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흐름》을 듣고 정리한다. 2023.11.29 📖 사회사상의 흐름(6) ━ 마르크스(3) 📖 사회사상의 흐름 ❧ 마르크스 - 마르크스의 사상과 그 연원들의 관계 도이치 고전 철학, 영국의 정치경제학, 프랑스의 사회주의 등이 마르크스의 사상과 관계가 있다고는 하지만 원천들에 관한 해석이 다양한만큼 관계에 대한 해석도 다양하고 제각각 자본주의에 관한 마르크스의 생각 또한 사회학적 원천과 철학적 이론이 경제학적 분석과 결합되어 있어서 혁명의 전개과정에 대한 일관성있는 해석을 내놓는 것에도 어려움이 있다. 마르크스가 궁극적으로 근거하고 있는 것은 인간이 자기 자신에게 낯선 자가 된다고 하는 것, 자신의 활동이..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흐름》을 듣고 정리한다. 2023.11.28 📖 사회사상의 흐름(5) ━ 마르크스(2) 📖 사회사상의 흐름 ❧ 마르크스 - ⟪자본⟫ 제1권 자본주의 체제의 기능, 작용, 진화를 동시에 분석하고 그 체제 속에서의 인간의 운명을 서술하려고 한 것. 다시 말해서 자본주의에 관한 사회학, 경제학, 철학적 역사를 통일하려고 하였으나 성공하지는 못하였다. 사회구조, 기능 작용의 방식, 체제 내에서의 인간의 운명 및 그 체제의 진화를 필연적인 방식으로 연결지어 주는 포괄적인 이론은 없다. 왜 그런가? 전체 자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역사는 합리적·필연적으로 전개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이윤과 잉..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흐름》을 듣고 정리한다. 2023.11.27 📖 사회사상의 흐름(4) ━ 마르크스(1) 📖 사회사상의 흐름 ❧ 마르크스 - 저작의 다양성. 사상 체계에는 사회학 이론, 경제 이론, 역사철학적 저작 포함. 과학적 저술의 명시적 이론과 역사철학적 서술의 묵시적 이론 간의 모순 - 개념 사용의 비일관성. 이를테면 ‘계급’을 사용하는데 이는 사회학에서 사용하는 것과 정치 현실 분석에서 사용하는 것이 다르다. - 저작 시기의 다양성. 청년기(1818-1848), ⟪헤겔 법철학 비판 서론⟫ ⟪성가족⟫ ⟪철학의 빈곤⟫ ⟪경제학·철학 수고⟫ ⟪도이치 이데올로기⟫ ⟪공산당 선언⟫; 후기, 경제학자로서의 마르크스 ⟪정..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흐름》을 듣고 정리한다. 2023.11.20 📖 사회사상의 흐름(3) ━ 콩트 📖 사회사상의 흐름 ❧ 콩트 - 사회 유형들. 신학적·군사적 사회 유형 / 과학적·산업적 사회 유형의 대립과 진보. 사회학과 사회학 이론가의 과제는 역사의 필연적이고 불가결하고 불가피한 과정을 이해하여 새 질서의 실현을 촉진하는 일 - 삼 단계의 법칙. 신학적 시대, 형이상학적 시대, 실증적 시대 - 실증철학의 목표는 근대 세계의 위기를 해결하고 사회의 여러 조직을 관장할 과학적 사상 체계를 제공 - 산업사회의 특징들. 산업은 노동의 과학적 조직을 구성한다. 노동조직에 과학을 적용하여 부와 자원을 개발한다. 공업생산은 공장..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흐름》을 듣고 정리한다. 2023.10.26 📖 사회사상의 흐름(2) ━ 몽테스키외 📖 사회사상의 흐름 레이몽 아롱Raymond Aron(1905-1983), ⟪사회사상의 흐름⟫(Les Étapes de la pensée sociologique, 1967) - 몽테스키외는 사회학자인가 명시적 의미에서의 사회학자는 아니다. 무의미한 다양한 사실들로부터 지적 이해가 가능한 질서를 추론하려 했다는 것은 사회학자 특유의 태도이다. 그가 질서의 발견을 시도했다는 것은 우발적으로 보이는 과정의 배후에 근본 원인이 있음을 전제한 것이다. - ⟪법의 정신⟫ 대별하면 1)정부의 세 가지 유형에 관한 논의(정부 유형론..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사회사상의 흐름》을 듣고 정리한다. 2023.10.10 📖 사회사상의 흐름(1) ━ 서론 📖 사회사상의 흐름 레이몽 아롱Raymond Aron(1905-1983), ⟪사회사상의 흐름⟫(Les Étapes de la pensée sociologique, 1967) - 서론 “혁명적 의도로 탄생한 사회학이 현존 소비에트 사회를 정당화하는 하나의 이데올로기가 되어버린 것이다.” “소비에트 사회학자들은 스스로는 보수주의자이고 남들에게는 혁명가들이다.” 오늘부터는 제가 가지고 있는 책들 중에서 꽤 오래전에, 거의 한 30년 전쯤에 읽었던 책들을 소개하려고 한다. 오늘 읽는 레이몽 아롱의 《사회사상의 흐름》인데, 이걸 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