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넥세노스 - 플라톤 지음, 이정호 옮김/이제이북스 플라톤: 메넥세노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 작품 해설내용 구분등장인물 본문과 주석 옮긴이의 글참고문헌찾아보기 부록페리클레스 추도 연설 234a-236d소크라테스: 광장에서 오는 건가, 아니면 어디 다른 곳에서 오는 건가? 메넥세노스.메넥세노스: 광장에서요. 소크라테스 님. 평의회 의사당에서 오는 길입니다. 소크라테스: 평의회 의사당에 특별한 볼일이 있었나 보지? 아니, 물어 볼 것도 없이 뻔하지 뭐. 교양과 철학 공부도 다 마쳤다 싶고 또 그 정도면 이미 충분하다고 여겨, 좀 더 큰 일 쪽으로 마음을 돌릴 심산인거야. 어이, 이 친구, 그 젊은 나이에 우리 같은 늙은이를 다스리려고 말이야. 자네 가문에서 누군가 우리들의 보호자가 나오는 일이 ..
메논 - 플라톤 지음, 이상인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전집'을 펴내며 작품해설 작품개요 등장인물 본문과 주석 옮긴이의 글 참고문헌 찾아보기 작품해설10 프로타고라스는 정치적 탁월함의 교사를 자처했지만, 고르기아스는 가르치는 교사가 아닌 설득하는 수사학자로서의 자신의 역할을 강조할 뿐이다. 이처럼 소피스트들 내부에서도 입장의 차이가 선명하게 드러나기 시작했다. 11 프로타고라스와 고르기아스와 소크라테스는 비판과 논쟁의 역사를 새롭게 개척한 철학자들이라는 점에서 공통되더라도, 그리스 철학의 미시적 전개사 속에서 보면 그들의 입장은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메논》은 이 세 철학자 들 간의 차이의 양상과 논쟁의 초점이 어디에 있는지를 극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13 소크라테스는 메논의 질문에 직접적으로 ..
테아이테토스 - 플라톤 지음, 정준영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 작품해설 작품개요 등장인물 본문과 주석 부록 옮긴이의 글 참고 문헌 찾아보기 작품 개요 A. 도입부의 액자 이야기 (142a-143c) (등장인물: 에우클레이데스, 테릅 시온) B. 액자 내부의 본 이야기 (143d-210c) (등장 인물: 소크라테스,테아이테토스, 테오도로스) 0. 예비적 논의 (143d-151d) (1) 액자 내부의 도입부 (143c-145c) (2) 앎에 대한 예비적 정의의 시도 와 이에 대한 비판 (145c-148e) (3) 산파의 비유 (148e-151d) 1. 앎에 대한 첫 번째 정의: 앎은 지각이다 (151d-186e) (1) 테아이테토스의 첫 번째 정의와 프로타고라스의 인간척도설의 도입 ..
편지들 - 플라톤 지음, 강철웅 외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 작품해설플라톤의 '편지들' 요약 본문과 주석 부록1《일곱째 편지》에 관하여플라톤의 생애연대표지도디오뉘시오스 가계도디오뉘시오스 전후의 시라쿠사 통치자 목록 부록2옮긴이의 글참고문헌찾아보기 일곱째 편지324c 나도 젊은 시절 정말 많은 사람들과 같은 기분이었습니다. 난 내가 나 자신의 주인이 되면 곧바로 나라의 공적 활동에 뛰어들겠노라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나에게 나랏일과 관련된 다음과 같은 일이 일어났습니다. 당시의 정치 체제가 많은 사람들로부터 비난을 받아 혁명이 일어난 것 입니다 .그리고 혁명에는 51명의 사람들이 지도자로 선봉에 나섰는데 그 중 11명은 시내에서, 10명은 페이라이에우스에서 각기 시장 및 도시..
소피스트 - 플라톤 지음, 이창우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 작품 해설본문과 주석 부록옮긴이의 글참고 문헌찾아보기 내용 구분 1) 216a-218b: 도입부 2) 218b-221c: 분할 연습 (낚시꾼 추적) 3) 221c-226a: 획득기술로서의 소피스트 4) 226a-231b: 분리기술로서의 소피스트 5) 231b-236d: 반박 하는 논쟁기술과 모상 6) 236d-242b: 있지 않음과 파르메니데스 7) 242b-252c: 있음에 관한 주장들 8) 252c-259d: 형상들의 결합9) 259d-264b: 생각과 말 그리고 거짓 10) 264c-268d: 마지막 분할 216a 테오도로스: 소크라테스여, 우리가 여기에 온 것은 어제 약속을 제대로 지키기 위한 것입니다. 게다가 우..
필레보스 - 플라톤 지음, 이기백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 작품 해설작품 개요등장인물 본문과 주석 부록옮긴이의 글참고 문헌찾아보기 작품 개요1. 즐거움이 좋은 것인가, 아니면 분별(지식)이 좋은 것인가? (11a-12b) 2. 변증술(dialektike) 관련 논의 (12c-20c) 1) 하나와 여럿의 문제 (12c-16a) (1) 즐거움이나 지식의 단일성과 다수성 (12c-14b) (2) 하나와 여럿의 문제 (14c-15c) ① 생성소멸하는 것에서의 하나와 여럿 문제 (14c-14e) ② 생성소멸하지 않는 것에서의 하나와 여럿 문제 (14e-15c) (3) 진술 자체의 역설적 속성에 따른 혼란 (15d-16a) 2) 변증술 (16a-18d) (1) 변증술의 두 절차: 모음과 나..
