흄의 자연종교에 관한 대화 입문 - 앤드류 파일 지음, 이태하 옮김/서광사옮긴이의 말 … 5 서문 … 13 1. 배경 지식 … 15 2. 책의 개요와 쟁점 … 27 3. 본문 해제 … 39 4. 『자연종교에 관한 대화』를 보는 다섯 가지 관점 … 197 5. 반향 … 215 I. 하만과 칸트 … 215 II. 페일리 … 218 III. 다윈 … 223 IV. 존 스튜어트 밀 … 228 V. 오늘날의 『자연종교에 관한 대화』 … 230 더 읽을거리 … 233 찾아보기 … 243 16 흄은 『인간 본성에 관한 연구』의 출간이 성공을 거두지 못한 것은 책의 내용보다는 너무 많은 분량과 이해하기 어려운 문체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인간 본성에 관한 연구』를 좀 더 짧고 이해하기 쉬운 2권의 책으로 다시 ..
자연종교에 관한 대화 - 데이비드 흄 지음, 이태하 옮김/나남출판옮긴이 머리말 등장인물소개 팜필루스가 헤르미푸스에게 제1장 제2장 제3장 제4장 제5장 제6장 제7장 제8장 제9장 제10장 제11장 제12장 옮긴이 해제 찾아보기 7 《자연종교에 관한 대화》에서 논의되는 주제인 '자연종교(natural religion)'란 계시종교에 대립되는 개념으로서 세계의 창조주에 대한 이신론적인 신념을 기초로 온갖 종교적 의례와 신화를 거부하는 한편 도덕적 실천을 유일한 종교직 실천으로 주장한 18 세기 영국이신론자들의 철학적 종교를 말한다. 흄의 대화록에서는 데미아, 필로, 클레안테스라는 세 명의 가상적 인물들이 신의 존재와 본성에 관해 열띤 논쟁을 벌이고 있는데, 세 사람 모두 신이 존재한다는 사실에는 동의하지만..
빌립보서 - 제랄드 호돈 지음, 채천석 옮김/솔로몬발간사 편집자 서문 저자 서문 약어표 참고문헌 서론 1.서론 부분 2.소식과 교훈 3.거짓 가르침에 대한 경고 및 따라야 할 모범으로서의 바울의 경험과 삶 4.조화와 기쁨과 정신적인 건전함에 대한 권면 5.빌립보 교인들의 관대함에 대한 감사 6.결론 63 우주에서, 세상에서 그리고 개인의 삶에서 그리스도 예수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사실이 빌립보서 전체에서 설명된다. 하지만 체계적인 방식으로 설명되고 있지는 않다. 심지어 위대한 그리스도의 찬미 (2:6-11) 가 단순히 그리스도인이 삶에서 이룩해야 하는 것, 즉 스스로를 낮추며 자신을 버리고 남을 위하여 사는 삶에 대한 실례로 소개되고 있다. 그리고 바울에게서 그리스도가 의미하는 것에 대한 개인적인 증거..
해제 정도전의 삶과 『불씨잡변』 9 서문 37 발문 44 1 불교의 윤회설을 논변함 47 2 불교의 인과설을 논변함 57 3 마음과 본성에 대한 불교 이론을 논변함 67 4 작용을 본성이라 여기는 불교 이론을 논변함 79 5 불교의 마음과 마음의 흔적에 대해 논변함 86 6 불교가 도(道)와 기(器)를 구분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 논변함 92 7 불교가 인륜을 훼손하는 것에 대해 논변함 98 8 불교의 자비설을 논변함 102 9 참된 것과 허망한 것에 대한 불교의 주장을 논변함 108 10 불교의 지옥설을 논변함 115 11 불교의 화복설을 논변함 120 12 불교의 걸식행위를 논변함 124 13 선종에 대해 논변함 131 14 불교와 유학의 같고 다름에 대해 논변함 139 15 불법이 중국에 들어온 시기..
