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의 비밀편지 - 안대회 지음/문학동네머리말 1.『정조어찰첩』의 출현 2. 국왕의 비밀편지 3. 수신자 심환지와 비밀편지 왕래 과정 4. 어찰과 정치가 정조 5.『어찰첩』에 드러난 정조의 인간적 면모 6. 편지의 문장과 언어 7. 만년의 병세와 독살설 8. 비밀편지가 남겨둔 비밀 주 부록 참고문헌 키워드 속 키워드 41 정치 스타일에 대한 이견이 있으나, 정조는 "군자학이나 성학론의 기준으로 파악할 수 없는 언행과 통치방식을 구사한" 제왕이었다. 실록에 나타난 정조는 "진실한 선비의 전형이라기보다는 국왕지지세력조차도 당혹스러워할 정도로 기만과 독단을 자주 사용했고", "자신의 국정운영 방침에 반대하는 벽파 집권세력에 대해 직접적이고 전면적인 공격 대신 간접적이고 우회적인 방법으로 위협하곤 했다." '말..
헤지카즘의 신학자 성 그레고리오스 팔라마스 - 존 메이엔도르프 지음, 박노양 옮김/정교회출판사▣ 서문 ▪7 동방 수도승들의 영적 전통▪11 초기 수도원 운동 ▪11 폰투스의 에바그리오스와 순수기도 ▪22 이집트 성 마카리오스와 마음의 신비 ▪28 예수 기도 ▪38 신화 교리 : 니싸의 그레고리오스와 고백자 막시모스 ▪50 신신학자 시메온(917-1022) ▪61 13~14세기 비잔틴 헤지카즘 ▪71 그레고리오스 팔라마스, 헤지카즘의 신학자 ▪91 젊은 시절 ▪91 발람, 그리고 아킨디노스와의 논쟁 ▪107 헤지카즘 신학 ▪136 그리스도교적 실존주의(existentialisme chrétien) ▪152 팔라마스 이후의 헤지카즘 ▪169 14세기부터 오늘날까지의 동방 그리스도교 헤지카즘 ▪169 러시아의..
플라톤의 법률 - 플라톤 지음, 박종현 역주/서광사머리말 5 《법률》해제 11 우리말 번역본과 관련된 일러두기 39 원전 텍스트 읽기와 관련된 일러두기 43 《법률》목차 45 대화자들 53●《법률》본문과 주석 57 제 1 권 ........................................................................................ 57 제 2 권 ........................................................................................ 147 제 3 권 .............................................................................
[POD] 공관복음서 전승사 - 루돌프 불트만/대한기독교서회한국어판을 위하여 머리말 과제와 방법 I. 예수 말의 전승 II. 설화 자료의 전승 III. 전승 자료의 편집 결어 복음 귀절 색인 내용색인 역자후기 455 공관서를 성립시킨 동기는 분명하다. 전승자료의 수집은 팔레스틴 초대교회에서 시작되었다. 변호와 논박은 아포프테그마적 부분의 수집과 작성을 유도했다. 교화의 필요성과 교회 안에서의 예언자적 영의 활력에 의해 예언자적, 묵시문학적 주의 말들을 전하는 일과 작성하고 수집하는 일이 생겼다. 주의 말들의 좀 더 계속된 수집은 생활 계율과 교회 규율의 필요성에서 생겼다. 또 예수에 관한 사화들─전기적 아포프테그마 및 이적 사화와 그밖의 것들─을 교회에서 전하고 이야기한 것은 극히 당연한 일이다. 그리..
