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간본 의 교정문(校定文)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주해와 상세한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 제1장 최선의 통치자는 아래에서 [백성들이] 그가 있다는 사실만을 알고통행본 17-18장, 백서본 86-87장 노자와 , 그리고 초간본 에 대하여, 알라딘 도서정보 大上下知有之 / 대상하지유지 최선의 통치자(=최상)는 아래에서 〔백성들이〕 그가 있다는 사실만을 알고 其次親警之 / 기차친예지 차선의 통치자(=상)는 〔아래 백성들이〕 친밀감을 느끼며 칭찬을 하는 것이고, 其次畏之 / 기차외지 그 다음(=하)은 〔아래 백성들이〕 그를 두려워하는 것이고, 其次梅之 / 기차모지 그 다음(=최하)은 〔아래 백성들이〕 그를 업신여기는 것이다. 信不足, 焉有不信 / 신부족, 언유불신 믿음이 부족하면 , 곧 믿어지지 않음..
복음을 듣지 못한 사람 어떻게 되는가 - 존 샌더스.가브리엘 파크레.로날드 내쉬 지음, 박승민 옮김/부흥과개혁사 서론 _ 존 샌더스 01 포괄적 구원론 - 존 샌더스 넓은 소망│하나님의 과분한 사랑│버리기 전에 받아 주심│위대한 반전│포괄적 구원론│믿음의 원리│예수님 오시기 전 신앙인│일반 계시와 섭리│로마서에 나타난 바울의 사상│유아들은 어떻게 되는가│선교 │결론 존 샌더스에 대한 논평-가브리엘 파크레 존 샌더스에 대한 논평-로널드 내쉬 02 신적 견인론 - 가브리엘 파크레 신적 견인론의 명칭│믿음의 선배를 통해 성경 해석에 대해 배우기│신적 견인론과 악의 문제│신정론과 신적 견인론│미전도인과 신적 견인론│성경에서의 신적 견인론│초대 시대의 신적 견인론│현대 시대의 신적 견인론│노아 언약에 대한 구체적..
민권과 헌법 - 마키하라 노리오 지음, 박지영 옮김/어문학사 Reading_20min_20140526_4– 일본제국의 ‘근대국민국가’ 편성원리로 등장한 천황과 신민(臣民)개념 – “신민이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이름이며, 민권이나 공권을 상실한 사람도 또한 제국의 신민임에는 틀림없다.” – “신(臣)과 민(民)을 융합시켜 ‘천황의 자식’으로 만들어 버리면 모든 ‘일본인’을 천황과의 관계하에서 일원화시킬 수 있다.” – ‘입헌주권’과 ‘천황대권’이라는 이중성 위에 세워진 대일본제국 헌법은 흠정헌법(欽定憲法)이므로 비민주적이지만 폐지될 수 없다. 다른 한편으로 내각은 의회, 정당에 의한 민주적 요구를 받게 된다. – 야스마루 요시오(安丸 良夫), 근대천황상의 형성(近代天皇像の形成)에서 제시..
초간본 의 교정문(校定文)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주해와 상세한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 제8장 잘 심은 것은 뽑히지 아니하고통행본 54장, 백서본 26장 노자와 , 그리고 초간본 에 대하여, 알라딘 도서정보 善建者不拔 / 선건자불반 〔나라를 세운 자가〕 잘 심은 것(=도)은 뽑히지 아니하고, 善保者, 不脫 / 선보자, 불탈 잘 간직한것(=도)은 빼앗기지 아니하여, 子孫以其祭祀不頓 / 자손이기제사부돈 〔나라를 세운 자의〕 지손이 이로해서 제사가 끊기지 아니한다. 修之身, 其德乃貞 / 수지신, 기덕내정 이것(=도)을 자신에게 닦으면 그 덕이 바르게 된다. 修之家, 其德有餘 / 수지가, 기덕유여 이것을 집안에서 닦으면 그 덕이 넉넉함이 있다. 修之鄕, 其德乃長 / 수지향, 기덕내장 이것을 동네에 ..