헤겔의 정신현상학 - 이병창 지음,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기획/EBS BOOKS서문 1장 자유의지의 철학자, 헤겔 2장 『정신현상학』 읽기 3장 철학의 이정표 생애 연보 참고 문헌 46 합리적 자유의지 개념은 달리 표현하면 도덕적 자유 의지가 된다. 인간의 목적은 곧 그 사람의 가치, 규범이다. 그러므로 합리적 자유의지는 가치, 규범이 인간의 의지를 지배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이 경우 가치, 규범이 그 사람이 원하는 것이라는 점이 전제되어야 한다. 만일 억압적인 가치, 규범이라면 그것은 외적 강제에 속하게 된다. 자기가 원하는 목적이 지배하는 이런 도덕적 자유의지를 가장 옹호한 철학자가 바로 칸트이다. 47 칸트의 자유의지 개념은 헤겔의 자유의지 개념을 이해하는 출발점이 된다. 헤겔은 자유의지를 법적 인..
헤겔의 읽기 - 정미라 지음/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머리말·5 1장 『정신현상학』의 배경과 구조·15 2장 의식·31 3장 자기의식·59 4장 이성·107 5장 정신·155 6장 종교·211 7장 절대지·233 228 헤겔에 의하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표상되는 신은 추상적인 신이 아니다. 신은 인간 의식의 산출작용으로서가 아니라, 감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는 육체를 지닌 인간의 모습으로, 그리고 자기의식으로 현실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표상된 신은 인간의 본성과 신적 본성이 동일하다는 것을 드러내 준 감각적 필연성에 의거해서 자기의식적인 존재가 된다. 예수그리스도는 신이 더 이상 인간과 완전히 다른 존재가 아니라 바로 자기 자신이며, 동시에 자기 자신이 신적 본질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폴 틸리히 조직신학 2 - 폴 틸리히 지음, 남성민 옮김/새물결플러스머리말 서론 A. 『폴 틸리히 조직신학 2』와 『폴 틸리히 조직신학 1』 그리고 조직신학 전체의 관계 B. 제1권에서 제시된 대답의 재진술 제3부 실존과 그리스도 Ⅰ. 실존과 그리스도 요청 Ⅱ. 그리스도의 실재 164 기독교는 "그리스도"라고 불렸던 나사렛 예수가 현실적으로 그리스도, 즉 만물의 새로운 상태, 새로운 존재를 가져오는 자임을 인정함으로써 존재한다. 예수가 그리스도라는 주장이 고수될 때마다 기독교의 메시지가 존재한다. 반면에 이 주장이 거부될 때마다 기독교의 메시지는 인정받지 못한다. 기독교는 "예수"라 불리는 사람의 탄생과 함께 태어난 것이 아니라 그의 추종자 중 하나가 그에게 "당신은 그리스도십니다"라고 말했던 순간..
폴 틸리히 조직신학 1 - 폴 틸리히 지음, 남성민 옮김/새물결플러스머리말 서론 제1부 이성과 계시 Ⅰ. 이성과 계시에 대한 요청 Ⅱ. 계시의 실재 제2부 존재와 하나님 Ⅰ. 존재와 하나님에 관한 물음 Ⅱ. 하나님의 실재 37 모든 관심을 살펴볼 때, 사람들이 관심을 기울이는 "어떤 존재"가 있다. 하지만 이 어떤 존재는 관심 없이도 알려질 수 있고 다루어 질 수 있는 분리된 대상으로 보이지 않는다.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것이 바로 신학의 첫 번째 형식적인 기준이다. 곧 신학의 대상은 우리에게 궁극적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것이다. 그 대상이 우리에게 궁극적 관심의 문제가 될 수 있는 한, 그런 대상을 다루는 명제만이 신학적이다. 이 명제의 부정적 의미는 명확하다. 신학은 결코 궁극적 관심이라는 상황을 떠나..