아틀라스 중국사 - 박한제 외 지음/사계절개정증보판 서문 초판 서문 고대 중세 근세 전기 근세 후기 근현대 도판 출처 참고문헌 찾아 보기 고대초기 국가 단계로의 발전 17 치수에 성공한 우禹가 산서성 남부, 하남성 중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한 중원 지역에 하夏 왕조를 세웠다. 17 대규모 성벽이나 문자가 확인되지 않아 그것이 과연 하의 것인지는 논의의 여지가 남아 있지만, 기원전 2000년 이후가 되면 이 지역에 초기 국가가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각종 지표가 분명히 나타난다. 상과 주변의 청동기 문명들18 상 왕은 중요한 일이건 작은 일이건 모두 점을 쳐서 신의 뜻을 물었고, 거의 일 년 내내내 신에게 융숭한 제사를 바쳤다. 18 농사를 지어 수확한 곡식은 물론이고 목축과 수렵을 통해 얻은 다양한 짐승이 제..
동방 가톨릭교회 - 한나 알안 지음, 한동일 옮김/성바오로출판사 머리말 동방 가톨릭교회에 대하여 1. 동방교회의 사명 1-개요 2-동방정교회와 동방 가톨릭교회 3-예법(전례), 예법 교회, 자치 교회 4-자치 교회의 개별적 독자성 5-동방교회의 구조와 통치방식인 시노드 6-특징과 특이성 2. 동방 교회의 사명 1- 스스로 자신의 유산에 대한 자기보존과 보호 2-보편교회의 일치와 친교의 증거 3-일치 차원에서 증거 4-비신자들의 대화 차원의 증거 3. 결론 : 현대 세계의 도전과 해결책 동방가톨릭교회에 대하여 13 한국 사회에서 동방교회라고 하면 대부분 동방정교회를 떠올린다. 그러나 로마 가톨릭교회 안에는 라틴 예법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다양한 동방 예법으로 구성된 동방 가톨릭교회가 존재한다. 이 두 교회는..
문명과 전쟁 - 아자 가트 지음, 오숙은.이재만 옮김/교유서가추천사: 전쟁 없는 인류는 가능한가? 서문: 전쟁의 수수께끼 제1부: 지난 200만 년간의 전쟁: 환경, 유전자, 문화 제1장 도입: ‘인간의 자연 상태’ 제2장 평화적인가 호전적인가: 수렵채집인도 싸웠을까 제3장 인간은 왜 싸우는가: 진화론의 관점에서 제4장 동기: 식량과 성 제5장 동기: 욕망의 그물 제6장 ‘원시전쟁’: 어떻게 치러졌는가 제7장 결론: 진화적 자연 상태에서의 싸움 제2부: 농업, 문명, 전쟁 제8장 도입: 진화하는 문화적 복잡성 제9장 농경사회와 목축사회의 부족 전쟁 제10장 국가의 등장과 무장 세력 제11장 유라시아의 선봉: 동부, 서부, 스텝지대 제12장 결론: 전쟁, 리바이어던, 문명의 쾌락과 고통 제3부: 근대성: ..
미국의 반지성주의 - 리처드 호프스태터 지음, 유강은 옮김/교유서가추천사 서문을 대신하여 1부: 서론 1장 우리 시대의 반지성주의/ 2장 호평 받지 못하는 지성 2부: 마음의 종교 3장 복음주의의 정신/ 4장 복음주의와 부흥운동가/ 5장 근대성에 맞선 반란 3부: 민주주의 정치 6장 젠틀맨의 쇠퇴/ 7장 개혁가의 운명/ 8장 전문가의 부상 4부: 실용적인 문화 9장 기업과 지성/ 10장 자조와 영적 기술/ 11장 주제의 변주 5부: 민주주의 사회의 교육 12장 학교와 교사/ 13장 생활 적응의 길/ 14장 어린이와 세계 6부: 결론 15장 지식인: 소외와 체제순응 감사의 말/ 주/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1부: 서론1장 우리 시대의 반지성주의24 이 나라에서 반지성주의가 1950년대에 처음 등장한 것은 ..