초간본 의 교정문(校定文)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주해와 상세한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 제7장 크게 담은 것은 비운 것과 같다통행본 45장 전반부, 백서본 11장 노자와 , 그리고 초간본 에 대하여, 알라딘 도서정보 大盛若缺 / 대성약결 크게 담은 것은 비운 것과 같다. 其用不敝 / 기용불폐 그 쓰임은 다하지 않는다. 大盆若盅 / 대영약충 크게 찬 것은 텅 빈 것 같고, 其用不磨 / 기용불군 그 쓰임은 곤궁함이 없다. 大巧若拙 / 대교약졸 큰 기교는 졸렬한 것 같고 大成若詘 / 대성약굴 크게 완성된 것은 실패한 것 같고 大直若屈 / 대직약굴 크게 곧은 것은 굽은 것 같고 燥勝滄 / 조승창 뜨거움은 차가움을 이기고 靜勝熱 / 정승열 고요함은 열(熱)을 이기니 淸靜, 爲天下正 / 청정, 위천하정..
초간본 의 교정문(校定文)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주해와 상세한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제6장 문을 닫고, 구멍을 막으면통행본 52장 중반부, 백서본 25장 노자와 , 그리고 초간본 에 대하여, 알라딘 도서정보 悶其門, 塞其穴 / 민기문, 색기혈 문(=감각·욕망의 기관)을 닫고, 구멍(=감각 · 욕망의 소통로)을 막으면 終身不敄 / 종신불무 죽을 때까지 억지로 힘들이지 않을 것이다. 啓其穴, 濟其事 / 계기혈, 제기사 구멍을 열게 되면 그 일을 〔좇아 끝내〕 이루려고 하기에 終身不來 / 종신불래 죽을 때까지 〔도(道)로〕 되돌아오지 못한다.
초간본 의 교정문(校定文)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주해와 상세한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제5장 높은 경지의 사람은 도를 들으면통행본 41장,백서본 4장 노자와 , 그리고 초간본 에 대하여, 알라딘 도서정보 上士聞道, 勤能行於其中 / 상사문도, 근농행어기중 높은 경지의 사람은 도를 들으면 힘써서 잘(능히) 그 핵심을 행한다. 中士聞道, 若聞若無 / 중사문도, 약문약무 중간 경지의 사람은 도를 들으면 들은 듯 만 듯(=긴가민가)한다. 下士聞道, 大笑之 / 하사문도, 대소지 낮은 경지의 사람은 도를 들으면 크게 웃어 버리고 만다. 弗大笑, 不足以爲道矣 / 불대소, 부족이위도의 크게 웃어버리지 않으면 도라고 하기에 부족하다.
초간본 의 교정문(校定文)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주해와 상세한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 제4장 사람들이 총애와 수모에 어지러워지는 것처럼통행본 13장, 백서본 82장 노자와 , 그리고 초간본 에 대하여, 알라딘 도서정보 人籠辱若樓 / 인총욕약영 사람들이 총애와 수모에 어지러워지는 것처럼 貴大患若身 / 귀대환약신 〔통치자는〕 큰 환난을 소중하게 여기기(=심각하게 생각하기)를 〔자신의〕 몸처럼 한다. 何謂籠辱 / 하위총욕 무엇을 총애와 수모라고 하는가. 籠爲下也 / 총위하야 총애는 하등의 것이기에 得之若樓 / 득지약영 이것을 얻어도 어지러워진 것처럼 하고, 失之若嬰 / 실지약영 이것을 잃어도 어지러워진 것처럼한다. 是謂籠辱〔若〕嬰 / 시위총욕〔약〕영 이것을 "총애와 수모에 어지러워지는 것처럼 한..
초간본 의 교정문(校定文)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주해와 상세한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제3장 학문을 끊으면 근심이 없다통행본 20장 초반부, 백서본 89장 노자와 , 그리고 초간본 에 대하여, 알라딘 도서정보 絶學無憂 / 절학무우 학문을 끊으면 근심이 없다. 唯與詞, 相去幾何 / 유여가, 상거기하 〔세간에서 배우는 예절처럼〕 공손히 '예'하고 대답하는 것과 막말로 '응'하고 대답하는 것은 그 차이가 얼마나 되는가? 美與惡, 相去何若 / 미여악, 상거하약 아름다움과 추함은 그 차이가 얼마나 되는가? 人之所畏, 亦不可以不畏 / 인지소외, 역불가이불외 다른 사람들이 두려워하는바를, 이에 〔나〕 역시 두려워 하지 아니할 수가 없다.