백인의 취약성 - 로빈 디앤젤로 지음, 이재만 옮김/책과함께서론_ 우리는 여기서 저기로 갈 수 없다 제1장 백인에게 인종주의에 대해 이야기할 때 부딪히는 난제들 제2장 인종주의와 백인 우월주의 제3장 시민권 운동 이후의 인종주의 제4장 인종은 백인의 삶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 제5장 좋은/나쁜 이분법 제6장 반反흑인성 제7장 백인의 인종적 방아쇠 제8장 그 결과: 백인의 취약성 제9장 행동으로 나타나는 백인의 취약성 제10장 백인의 취약성과 관여의 규칙 제11장 백인 여성의 눈물 제12장 우리는 여기서 어디로 가야 하는가 감사의 말 옮긴이의 말 15 미국은 모든 사람이 평등하게 태어났다는 이념에 기초해 건국되었다. 그러나 이 나라는 처음부터 아메리카 토착민을 학살하고 그들의 땅을 강탈하려 했다. 미국의 ..
신들의 본성에 관하여 -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지음, 강대진 옮김/그린비제1권 제2권 제3권 옮긴이 해제 참고문헌 찾아보기 제1권1. [1] '철학에 아직까지 충분히 설명되지 않은 많은 주제들이 있지만, 브루투스여, 신들의 본성에 관한 문제는 그대도 완전히 모르진 않는 바대로, 지극히 어렵고 지극히 모호한 것입니다. 그것은 정신에 대한 탐구와 관련해서 가장 매력적인 문제이고 또 종교생활에 절도를 부여하는데 긴요한 것인데 말입니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가장 박식한 이들의 견해들이 너무나 다양하고, 너무나 서로 엇갈리고 있어서,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무지가 철학의 시발점이라는 생각이 아주 제대로 된 논의일 수밖에 없을 정도입니다. 그리고 아카데메이아 학파 사람들이 불확실한 이론에는 동의하기를 유보한 것..
역사철학강의 - 게오르크 W.F. 헤겔 지음, 권기철 옮김/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서론 머리글… 13 제1부 동양 세계 제2부 그리스 세계 제3부 로마 세계 제4부 게르만 세계 헤겔의 생애와 사상 머리글… 449 Ⅰ 젊은 날의 체험과 사상… 456 Ⅱ 철학자로서의 길… 537 Ⅲ 헤겔과 현대사상… 565 헤겔 연보… 567 21 철학이 역사를 향할 때, 관여하는 유일한 사상은 단순한 이성의 사상, 즉 이성이 세계를 지배하고, 따라서 세계 역사도 이성적으로 진행한다는 사상이다. 이 확신과 통찰은 역사 자체에 관해서는 하나의 전제 사항이지만, 철학에서는 전제 사항이 아니다. 이성─여기서는 신과의 연관성을 더 파고 들어가 논의하지 않고, 이 이성이라고 하는 표현에 머물러 있어도 상관없다─은 실체인 동시에 무한..
키르케고르의 입문 - C. 칼리슬 지음, 임규정 옮김/서광사옮긴이의 말 | 7 서문 | 11 원전에 대한 간단한 언급 | 19 제1장 주제와 맥락의 개관 | 21 제2장 본문 읽기 | 65 서문 | 65 조율하기 | 81 아브라함에 대한 찬사 | 105 마음으로부터의 예비적 객출 | 128 문제 Ⅰ: 윤리적인 것의 목적론적 중지는 있는가? | 171 문제 Ⅱ: 하느님에 대한 절대적 의무는 있는가? | 203 문제 Ⅲ: 아브라함이 그가 떠맡은 과업을 사라, 엘리에젤, 그리고 이삭에게 말하지 않은 것은 윤리적으로 변명의 여지가 있는가? | 219 에필로그 | 281 제3장 수용과 영향 | 287 제4장 더 읽어야 할 책들 | 331 찾아보기 | 335 26 요하네스 데 실렌티오는 이 문화 안에 살고 있는 ..