움베르토 에코의 경이로운 철학의 역사 2 - 움베르토 에코.리카르도 페드리가 지음, 윤병언 옮김/arte(아르테)I. 지속과 단절, 15세기 1. 학문의 부활 — Luca Bianchi 2. 니콜라우스 쿠자누스 — Matteo d’Alfonso, Riccardo Fedriga 3. 15세기 이탈리아의 아리스토텔레스주의 — Luca Bianchi 4. 이탈리아의 인문주의: 살루타티, 브루니, 발라 — Claudio Fiocchi 5.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철학과 과학 — Giorgio Stabile 6.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 호모파베르, 시간, 철학교육 — Stefano Simoncini 7. 마르실리오 피치노와 인문학자들의 헤르메스주의 — Umberto Eco 8. 피코 델라 미란돌라: 철학, 카발라..
🗄️ 2024.1.1 ~ 2024.12.31까지 책 밑줄긋기 목록📚 알라딘 서재 ▶ 冊 | 2024년 읽은 책 2024-12-23 조엘 모키르: 성장의 문화 2024-12-23 팀 앨버타: 나라, 권력, 영광 2024-12-23 레셰크 코와코프스키: 마르크스주의의 주요 흐름 1 ─ 출범 2024-12-15 페이 바운드 알베르티: 우리가 외로움이라고 부르는 것에 대하여 2024-12-15..
성장의 문화 - 조엘 모키르 지음, 김민주.이엽 옮김/에코리브르감사의 글 머리말 1부 진화, 문화 그리고 경제사 2부 16~17세기 문화적 사업가와 경제 변화 3부 16~17세기 유럽의 혁신, 경쟁 그리고 다원주의 4부 계몽주의의 서막 5부 동서양의 문화 변화 맺음말: 유용한 지식과 경제 성장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맺음말: 유용한 지식과 경제 성장463 경제 성장이 가능한 이유는 국가가 자연과 환경에 대한 집단 지식을 쌓고, 이런 지식을 생산적인 방향으로 활용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지식은 저절로 생기는 것이 아니다. 역사상 존재했던 거의 모든 사회는 어느 정도의 기술 발전을 이뤄냈다. 하지만 이런 기술 발전은 제한적인 결과물을 한 번만 창출해내며, 그 결과물 또한 오래지 않아 사라지고 성장은 흐지부..
나라, 권력, 영광 - 팀 앨버타 지음, 이은진 옮김/비아토르프롤로그: 대체 뭐가 문제일까 1부 나라 1장 신의 선택을 받은 나라?: 미국의 영광과 진실 2장 트럼프와 종교적 우파: 불신의 동맹 3장 제리 팔웰과 도덕적 다수: 종교의 정치적 야망 4장 위선의 끝: 은폐된 진실, 도덕적 붕괴 5장 포위된 신념: 정치적 기회주의의 그림자 6장 박해 콤플렉스: 불안과 두려움의 실체 7장 기만의 먹이사슬: 거짓 정보의 확산과 팽창 2부 권력 8장 공포 전술: 유권자 동원을 위한 선동 9장 혐오의 길: 거짓이 낳은 킹메이커 10장 세뇌된 신앙: 솔깃한 권력의 유혹 11장 분노 사업: 광기의 교회가 파는 것 12장 시민종교로 변신한 트럼피즘: 민주주의의 파괴자 13장 극단의 주류화: 사라진 문지기 14장 트럼프 경..
마르크스주의의 주요 흐름 1 - 레셰크 코와코프스키 지음, 변상출 옮김/유로서적서문 제1장 변증법의 기원 제2장 헤겔 좌파 제3장 마르크스의 초기 사상 제4장 헤스와 포이어바하 제5장 마르크스의 초기 정치 철학적 저작들 제6장 파리 수고. 소외된 노동 이론. 청년 엥겔스 제7장 신성가족 제8장 독일 이데올로기 제9장 중간요약 제10장 19세기 중엽 초의 사회주의 이념과 마르크스의 사회주의 제11장 1847년 이후의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저술활동과 투쟁 제12장 자본주의: 탈인간화된 세계. 착취의 본성 제13장 자본의 모순과 모순의 철폐. 분석과 실천의 통일 제14장 역사과정의 동력 제15장 자연의 변증법 제16장 요약과 철학논평 참고문헌 5 마르크스주의는 철학적 혹은 유사-철학적 교의이며, 공산주의 국가가..