초간본 의 교정문(校定文)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주해와 상세한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제2장 배우는 사람은 [배울 것이] 나날이 늘어나고통행본 48장 전반부, 백서본 16장 노자와 , 그리고 초간본 에 대하여, 알라딘 도서정보 學者日益 / 학자일익 배우는 사람은 나날이 〔배울것이〕 늘어나고 爲道者日損 / 위도자일손 도를 행하는자는 나날이 〔배울 것이〕 줄어든다. 損之或損, 以至無爲也 / 손지혹손, 이지무위야 덜고 또 덜어서 함이 없음 (무위)에 이른다. 無爲而無不爲 / 무위이무불위 함이 없는데도 하지 아니함이 없다.
초간본 의 교정문(校定文)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주해와 상세한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제1장 백성을 다스리고 하늘을 섬기는 데는 아낌만한 것이 없다통행본 59장, 백서본 31장 노자와 , 그리고 초간본 에 대하여, 알라딘 도서정보 治人事天, 莫若嗇 / 치인사천, 막약색 백성을 다스리고 하늘을 섬기는 데는 아낌만한 것이 없다. 夫唯嗇 / 부유색 대저 오로지 아낀다. 是以早〔備〕 / 시이조〔비〕 이로써 일찍 〔도를 몸에〕 갖추는 것이다. 是以早備, 是謂〔重積德〕 / 시이조비, 시위〔중적덕〕 〔이로써〕 일찍 〔도를 몸에〕 갖추는 것을 덕을 많이 쌓는다고 말한다. 〔重積德, 則無〕不克 / 〔중적덕, 즉무〕불극 덕을 많이 쌓으면 감당하지 못할 것이 없다. 〔無〕不〔克〕, 則莫知其極 / 〔무〕불〔극〕,..
제국 - 헤어프리트 뮌클러 지음, 공진성 옮김/책세상 책읽기 20분 | 제국 4 [원문보기]Posted on 2017년 2월 13일 by 강유원제2장 제국, 제국주의, 패권: 필수적인 구분 식민주의적 제국주의를 설명하는 이론들– 경제적 제국주의 이론(제국주의를 자본주의적 합리성에 따른 것으로 이해)홉슨: 제국주의는 금융자본의 추동에 의한 것, 경제적으로 진보한 사회에서의 내적 분배기획로자 룩셈부르크, 레닌: 자본주의의 내재적 압박이 불러온 팽창 중심부-주변부 문제영제국: 인도와 아프리카에서는 영토 제국의 비용과 부담을 짊어졌으나 나머지 지역에서는 느슨한 지배, 군사적 직접 개입의 문제에 직면하면서 선택적 개입과 철수주변부에서의 변화: 새로운 지구화 과정의 의도하지 않은 결과들, 기존의 제국주의 이론으로 ..
민권과 헌법 - 마키하라 노리오 지음, 박지영 옮김/어문학사 Reading_20min_20140518_3– 자유주의 경제와 민중의 생활: “경제적 자유주의를 근거로 한 ‘강한 자의 자유’ 하에서 누구의 도움도 기대하지 않으며, 지역이나 직장에서 ‘불결’하고 ‘태만한 자’라고 불리지 않도록 스스로를 규제하고, 가혹한 노동조건과 높은 소작료에도 인내하면서 생활 수준을 향상시키려고 자신과 가족을 위해 열심히 노동해야 하는 ‘근대’라는 시대의 막이 본격적으로 열린 것이다.”– 초대 문부대신 모리 아리노리(森 有礼)의 국민주의 교육– 학력주의, 기회의 평등, 우승 열패, 자기책임– 내국식민지와 탈아론(脱亜論)– 만국공법의 기초로서의 근대적 소유권의 논리에 따라 주인없는 땅과 미개지에 대한 점령을 통해 ‘영토’ 획..
