부 | 헤겔 종교철학의 구성 요소 4장. 그리스도교와 종교의 개념 5장. 개념과 인식 그리고 신앙 6장. 삼위일체: 절대정신으로서 신 7장. 창조, 인간성 그리고 악 8장. 그리스도와 화해 9장. 성령과 공동체 10장. 그리스도교와 다양한 세계 종교 제3부 | 헤겔 종교철학과 현대 신학 11장. 헤겔이 오늘에 주는 신학적 의미 역자 후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97 1821년 『종교철학』은 이후의 강의에서도 반복되는 다음의 주장으로 시작한다. "종교철학..
종교철학 -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지음, 최신한 옮김/지식산업사제 1부 종교의 개념 1.종교일반의 개념 2.종교적 관점의 학문적 개념 3.종교적 관점의 필연성 4.예술과 종교의 관계 및 철학과 종교의 관계 제2부 규정종교(유한적 종교) 1.직접적 종교 2.숭고함의 종교와 아름다움의 종교 3.합목적성의 종교-혹은 이기적 종교 4.합목적성의 종교-혹은 오성 종교 제3부 완전종교 혹은 계시종교 1.계시종교의 추상적 개념 2.구체적 표상 혹은 규정 3.교회와 제의 [5] 이 강의의 대상은 종교철학이다. 종교철학은 일반적으로, 그리고 전체적으로 자연신학이라고 불리어온 종래 형이상학의 목적과 동일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자연신학은 단순한 이성이 신에 대해 알 수 있는 영역으로 파악되어 온 것이며, 우리가 이성 외..
마르크스주의의 주요 흐름 2 - 레셰크 코와코프스키 지음, 변상출 옮김/유로서적제1장 마르크스주의와 제2 인터내셔널 제2장 독일 정통파: 칼 카우츠키 제3장 로자 룩셈부르크와 혁명적 좌파 제4장 베른슈타인과 수정주의 제5장 장 조레스: 구원론으로서의 마르크스주의 제6장 폴 라파르그: 한 쾌락주의자의 마르크스주의 제7장 조르주 소렐: 한 쟝센주의자의 마르크스주의 제8장 안토니오 라브리올라: 열린 정통주의의 모색 제9장 루드빅 크르치비치: 사회학의 도구로서 마르크스주의 제10장 카치미르츠 켈레스-크라우츠: 정통주의의 폴란드 대표 제11장 스타니슬로브 브르조조프스키: 역사적 주관주의로서의 마르크스주의 제12장 마르크스주의운동에서 칸트주의자들: 오스트로-마르크스주의?윤리학적 사회주의 제13장 러시아 마르크스주의..
헤겔의 『정신현상학』 입문 - 스티븐 홀게이트 지음, 이종철 옮김/서광사옮긴이의 말 … 5 한국어판 저자 서문 … 9 머리말 … 11 텍스트에 대한 일러두기 … 13 1. 맥락 … 17 2. 주제 둘러보기 … 37 3. 텍스트 읽기 … 61 4. 수용과 영향 … 299 더 읽어볼 책들 … 305 찾아보기 … 315 293 우리가 지금까지 따라왔던 발전 과정을 재검토해보자. 의식은 그 자신과 다른 어떤 것과의 관계에 있다는 것을 받아들인다. 다음으로 자기-의식은 자신과 자신의 자유에 초점을 맞춘다. 이성은 이 두 개의 시각을 그것이 연관된 대상 속에서 자기 자신을 발견함으로써 결합하며, 그래서 "그것이 전 실재이다" (§233/158)는 확신을 향유한다. 동시에, 이성은 개별적인 것 속에서 처음에는 개별적..
하버드-C.H.베크 세계사 : 1870~1945 - 에밀리 S. 로젠버그 책임편집, 조행복.이순호 옮김/민음사한국어판을 출간하며 서문 _ 에밀리 S. 로젠버그 1부 리바이어던 2.0: 근대국가의 발명 _ 찰스 S. 마이어 2부 제국들과 세계의 범위 _ 토니 밸런타인, 앤트와넷 버턴 3부 이주와 소속감 _ 디르크 회르더 4부 세계경제의 상품 사슬 _ 스티븐 C. 토픽, 앨런 웰스 5부 좁아지는 세계의 초국적 흐름 _ 에밀리 S. 로젠버그 미주 참고 문헌 저자 소개 찾아보기 서문 _ 에밀리 S. 로젠버그14 이 책은 세계사의 한 시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그 시기의 특징은 점점 확대되는 전 지구적 연결과 흔히 근대성이라고 부르는 복잡한 혼합에 동반된 흥분과 불안, 희망, 폭력이다. 지난 몇십 년의 역사학..