우리가 외로움이라고 부르는 것에 대하여 - 페이 바운드 알베르티 지음, 서진희 옮김/미래의창서문 _ 누구도 홀로 외딴 섬일 수 없다 서론 _ ‘현대의 유행병’ 외로움 1장 _ ‘홀로 있음’이 외로움으로 2장 _ 피에 새겨진 질병? 3장 _ 외로움과 결핍 4장 _ 배우자를 잃은 상실감 5장 _ 우울한 인스타그램 6장 _ 똑딱거리는 시한폭탄? 7장 _ 노숙자와 난민 8장 _ 결핍 채우기 9장 _ 쓸쓸한 구름과 빈 배 결론 _ 신자유주의 시대와 외로움의 재구성 24 외로움을 두려워하면 더 외로워진다. 이런 현상은 나이 들수록 혼자가 되고 취약해질 것을 두려워하는 노인들에게서 발견된다. 더욱이 1960년대부터 사회 · 경제 · 정치에서의 커다란 변화가 시작되면서 외로움이 대중과 정부의 인식 전면에 떠오르게 ..
미메시스 - 에리히 아우어바흐 지음, 김우창.유종호 옮김/민음사『미매시스』재출간에 부쳐 역자 서문 머리에 오디세우스의 훙터 포르투나타 페트루스 발보메레스의 체포 시카리우스와 크람네신두스 롤랑 대 가늘롱 궁정 기사의 출정 아담과 이브 파리나타와 카발칸테 수사 알베르토 마담 뒤 샤스텔 팡타그뤼엘의 입 안의 세계 인간 조건 지쳐 빠진 왕자 마법에 빠진 둘시네아 가짜 독신자 중단된 만찬 1-계몽주의 시대의 리얼리즘 중단된 만찬 2-18세기 프랑스의 리얼리즘 음악가 밀러 라 몰 후작댁 1-스탕달의 비극적 리얼리즘 라 몰 후작댁 2-두 개의 리얼리즘 제르미니 라세르퇴 1-없는 사람들과 심미주의 제르미니 라세르퇴 2-졸라와 그의 동시대인들 갈색 스타킹-새로운 리얼리즘과 현대 사회 에필로그 찾아보기 55 똑같이 고대의..
사랑에 관하여 - 마르실리오 피치노 지음, 조규홍 옮김/나남출판옮긴이 머리말 5 추천의 글 7 바치는 글 11 들어가기 15 첫 번째 권 조반니 카발칸티 해설(파이드로스의 연설) 25 두 번째 권 조반니 카발칸티 해설(파우사니아스의 연설) 41 세 번째 권 조반니 카발칸티 해설(에뤽시마코스의 연설) 75 네 번째 권 크리스토포로 란디노 해설 다섯 번째 권 카를로 마르수피니 해설(아가톤의 연설) 111 여섯 번째 권 토마소 벤치 해설(소크라테스의 연설) 151 일곱 번째 권 크리스토포로 마르수피니 해설 옮긴이 해제 277 찾아보기 335 11 사멸할 자들은 일반적으로 그리고 종종 오랫동안 행하고 난 뒤에 비로소 그것들을 잘하게 됩니다. 자주 행하면 행할수록 그만큼 더 잘하게 되는 셈입니다. 그러나 우리의 ..