플라톤 - 남경희 지음/아카넷 머리말 서문 : 플라톤과 서양철학의 사유범주 제1부 플라톤의 생애와 철학의 개관 제2부 윤리적 삶에서 인신과 이익 제3부 정신의 지향성 제4부 형상의 존재론 제5부 국가에서 정의와 이성 제6부 세계 구성의 원리 참고문헌 찾아보기 1장 플라톤의 시대와 그의 저술 33 플라톤과 그 시대 고대 그리스는 위대한 시기였다. 이 시기는 서구 정신사에서 가장 탁월한 인물 셋을 거의 동시에 배출했다. 이들 세 사람은 우연히 동시대적 인물이 된 것이 아니라 깊은 정신적 관계 속에서 등장 했으므로 고대 그리스의 문화가 우리에게 주는 의의는 더욱 크다고 하겠다. 소크라테스(Socrates)는 플라톤(Platon)의 스승이었고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는 플라톤이 개설한 서양 최초의 ..
에우티프론,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파이돈 - 플라톤 지음, 박종현 엮어 옮김/서광사 머리말 일러두기 편 편 편 편 관련 사진 참고 문헌 고유명사 색인 내용 색인 목차 I. 시작 하는 대화 (2a~5d) 1. 에우티프론이 소크라테스가 기소된 이유 를 들음 (2a~3e) 2. 에우티프론이 자기 아버지를 살인죄로 기소하게 된 경위를 소크라테스가 들음 (3e~4e) 3. 소크라테스가 에우티프론 에게 '경건함'이 무엇인지에 대한 가르침을 청함 (4e~5d) ll. 경건함에 대한 첫번째 정의: 사례 열거를 통한 의미 규정의 잘못 (5d~6e) 1. 에우티프론이 살인, 성물 절취 따위의 올바르지 못한 짓에 대한 기소와 같은 사례를 들어, 이를 '경건한 것' 이라 말함 (5d~6c) 2. 경건함'에 대한 물음은..
국가·정체(政體) - 플라톤 지음, 박종현 옮김/서광사개정 증보판을 내면서 초판의 머리말 플라톤의 생애와 철학 《국가》(政體) 해제 일러두기 대화자들 제1권 제2권 제3권 제4권 제5권 제6권 제7권 제8권 제9권 제10권 1권327a 어저께 나는 아리스톤의 아들 글라우콘(Glaucon)과 함께 피레우스로 내려 갔었네. 332c 그렇다면 시모니데스는 올바른 것(정의로운 것: to dikaion)이 무엇인지를 말함에 있어서 시인처럼 암시적으로 말한 것 같소. 그는 각자에게 합당한 것을 갚는 것, 이것이 올바른 것이라 생각하고, 이 합당한 것(to prosēkon)을 갚을 것(마땅한 것: to opheilomenon)이라고 일컬은 것 같으니까 말씀이오. 338c 들으십시오! 저로서는 올바른 것(to dika..
향연 - 플라톤 지음, 강철웅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 작품 안내 작품 분절 틀 이야기 1. 아폴로도로스의 도입 이야기 (172a1-174a2) 본 이야기 2. 아리스토데모스의 향연 이야기 서두 (174a3-175e10) 3. 향연 방식과 이야기 주제 결정 (176a1-178a5) 4. 파이드로스의 연설 (178a6-180b8) 5. 파우사니아스의 연설 (180c1-185c3) 6. 아리스토파네스의 딸꾹질 (185c4-e5) 7. 에뤽시마코스의 연설 (185e6-188e4) 8. 웃음에 관한 공방 (189a1-189c1) 9. 아리스토파네스의 연설 (189c2-193e2) 10. 소크라테스의 걱정 (193e3-194e3) 11. 아가톤의 연설 (194e4-197e8) 12. 소크..
고르기아스 - 플라톤 지음, 김인곤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 작품 해설 작품 개요 등장 인물 본문과 주석 부록 옮긴이의 글 참고 문헌 찾아보기 작품 개요 I. 도입부(447a-448e) 연설 회장 바깥 장면: 소크라테스, 카이레폰, 칼리클레스 간의 짧은 대화 II. 소크라테스와 고르기아스의 대화 (449a-461b) (1) 연설술에 대한 정의 (449a-453a) (2) 정치술의 원동력이자 모든 기술의 상위 기술로서의 연설술 (453b-457b) (3) 고르기아스적 연설술의 문제점 (457c-461b) III. 소크라테스와 폴로스의 대화 (461c-481b) (1) 고르기아스적 연설술의 정체: 정치술의 부분적 모상 (461c-466a) (2) 고르기아적 연설술의 힘은 과연 큰가?..
파이드로스 - 플라톤 지음, 김주일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 작품 해설 작품 개요 등장인물 본문과 주석 부록(옮긴이의 글, 참고 문헌, 찾아보기) 목차 1. 서론 : 파이드로스를 만나 일리소스 강변으로 가다 (1) 신화를 합리적으로 해석하는 파이드로스와 소크라테스의 반론 (2) 이야기를 읽을 장소의 아름다움에 대한 묘사 2. 에로스에 대한 뤼시아스의 이야기 3. 첫 번째 막간 대화 : 뤼시아스 연설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비판 4. 에로스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첫 번째 연설 5. 두 번째 막간 대화 : 다이모니온의 개입과 ‘다시 부르는 노래’ 6. 소크라테스의 두 번째 이야기 : 다시 부르는 노래 (1) 도입 : 신적인 광기의 이로움 (2) 신적인 광기로서 에로스의 이로움 1) 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