칸트의 『이성의 한계 안의 종교』 입문 - 에디스 N. 밀러 지음, 김성호 옮김/서광사옮긴이의 말 … 5 머리말 … 11 1장 맥락 … 15 2장 주제들의 개관 … 27 3장 본문 읽기 … 33 초판과 재판의 머리말 … 33 『종교』의 1부 … 42 『종교』의 2부 … 105 『종교』의 3부 … 141 『종교』의 4부 … 185 4장 평가와 영향 … 213 5장 더 읽어볼 만한 자료들 … 225 참고문헌 … 231 찾아보기 … 239 15 독일 철학자 칸트(Immanuel Kant, 1724-1804)의 여러 저술은 사실상 철학의 모든 영역에서 가장 중요한 영향력을 오늘날까지도 계속 발휘해왔는데 이런 사정은 이 책의 기본 주제인 종교철학의 영역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칸트의 저술 『이성의 한계 안의 종교』..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 - 임마누엘 칸트 지음, 백종현 옮김/아카넷책을 펴내면서 | 005 제1부 『순전한 이성의 한계들 안에서의 종교』 해제 | 015 해제 | 017 관련 주요 문헌 | 067 제2부『순전한 이성의 한계들 안에서의 종교』역주 | 109 ※역주의 원칙 | 111 ※유사어 및 상관어 대응 번역어 표 | 115 『순전한 이성의 한계들 안에서의 종교』 번역 및 주석 | 147 찾아보기 | 467 일러두기 | 469 인물 찾아보기 | 470 개념 찾아보기 | 472 제1판 머리말 149 도덕은 자유로운, 그러나 바로 그렇기 때문에 스스로 자신의 이성에 의해 자신을 무조건적인 법칙에 묶는 존재자인 인간의 개념에 기초하고 있다. 그런 한에서 도덕은, 인간의 의무를 인식하기 위해서 인간 위에 있..
노비에서 양반으로, 그 머나먼 여정 - 권내현 지음/역사비평사프롤로그 1장, 노비로서의 삶 2장, 평민 혹은 그 이상 3장, 양반을 꿈꾸다 에필로그─ 그들의 미래 프롤로그7 18세기의 노비 시인 정초부(1714-1789)가 죽자 주인 여춘영(,1734-1812)은 벗처럼 여겼던 그를 묻고 돌아오는 길에 "삼한 땅에 명문가 많으니 다음세상에는 그런 집에서 나게나"라고 읊조렸다. 노비 출신이 시인으로 당대에 이름을 날린 것도 특이하지만, 주인이 그를 오랫동안 벗으로 대우한 것도 흔한 일이 아니었다. 정초부가 양반들로부터 대우를 받은 것은 그가 글을 익혔을 뿐만 아니라 아름다운 시들을 남겼기 때문이다. 그것은 한편으로 그의 재능을 알아본 주인 여춘영의 배려가 있어서 가능한 것이기도 했다. 하지만 대다수의 노비..
헤겔의 종교철학 - 피터 C. 하지슨 지음, 정진우 옮김/동연출판사추천사 / 최신한, 정재현 서문 / 피터 C. 하지슨 문헌 주해 제1부 | 헤겔 종교철학의 형성 과정 1장. 정신의 신학자 헤겔 2장. 헤겔의 종교 관련 저작들 3장. 헤겔과 그 시대의 신학 제2부 | 헤겔 종교철학의 구성 요소 4장. 그리스도교와 종교의 개념 5장. 개념과 인식 그리고 신앙 6장. 삼위일체: 절대정신으로서 신 7장. 창조, 인간성 그리고 악 8장. 그리스도와 화해 9장. 성령과 공동체 10장. 그리스도교와 다양한 세계 종교 제3부 | 헤겔 종교철학과 현대 신학 11장. 헤겔이 오늘에 주는 신학적 의미 역자 후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97 1821년 『종교철학』은 이후의 강의에서도 반복되는 다음의 주장으로 시작한다. "종교철학..