비잔틴 신학 - 존 메이엔도르프 지음, 박노양 옮김/정교회출판사한국어판 서문 서론/비잔틴 신학의 특징과 뿌리 1부 비잔틴 신학의 역사 1장 칼케돈 공의회 이후의 비잔틴 신학 2장 그리스도론을 둘러싼 문제 3장 이콘파괴론 위기 4장 수도사들과 인문주의자들 5장 수도원의 신학 6장 교회론: 교회법의 원천들 7장 동방과 서방의 분열 8장 서방과의 만남 9장 기도의 법 2부 비잔틴 신학의 주요 교리 10장 창조 11장 인간 12장 예수 그리스도 13장 성령 14장 삼위의 하느님 15장 성사 신학: 삶의 주기 16장 감사의 성만찬 성사 17장 세상 속의 교회 결론 모순들 참고문헌 23 비잔틴 사람들은 또한 모든 그리스도인이, 특별하게는 성인들이 교회에서 진리를 알아보고 그것을 경험할 수 있는 특권과 능력을 가지고..
비잔티움의 역사 - 디오니시오스 스타타코풀로스 지음, 최하늘 옮김/더숲한국 독자들을 위한 서문 옮긴이의 말 지도 연대표 이 책의 구성 들어가며 ‘비잔티움’이란 무엇인가? 제1장 비잔티움 제국(동로마 제국)이 탄생하다(330~491년) 제2장 지중해의 주인이 되다(491~602년) 제3장 생존을 걸고 투쟁하다(602~717년) 제4장 부활의 날개를 펴다(717~867년) 제5장 제국의 영광이 찬란하게 빛나다(867~1056년) 제6장 강인함 속에 나약함이 깃들다(1056~1204년) 제7장 분열의 유산이 수면 위로 떠오르다(1204~1341년) 제8장 몰락을 향해 나아가다(1341~1453년) 제9장 천년 제국의 멸망과 그 후 부록 비잔티움 세계의 이민족 유목민 집단│아랍 세계│게르만 세계│인도·유럽계 집..
글로벌 냉전과 동아시아 - 신욱희.권헌익 엮음/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머리말 제1장 몰락에서 평화로: 전후 유럽 냉전사(1945-75) _ 이동기 제2장 냉전과 열전의 지역적 기원: 유럽과 동아시아 냉전의 비교역사사회학 _ 김학재 제3장 동북아 냉전체제의 형성: 사건과 주체성 _ 신욱희 제4장 냉전의 개념사적 이해: 베트남의 두 전쟁을 중심으로 _ 권헌익 제5장 중동 냉전과 초국가 정체성의 정치적 영향력 _ 김강석 제6장 라틴아메리카의 ‘열띤 냉전’과 대외의존의 심화(1945-75) _ 박구병 제7장 탈식민화와 냉전의 지리학: 탈식민 세계 재배치하기 _ 크리스토퍼 리 찾아보기 발간사 42 제2차 세계대전이 이렇게 유럽과 동아시아 지역에 마찬가지로 엄청난 물적·인적 피해를 남겼지만, 전후 두 지역에서 가장 우선..
신경의 형성 - 프랜시스 영 지음, 강성윤.민경찬 옮김/비아2판 서문 1판 서문 들어가며 1. 신경들의 형성 2. 한 분 하느님, 하늘과 땅의 창조주 3. 한 분 하느님 그리고 한 분 주님이신 예수 그리스도 4. 성령과 거룩한 공교회 5. 성육신하신 하느님의 아들 6. 우리와 우리의 구원을 위해 결론과 성찰 참고문헌 프랜시스 영의 생애와 사상 프랜시스 영 저서 목록 1. 신경들의 형성 28 그리스도교는 유대인들의 신앙에서 태어났습니다. 하지만 종종 학자들이 말하듯 유대 신앙의 핵심은 '정통'이 아닌 '정행'orthopraxy, 즉 올바른 가르침이 아닌 올바른 행동입니다. 31 우리는 4세기에 이르러 교회들의 공의회가 열렸고 이 공의회의 결정으로 '니케아 신경'이라고 부르는 신경을 채택했음을 알고 있습니다..