민권과 헌법 - 마키하라 노리오 지음, 박지영 옮김/어문학사 차례 머리말-5 제1장 자유 민권 운동과 민중 19 제2장 ‘헌법과 의회’를 둘러싼 공방 53 제3장 자유주의 경제와 민중의 생활 85 제4장 내국 식민지와 ‘탈아’로의 길 121 제5장 학교 교육과 가족 159 제6장 근대 천황제의 성립 195 맺음말-241 저자 후기 247 역자 후기 250 연표 255 참고문헌 258 색인 264 관련 공부 글 보기 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4 | 일본 근현대사 | 02 민권과 헌법 1 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4 | 일본 근현대사 | 02 민권과 헌법 2 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4 | 일본 근현대사 | 02 민권과 헌법 3 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4 | 일본 근현대사 | ..
독일 관념론 철학 - 니콜라이 하르트만 지음, 이강조 옮김/서광사 옮긴이의 말 제1부 피히테,셸링,낭만주의서언서론Ⅰ장 : 칸트학도와 반칸트학도Ⅱ장 : 피히테Ⅲ장 : 셸링Ⅳ장 : 낭만주의 철학부록 : 독일관념론의 주요 저작 연대표참고문헌 제2부 헤겔서언Ⅰ장 : 헤겔의 철학 개념Ⅱ장 : 정신 현상학Ⅲ장 : 논리학Ⅳ장 : 논리학의 토대 위에 세워진 체계참고문헌 옮긴이의 말6 18세기 말에 칸트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으로 근대의 독단적-질료적 관념론에 대하여 비판적-선험적 관념론이 수립되었다. 이것은 표상 배후의 존재, 즉 물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으나 우리의 인식 형식을 주관적인 것으로 보고 우리에게 가능한 경험의 대상을 모두 현상으로 본다. 뿐만 아니라, 인식 형식의 선천성을 증명함으로써 인식의 보편 타당성을 정..
제국 - 헤어프리트 뮌클러 지음, 공진성 옮김/책세상 책읽기 20분 | 제국 3 [원문보기]Posted on 2017년 2월 6일 by 강유원 제2장 제국, 제국주의, 패권: 필수적인 구분 도널드 트럼프 당선 이후 미합중국 사태에 대한 최소한의 개념적 준거 제도적 영토국가로서의 미합중국과 제국으로서의 미제국(American Empire)의 구분이 요구됨 제국, 제국주의에 관한 이론들 1) 자본주의의 자기파괴적 동학: 경제적 제국주의 이론 2) 위신추구와 권력 경쟁: 정치적 제국주의 이론 3) 패권과 제국의 구분 평소에 우리가 접해보지 않았던 까탈스런 학술적인 용어들이 많이 있고 그러다보니 읽고 있으면 내가 제대로 읽은 건가 그런 생각이 드는 분들이 꽤 있을지 모르겠다. 그래도 쉽게 생각하고 간단하게 요약..
초간본 의 교정문(校定文)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주해와 상세한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제20장 지속해서 채우려는 것은통행본 9장, 백서본 78장 노자와 , 그리고 초간본 에 대하여, 알라딘 도서정보 持而盈之 / 지이영지 지속해서 채우려는 것은 不若〔其〕已 / 불약[기]이 그만둠만 못하다. 揣而君之 / 췌이군지 채찍질하여 군림하게 되면 不可長保也 / 불가장보야 〔그 자리를〕 오래 지킬수가 없다. 金玉盈室 / 금옥영실 금과 옥으로 집을 채우더라도 莫能守也 / 막능수야 〔영원토록그것을〕 지킬 수가 없다. 貴富〔而〕縣 / 귀부〔이〕교 귀하고 부하다 해서 교만하면 自遺智也 / 자유구야 스스로 허물을 남기는것이다 功遂身退 / 공수신퇴 공을 이루었으면 몸을물리는것이 天之道也 / 천지도야 하늘의 이치이다.
초간본 의 교정문(校定文)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주해와 상세한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제19장 반대되는 것이 도의 움직임이다통행본 40장, 백서본 6-7장 노자와 , 그리고 초간본 에 대하여, 알라딘 도서정보 反也者, 道動也 / 반야자, 도동야 〔세간의 가치평가와는〕 반대 되는 것이 도의 움직임이다. 弱也者, 道之用也 / 약야자, 도지용야 〔세상은 강한것을 존중하지만〕 약하다는 것은 도의 작용이다. 天下之物, 生於有 / 천하지물, 생어유 천하의 물건들은 유(有, 눈으로 볼 수도귀로 들을수도, 손으로 만질 수도 있는 것)에서 생겨나왔다〔고 믿고 있다〕. 〔有〕生於無 / 〔유〕생어무 〔그러나〕 유는 무(無 눈으로 볼 수도 귀로 들을수도없고, 손으로 만질 수도 없는 것) 에서 생겨나왔다.