종교철학 -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지음, 최신한 옮김/지식산업사제 1부 종교의 개념 1.종교일반의 개념 2.종교적 관점의 학문적 개념 3.종교적 관점의 필연성 4.예술과 종교의 관계 및 철학과 종교의 관계 제2부 규정종교(유한적 종교) 1.직접적 종교 2.숭고함의 종교와 아름다움의 종교 3.합목적성의 종교-혹은 이기적 종교 4.합목적성의 종교-혹은 오성 종교 제3부 완전종교 혹은 계시종교 1.계시종교의 추상적 개념 2.구체적 표상 혹은 규정 3.교회와 제의 [5] 이 강의의 대상은 종교철학이다. 종교철학은 일반적으로, 그리고 전체적으로 자연신학이라고 불리어온 종래 형이상학의 목적과 동일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자연신학은 단순한 이성이 신에 대해 알 수 있는 영역으로 파악되어 온 것이며, 우리가 이성 외..
마르크스주의의 주요 흐름 2 - 레셰크 코와코프스키 지음, 변상출 옮김/유로서적제1장 마르크스주의와 제2 인터내셔널 제2장 독일 정통파: 칼 카우츠키 제3장 로자 룩셈부르크와 혁명적 좌파 제4장 베른슈타인과 수정주의 제5장 장 조레스: 구원론으로서의 마르크스주의 제6장 폴 라파르그: 한 쾌락주의자의 마르크스주의 제7장 조르주 소렐: 한 쟝센주의자의 마르크스주의 제8장 안토니오 라브리올라: 열린 정통주의의 모색 제9장 루드빅 크르치비치: 사회학의 도구로서 마르크스주의 제10장 카치미르츠 켈레스-크라우츠: 정통주의의 폴란드 대표 제11장 스타니슬로브 브르조조프스키: 역사적 주관주의로서의 마르크스주의 제12장 마르크스주의운동에서 칸트주의자들: 오스트로-마르크스주의?윤리학적 사회주의 제13장 러시아 마르크스주의..
헤겔의 『정신현상학』 입문 - 스티븐 홀게이트 지음, 이종철 옮김/서광사옮긴이의 말 … 5 한국어판 저자 서문 … 9 머리말 … 11 텍스트에 대한 일러두기 … 13 1. 맥락 … 17 2. 주제 둘러보기 … 37 3. 텍스트 읽기 … 61 4. 수용과 영향 … 299 더 읽어볼 책들 … 305 찾아보기 … 315 293 우리가 지금까지 따라왔던 발전 과정을 재검토해보자. 의식은 그 자신과 다른 어떤 것과의 관계에 있다는 것을 받아들인다. 다음으로 자기-의식은 자신과 자신의 자유에 초점을 맞춘다. 이성은 이 두 개의 시각을 그것이 연관된 대상 속에서 자기 자신을 발견함으로써 결합하며, 그래서 "그것이 전 실재이다" (§233/158)는 확신을 향유한다. 동시에, 이성은 개별적인 것 속에서 처음에는 개별적..
하버드-C.H.베크 세계사 : 1870~1945 - 에밀리 S. 로젠버그 책임편집, 조행복.이순호 옮김/민음사한국어판을 출간하며 서문 _ 에밀리 S. 로젠버그 1부 리바이어던 2.0: 근대국가의 발명 _ 찰스 S. 마이어 2부 제국들과 세계의 범위 _ 토니 밸런타인, 앤트와넷 버턴 3부 이주와 소속감 _ 디르크 회르더 4부 세계경제의 상품 사슬 _ 스티븐 C. 토픽, 앨런 웰스 5부 좁아지는 세계의 초국적 흐름 _ 에밀리 S. 로젠버그 미주 참고 문헌 저자 소개 찾아보기 서문 _ 에밀리 S. 로젠버그14 이 책은 세계사의 한 시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그 시기의 특징은 점점 확대되는 전 지구적 연결과 흔히 근대성이라고 부르는 복잡한 혼합에 동반된 흥분과 불안, 희망, 폭력이다. 지난 몇십 년의 역사학..