카를 마르크스 - 이사야 벌린 지음, 안규남 옮김/서커스(서커스출판상회)5판 편집자 서문 앨런 라이언의 서문 4판 서문 3판에 부쳐 초판에 부쳐 1 서론 2 청소년기 3 정신철학 4 청년 헤겔학파 5 파리 6 역사적 유물론 7 1848년 8 런던에서의 망명생활 9 인터내셔널 10 붉은 테러 박사 11 황혼 후기 옮긴이의 말 7 1848년248 마르크스는 1845년 초에 기조Guizot 정권에 의해 파리에서 추방되었다. 249 루게는 작센 주의 시민이었기 때문에 추방되지않았고, 하이네는 유럽 전역에서 명성이 자자한 인물로 당시 권한과 영향력이 최고조에 달해 있었기 때문에 프랑스 정부로서는 추방 명령을 내릴 수 없었다. 바쿠닌과 마르크스는 급진적 언론의 격렬한 항의에도 불구하고 추방되었다. 바쿠닌은 스위스로..
지혜.세계.언어 - 시모다 마사히로 외 지음, 김천학.김경남 옮김/CIR(씨아이알)제1장 초기 대승경전의 새로운 이해를 위해-대승불교기원 재고 시모다 마하시로 제2장 반야경의 형성과 전개 와타나베 쇼고 제3장 반야경의 해석 세계 스즈키 겐타 제4장 『화엄경』 원전의 역사-산스크리트 사본 단편 연구의 의의 호리 신이치로 제5장 『화엄경』의 세계상-특히 성문승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오타케 스스무 제6장 동아시아의 화엄세계 김천학 제7장 『법화경』의 탄생과 전개 오카다 유키히로 제8장 『법화경』의 중국적 전개 간노 히로시 제9장 『법화경』 수용의 일본적 전개 미노와 겐료 101 반야경은 최초로 대승(마하연)을 제창한 초기 대승경전의 선구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발견된 반야경 사본 중에 가장 오래된 바주르 사본..
마일즈 데이비스 - 존 스웨드 지음, 김현준 옮김/그책옮긴이의 말 서주_마일즈는 살아 있다 1. 세인트루이스 블루스 2. 비밥의 숲 3. 위대한 쿨의 탄생 4. 1950년대, 그 열정과 절망 5. 재즈의 이정표, 카인드 오브 블루 간주_어떤 외로움에 대한 보고서 6. 꿈을 위한 혼돈 속의 투쟁 7. 초감각적 인식의 발라드 8. 재즈 록, 또 하나의 개벽 9. 변화에 맞선 격정의 나날들 10. 세상을 향한 첫 미소 11. 최후의 미스터리 후주_재즈계의 피카소 마일즈 데이비스 디스코그래피 734 마일즈에게, 삶은 그 자체로 음악의 한 방편이 됐다. 음악을 연주하기 위해 그는 혹독한 규율을 받아들여야 했고, 그 규율은 자신을 비롯한 다른 사람들에게 잔혹한 태도를 요구할 때가 많았다. 때로 그가 사랑하는 것을 ..
왜 역사를 배워야 할까? - 샘 와인버그 지음, 정종복.박선경 옮김/휴머니스트서문: 디지털 시대, 왜 역사를 배워야 하는가? 1부 역사 교육이 처한 역경 1 역사에 집착하다 2 국가 주도의 역사 교육 키우기 3 ‘하워드 진’ 다시 읽기 2부 역사적 사고≠놀라운 암기력 4 블룸의 분류학과 역사적 사고 5 텍스트 읽기와 배경 지식의 중요성 3부 디지털 시대에 역사적으로 사고하기 6 변화하는 역사, 학교로 가다 7 구글은 왜 우리를 구할 수 없는가? 4부 역사 교육에서 희망을 찾다 8 미국 영웅들의 변천기 후기: 우리에게는 아직 ‘역사’가 필요하다 한국어판 특집: 역사가처럼 문서를 읽는 역사 수업에 거는 기대 부록 감사의 말 본문의 주 참고문헌 11 우리는 도서관에 가는 대신 컴퓨터를 켜고 인터넷을 연결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