불한당들의 세계사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지음, 황병하 옮김/민음사1954년판 서문 제1판의 서문 잔혹한 구세주 라자루스 모렐 황당무계한 사기꾼 톰 카스트로 여해적 과부 칭 부정한 상인 몽크 이스트맨 냉혹한 살인자 빌 해리건 무례한 예절 선생 고수께 노 수께 위장한 염색업자 하킴 데 메르브 장밋빛 모퉁이의 남자 기타 등등 참고문헌 작품 해설 작가 연보 작품 연보 대담 : 보르헤스가 보르헤스에 대해 말하다 옮긴이의 말 1954 년판 서문나는 바로크가 자의적으로 스스로의 가능성들을 고갈시키고(또는 고갈시키기를 바란), 자기 자신의 캐리커처에 근접한 그런 사조였다고 말하고 싶다. 1880년경 앤드류 랭은 포프 의 『오딧세이』를 모방하려고 했으나 그것은 쓸모없는 일이었다. 왜냐하면 포프의 작품은 이미 원작의..
키메라 - 야마무로 신이치 지음, 윤대석 옮김/책과함께옮긴이의 말 서장: 만주국에 대한 시선 제1장 일본이 살아날 유일한 길 제2장 만몽에 거주하는 각 민족의 낙토가 될지니 제3장 세계정치의 모범이 되려 함 제4장 경방의 장책은 항상 일본제국과 협력동심 종장: 키메라, 그 실상과 허상 후기 보론: 만주와 만주국의 역사적 의미는 무엇인가? 증보판 후기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15 일찍이 만주국이라는국가가 있었다. 1932년 3월 1일 중국 동북지방에 홀연히 나타나, 1945년 8월 18일 황제 푸이의 퇴위 선언과 함께 졸연히 모습을 감춘 국가, 만주국. 그 생명은 겨우 13년 5개월에 지나지 않았다. 그렇지만 거기서 살았던 일본인에게는 오히려 국가의 종언이야말로 진정한 만주국 체험의 시작이었을지도 모르겠..
로마사 논고 -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강정인.김경희 옮김/한길사마키아벨리의 정치사상과 『로마사 논고』│강정인 니콜로 마키아벨리가 차노비 부온델몬티와 코시모 루첼라이에게 드리는 인사 제1권 제2권 제3권 마키아벨리 연보 옮긴이의 말 개정판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니콜로 마키아벨리가 차노비 부온델몬티와 코시모 루첼라이에게 드리는 인사69 선물 하나를 바칩니다. 제가 두 분께 입은 큰 은혜에 못 미친다 해도, 이것은 분명히 니콜로 마키아벨리가 두 분께 보낼 수 있는 최상의 선물입니다. 세상사에 대한 오랜 경험과 착실한 독서를 통해 제가 알고 얻게 된 모든 것을 이 책 속에 담았기 때문입니다. 70 실제로 군주 노릇을 하는 사람들이 아니라 수많은 좋은 품성 때문에 의당 군주가 되어야 할 분, 저에게 관직이나 ..
클래식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 할 52가지 - 최은규 지음/소울메이트지은이의 말 _ 한 권으로 엮어낸 클래식 입문서 1장 악기와 오케스트라에 대해 알고 싶은 것들 2장 알면 더 즐길 수 있다, 클래식 용어 풀어보기 3장 세상을 뒤흔든 작곡가와 명곡 이야기 4장 감상의 묘미를 더하는 클래식 에세이 5장 신화의 세계를 담아낸 클래식 이야기 『클래식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 할 52가지』 저자와의 인터뷰 350 16세기 말의 음악, 르네상스에서 바로크로 16세기 말에는 음악에 있어서 세기말적인 혼란스러운 현상이 일어났다기보다는 이전 시대와 다가올 시대를 구분해주는 전환적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흔히 '바로크'라고 불리는 새로운 음악 양식이 이때부터 싹트기 시작했던 것이다. 바로크라는 말은..