카를 마르크스 - 이사야 벌린 지음, 안규남 옮김/서커스(서커스출판상회)5판 편집자 서문 앨런 라이언의 서문 4판 서문 3판에 부쳐 초판에 부쳐 1 서론 2 청소년기 3 정신철학 4 청년 헤겔학파 5 파리 6 역사적 유물론 7 1848년 8 런던에서의 망명생활 9 인터내셔널 10 붉은 테러 박사 11 황혼 후기 옮긴이의 말 7 1848년248 마르크스는 1845년 초에 기조Guizot 정권에 의해 파리에서 추방되었다. 249 루게는 작센 주의 시민이었기 때문에 추방되지않았고, 하이네는 유럽 전역에서 명성이 자자한 인물로 당시 권한과 영향력이 최고조에 달해 있었기 때문에 프랑스 정부로서는 추방 명령을 내릴 수 없었다. 바쿠닌과 마르크스는 급진적 언론의 격렬한 항의에도 불구하고 추방되었다. 바쿠닌은 스위스로..
지혜.세계.언어 - 시모다 마사히로 외 지음, 김천학.김경남 옮김/CIR(씨아이알)제1장 초기 대승경전의 새로운 이해를 위해-대승불교기원 재고 시모다 마하시로 제2장 반야경의 형성과 전개 와타나베 쇼고 제3장 반야경의 해석 세계 스즈키 겐타 제4장 『화엄경』 원전의 역사-산스크리트 사본 단편 연구의 의의 호리 신이치로 제5장 『화엄경』의 세계상-특히 성문승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오타케 스스무 제6장 동아시아의 화엄세계 김천학 제7장 『법화경』의 탄생과 전개 오카다 유키히로 제8장 『법화경』의 중국적 전개 간노 히로시 제9장 『법화경』 수용의 일본적 전개 미노와 겐료 101 반야경은 최초로 대승(마하연)을 제창한 초기 대승경전의 선구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발견된 반야경 사본 중에 가장 오래된 바주르 사본..
마일즈 데이비스 - 존 스웨드 지음, 김현준 옮김/그책옮긴이의 말 서주_마일즈는 살아 있다 1. 세인트루이스 블루스 2. 비밥의 숲 3. 위대한 쿨의 탄생 4. 1950년대, 그 열정과 절망 5. 재즈의 이정표, 카인드 오브 블루 간주_어떤 외로움에 대한 보고서 6. 꿈을 위한 혼돈 속의 투쟁 7. 초감각적 인식의 발라드 8. 재즈 록, 또 하나의 개벽 9. 변화에 맞선 격정의 나날들 10. 세상을 향한 첫 미소 11. 최후의 미스터리 후주_재즈계의 피카소 마일즈 데이비스 디스코그래피 734 마일즈에게, 삶은 그 자체로 음악의 한 방편이 됐다. 음악을 연주하기 위해 그는 혹독한 규율을 받아들여야 했고, 그 규율은 자신을 비롯한 다른 사람들에게 잔혹한 태도를 요구할 때가 많았다. 때로 그가 사랑하는 것을 ..
왜 역사를 배워야 할까? - 샘 와인버그 지음, 정종복.박선경 옮김/휴머니스트서문: 디지털 시대, 왜 역사를 배워야 하는가? 1부 역사 교육이 처한 역경 1 역사에 집착하다 2 국가 주도의 역사 교육 키우기 3 ‘하워드 진’ 다시 읽기 2부 역사적 사고≠놀라운 암기력 4 블룸의 분류학과 역사적 사고 5 텍스트 읽기와 배경 지식의 중요성 3부 디지털 시대에 역사적으로 사고하기 6 변화하는 역사, 학교로 가다 7 구글은 왜 우리를 구할 수 없는가? 4부 역사 교육에서 희망을 찾다 8 미국 영웅들의 변천기 후기: 우리에게는 아직 ‘역사’가 필요하다 한국어판 특집: 역사가처럼 문서를 읽는 역사 수업에 거는 기대 부록 감사의 말 본문의 주 참고문헌 11 우리는 도서관에 가는 대신 컴퓨터를 켜고 인터넷을 연결하는 ..