초간본 의 교정문(校定文)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주해와 상세한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제18장 이름(명칭)과 몸(생명), 어는 것이 절실한가?통행본 44장, 백서본 10장 노자와 , 그리고 초간본 에 대하여, 알라딘 도서정보 名與身執親 / 명여신숙친 이름(명칭)과 몸(생명), 어느 것이 절실한가? 身與貨執多 / 신여화숙다 몸과 재화, 어느 것이 소중한가? 得與亡執病 / 득여망숙병 얻음과 잃음, 어느 것이 병통인가? 甚愛必大費 / 심애필대비 심한 애착은 반드시 큰 대가를 치르고, 厚臟必多亡 / 후장필다망 많이 쌓아두면(=부정한 방법으로 물품을 거두어 들이고 뇌물을 감추어 두면) 반드시 크게 망한다. 故知足不辱 / 고지족불욕 그러므로 족함을 알면 욕되지 않고, 知止不殆 / 지지불태 멈출 줄을 알..
초간본 의 교정문(校定文)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주해와 상세한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제17장 덕을 품음이 두터운 사람은통행본 55장, 백서본 29장 노자와 , 그리고 초간본 에 대하여, 알라딘 도서정보 含德之厚者, 比於赤子 / 함덕지후자, 비어적자 덕을 품음이 두터운 사람은 갓난아이에 비유된다. 蝶䘍蟲蛇弗鸴 / 훼채층사불학 살모사와 전갈과 같은 독충도 〔물거나〕 쏘지 못한다. 撲鳥猛獸弗拍 / 확조맹수불구 맹금이나 맹수도 덮치지 못한다. 骨弱筋柔而提固 / 골약근유이착고 뼈가 약하고 근육이 부드러워도 붙잡음이 단단하다. 未知牝牡之合股怒, 精之至也 / 미지빈모지합전노, 정지지야 남녀 사이의 교합을 알지못해도 남근이 발기하는 것은 정기가 꽉 차 있기 때문이다. 終日呼而不嗳, 禾之至也 / 종일호 이..
초간본 의 교정문(校定文)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주해와 상세한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제16장 정당함으로써 나라를 다스리고통행본 57장, 백서본 29장 노자와 , 그리고 초간본 에 대하여, 알라딘 도서정보 以正治邦 / 이정치방 정당함으로써 니라를 다스리고 以奇用兵 / 이기용병 드러나지 않는 비법으로써 군사를 움직이며, 以無事 / 이무사 일삼음(=일부러 일을 벌여서 무언가를 한다는 의식)이 없으면 取天下 / 취천하 천하를얻는다. 吾何以知其然也 / 오하이지기연야 내가 어째서 그것이 그러하다는 것을 알겠는가? 夫天多忌諱, 而民彌貧 / 부천다기휘, 이민미빈 대저 하늘에 대해 금기시하는 것이 많으면 많을수록 백성들은 점점 더 가난해진다. 民多利器, 而邦滋香 / 민다이기, 이방자혼 백성들에게 이로운 기..
초간본 의 교정문(校定文)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주해와 상세한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제15장 아는 자는 말하지 않고통행본 56장, 백서본 28장 노자와 , 그리고 초간본 에 대하여, 알라딘 도서정보 知之者弗言 / 지지자불언 아는 자는 말하지 않고, 言之者弗知 / 언지자부지 말하는 자는 알지 못한다. 閟其穴, 塞其門 / 비기혈, 색기문 그(=아는 자의 감각 인식의) 구멍을 막고, 그 문을 닫으며 和其光, 通其塵 / 화기광, 통기진 그 빛을 〔주위와〕 조화롭게 하고 그(=만물의) 티끌과 통하며 桂其說, 解其粉 / 좌기예, 해기분 날카로움을 꺾고, 어지러움을 풀어준다. 是謂玄同 / 시위현동 이것을 '현묘하게 하나가 됨' 이라고한다. 故不可得而親, 亦不可得而疏 / 고불가득이친, 역불가독이소 그러므..
