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탁 위의 논어 (1) : 논어는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식탁 위의 논어 (2): 공자의 시대적 배경과 '학이'편식탁 위의 논어 (3): 공자는 어떤 가치로 이상사회를 구현하려 했을까?식탁 위의 논어 (4): 학이편 계속 공자의 인이라고 하는 것이 어떤 관념이었나지금 생각해보면 그 당시 지배계층의 상호간의 인륜도덕을 가르키는 것이지 우리가 지금 막연하게 생각하기 쉬운 보편적인 인간애가 아니었다.인에 대해서 공자 스스로가 설명한 대목이 여기저기 나오는데 2가지가 특히 많이 인용.논어 안연편. 克己復禮爲仁 극기복례위인. 그 다음에 인은애인이다. 이 두가지. 여기서 극기라는 것은 자신의 욕망을 누르고 억압하는 것. 자기자신을 극복하는 것. 복례는 넓은 의미의 사회규범에 복귀하는것. 지금까지의 일탈에서 벗어나서 사..
「식탁 위의 논어」라는 이름으로 2011년 팟캐스트에 연재되었던 강의를 정리한다. 책은 미야자키 이치사다 번역의 논어를 가지고 공부를 하였고, 녹음파일과 책의 번역을 대조하면서 정리하였다. PODCAST 정보http://www.podbbang.com/ch/534 목차식탁 위의 논어 01 학이편(學而篇) 식탁 위의 논어 02 위정편(爲政篇) 식탁 위의 논어 03 팔일편(八佾篇) 식탁 위의 논어 04 이인편(里仁篇) 식탁 위의 논어 05 공야장편(公冶長篇) 식탁 위의 논어 06 옹야편(雍也篇) 식탁 위의 논어 07 술이편(述而篇) 식탁 위의 논어 08 태백편(泰伯篇) 식탁 위의 논어 09 자한편(子罕篇) 식탁 위의 논어 10 향당편(鄕黨篇) 식탁 위의 논어 11 선진편(先進篇) 식탁 위의 논어 12 안연편(..
공자 평전 - 안핑 친 지음, 김기협 옮김, 이광호 감수/돌베개 감사의 말 프롤로그 2,500년의 세월 우울한 출발 공자 시대의 정치 젊은 길동무들 고달픈 유랑 돌아오는 길 가르친다는 일 삶과 죽음의 예법 두 사람의 후계자 에필로그 옮긴이의 말 주 집필 자료에 관한 한마디 참고문헌 찾아보기 259 공자의 후계자 1 - 맹자 제자들의 떠받듦을 받아 하늘 꼭대기까지 올라간 공자는 높이 올라간 만큼 위치가 불안하게 되었다. 세상에 누가 그의 뒤를 이을 수 있는가? 누구에게 그런 자격이 있겠는가? 제자들이 해답을 찾을 수 없던 질문이었다. 얼마 동안 유약이 그 역할을 일부 맡았다. 유약은 노나라 정계에서 비중을 가진 젊은 축의 제자였다. 공자의 장례 후 몇몇 제자가 유약을 따르며 스승이라 부르기는 했지만 공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