정신현상학 2 -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지음, 김준수 옮김/아카넷일러두기 (C) (BB) 정신 (C) (CC) 종교 (C) (DD) 절대지 옮긴이 해제 주요 번역어 목록 찾아보기 인명, 신명, 작중 인물명 개념어 절대지787 학문은 순수한 개념의 형식을 외화하는 필연성 그리고 개념이 의식으로 이행하는 것을 그 자체 안에 포함하고 있다. 왜냐하면 자기 자신을 인지하는 정신은 바로 그가 자신의 개념을 포착하는 까닭에 자기 자신과의 직접적 동일성인데, 이런 직접적 자기 동일성이 그 구별 속에서는 직접적인 것에 관한 확신 또는 (우리가 출발점으로 삼았던 시원인) 감각적 의식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자신을 자신의 자기(自己)라는 형식으로부터 방면하는 것이 바로 정신의 자신에 관한 지가 지닌 최고의 자유이..
정신현상학 1 -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지음, 김준수 옮김/아카넷일러두기 서문 서론 (A) 의식 (B) 자기의식 (C) (AA) 이성 서론 73 철학에서 사태 자체에, 즉 진리 속에 있는 것에 대한 현실적인 인식에 들어서기에 앞서 먼저 절대적인 것을 장악할 도구로 간주되거나 또는 절대적인 것을 살펴보는 수단으로 간주되는 인식에 대해서 이해하는 일이 필수적이라고 여기는 것은 자연스러운 표상이다. 한편으로 인식에는 여러 종류가 있어서 그 가운데 어느 하나는 다른 것보다 이런 최종 목표에 도달하는 데에 더 적합할 터이고, 따라서 그중에서 잘못된 선택을 할 수도 있다는 걱정, 그리고 또 한편으로 인식이 일정한 양식과 범위를 가진 능력이기 때문에 그 본성과 한계를 좀 더 면밀하게 규정하지 않으면 진리의..
장인 본능 - 소스타인 베블런 지음, 양소연 옮김/지식을만드는지식서문 1장 서론 2장 원시 기술과 본능의 오염 3장 원시 상태의 산업 기술 4장 약탈 문화의 기술 5장 소유 및 경쟁 체계 1. 평화적 소유 2. 경쟁 체계 6장 수공업 시대 7장 기계 산업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38 이러한 복잡한 목적론적 행동에서 차지하는 장인본능의 위치는 다소 독특한데, 장인 본능의 기능은 목표가 무엇이 되었건 삶의 목표 달성을 위한 유용성이 핵심이라는 점에서 그렇다. 게다가 주로 이러한 목표를 정하고 가치를 부여하는 것은 다른 여러 본능적 성향들이다. 따라서 장인 본능은 어느 정도는 나머지 모든 성향의 부수물이라 얘기할 수 있으며, 그 어떤 이면의 목표보다 삶의 수단 및 방법과 관련을 맺고 있다. 장인 본..
대승불교의 실천 - 스에키 후미히코 외 지음, 김재권 옮김/CIR(씨아이알)제1장 대승불교의 실천 스에키 후미히코 제2장 계율과 교단 이자랑 제3장 신앙과 의식 하카마야 노리아키 제4장 대승불교의 선정실천 야마베 노부요시 제5장 불탑에서 불상으로 시마다 아키라 제6장 보살과 보살신앙 가츠모토 가렌 제7장 대승계-인도에서 중국으로 후나야마 도루 제8장 중국 선사상의 전개-「평상무사」와 「깨달음」 츠치야 다이스케 10 빌헬트는 '실천'이라는 것에 네 가지 의미가 있다고 한다. 이하에서는 빌헬트의 논의를 부연해가면서, 실천의 종류를 살펴보자. 첫째는 불교도라는 의미로 규정된 가르침을 믿고, 규정된 활동을 하는 것이다. 이것은 가장 넓은 의미의 실천이다. 구체적으로는 계 · 정 · 혜 삼학의 실천 등에 해당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