해제 본문과 각주 루피누스의 머리말 | 255 제1권 서론 | 265 성부와 성자(그리스도)와 성령 1장 하느님 | 279 2장 그리스도 | 297 3장 성령 | 323 4장 [강등과 타락] | 341 5장 이성적 본성들 | 347 6장 [종말 또는 완성] | 361 7장 [비육체적 존재와 육체적 존재] | 371 8장 천사들 | 383 제2권 1장 세상과 그 안에 있는 피조물들(그리스어) 2장 [육체적 본성의 영원성] | 407 3장 [세상의 시작과 그 원인들] | 411 4장 율법과 예언서의 하느님은 한 분이시고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의 하느님은 같은 분이시다 (그리스어) 5장 [의인과 선인] | 443 6장 구원자의 육화(그리스어) 7장 같은 성령이 모세와 다른 예언자들과 거룩한 사도들 안에 있었다(그..
그림 목록 | 옮긴이 서문 | 추천사 1장 도입부 1부 부의 추출에 대한 안내 2장 위험한 세 단어: ‘벌이’, ‘투자’, ‘부’ 3장 노력소득과 불로소득 4장 지대, 무엇에 대한 대가인가? 5장 이자, 무엇에 대한 대가인가?: 고리대에 관해 이야기할 필요가 있다 6장 생산에서 나오는 이윤: 자본가와 불로소득자의 차이는 무엇인가? 7장 고양이 가죽을 벗기는 다른 방법 8장 부자는 일자리를 창출하지 않는가? 그 외 다른 반론들 2부 부자들을 제자리에 두기: 무엇이 사람들의 수입을 결정할까 9장 우리의 부는 어디서 나올까? 공유부의 중요성 10장 그러니까 무엇이 보수를 결정하는가? 11장 평평한 운동장의 신화 3부 부자는 어떻게 더 부유해지는가: 위기 발발에서 그들은 어떤 역할을 했을까 12장 위기의 뿌리 ..
교회란 무엇인가 - 한스 큉 지음, 이홍근 옮김/분도출판사우리말 판에 부쳐 머리말 변하는 교회 교회를 믿을 것인가? 교회의 근원 교회와 하느님 나라 교회는 하느님의 백성 교회는 성령의 피조물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 교회의 단일성 보편성 · 성성 · 사도성 교회 내의 봉사 세계 속의 교회 21 2세기의 호교론자들은 유스티누스의 몇 구절을 제외하면 "에클레시아ekklesia"라는 말을 전혀 사용한 일이 없으나─그들의 호교론은 교회가 아니라 유일신과 그리스도를 옹호하기 위한것이었다─. 그후의 교부들에게는 교회가 신학 연구와 신 · 구약 성서 주석의 중요한 테마가 되었다. 처음 거기 동안의 교회성은 적대적인 이교도 국가와 교회와의─온갖 박해 속에서 성취와 좌절을 동시에 맛보던─대립관계로 나타난 반면에, 그후의 교..
재건시대의 인간과 사회 - 칼 만하임 지음, 정환용 옮김/전남대학교출판부서론 사회재건시대의 유의의 / 1 제1편 현대사회의 합리적 및 비합리적 요소 제2편 현대문화위기의 사회적 원인 제3편 위기, 독재정권, 전쟁 제4편 계획수준에서의 사고 제5편 자유를 위한 계획 제6편 계획 수준에서의 자유 참고문헌 / 459 색인 / 517 2 우리는 이러한 관점들 간의 차이를 축소하거나 은폐하려해서는 안된다. 서방제국에서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붕괴 그리고 전체주의체제의 채택은 소수의 국가들에 국한된 지나가는 위기의 징후들로 보이는 한편, 위험지대 내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은 이 변환을 현대사회의 바로 그 구조 속의 변화로서 경험한다는 사실을 가장 분명하게 표현하였다. 이러한 격동을 모면한 그 사람들의 경우에, 세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