초간본 의 교정문(校定文)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주해와 상세한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제14장 형세가 안정되었을 때는 유지하기 쉽고통행본 64장 1-2절, 백서본 39-40장 노자와 , 그리고 초간본 에 대하여, 알라딘 도서정보 其安也, 易持也 / 기안야, 이지야 형세가 안정되었을 때는 유지하기 쉽다. 其未兆也, 易謀也 / 기미조야,이모야 〔나쁜 쪽으로 변화가 일어나는 듯하나〕 아직 일의 조짐이 없을 때는 〔그 씨를 없앰을〕 도모하기 쉽다. 其腕也, 易判也 / 기취야, 이판야 〔사물이〕 무를 때는 풀기가 쉽다. 其幾也, 易㣤也 / 기기야, 이천야 미세한 것일 때 뒤쫓기 쉽다. 爲之於其無有也 / 위지어기무유야 어떤 사태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 처리하고 治之於其未亂 / 지어기미란 아직 혼란해지지 ..
민권과 헌법 - 마키하라 노리오 지음, 박지영 옮김/어문학사 Reading_20min_20140512_2– 다루는 순서: 제1장 자유 민권 운동과 민중 – 제2장 ‘헌법과 의회’를 둘러싼 공방; 제3장 자유주의 경제와 민중의 생활 – 제5장 학교 교육과 가족; 제4장 내국 식민지와 ‘탈아’로의 길; 제6장 근대 천황제의 성립–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 : ‘평등’을 역설하고 ‘학문’을 장려했던 것은 민중의 客分意識을 불식시켜 ‘국민’으로서의 자각, 국가를 위해 목숨을 바칠 각오를 지니게 하기 위해서였다. 근대국가 건립의 매개로서의 학문과 국민교육으로 轉化– 민권파는 객분의식을 가진 민중과 생각이 달랐다. “군대의 존재를 전제로 하는 한, ‘천하와 우락(憂樂)을 함께 하는’ 민권파에게 병역은 당연한 의..
민권과 헌법 - 마키하라 노리오 지음, 박지영 옮김/어문학사 Reading_20min_20140505_1–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다섯 가지 주제들: 제국헌법체제 형성과정; ‘근대국가’를 둘러싼 메이지정부, 자유민권운동, 민중파의 三極관계; 사회의 근대화가 초래한 변화; ‘문명’의 대외적·대내적 층위; 일본의 독자성 형성 요인 – 보론인 제10권 제2장의 논의 주제: 왜 메이지국가는 천황을 필요로 했던가? – 천황제와 관련하여 참고할 책: 야스마루 요시오, , 논형. – 근대국민국가(Modern Nation State)라는 체제[regime]의 구성요소: 특정한 영토, 영토에 살고 있는 국민, 이것들로써 성립되는 주권 – 근대국민국가 설립의 기본 요건으로서의 헌법 – 근대국민국가 성립 이전 시기의 전통사..
초간본 의 교정문(校定文)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주해와 상세한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제13장 텅 빔을 이루는 것이 지극하고통행본 16장 전반부, 백서본 85장 노자와 , 그리고 초간본 에 대하여, 알라딘 도서정보 至虛極也 / 지허극야 텅 빔[虛]을 이루는 것이 지극하고 守盅篤也 / 수충독야 비움[盅]을 지킴이 독실하면, 萬物芳作 / 만물방작 만물이 두루 흥기하지만 居以需復也 / 거이수복야 제 있어야 할 자리(=도)로 되돌아간다. 天道阮阮 / 천도원원 하늘의 도는 돌고 돌기에 各復其根 / 각복기근 〔만물은〕 각기 그 근원으로 되돌아간다.
초간본 의 교정문(校定文)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주해와 상세한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제12장 하늘과 땅 사이는 풀무와 같은 것이 아닌가통행본 5장 중반부, 백서본 74장 노자와 , 그리고 초간본 에 대하여, 알라딘 도서정보 天地之間 / 천지지간 하늘과 땅 사이는 其猶棄篇與 / 기유탁약여 풀무와 같은 것이 아닌가. 虛而不屈 / 허이불굴 〔천지 사이는〕 텅 비어 있으나 〔아무리 써도〕 다함이 없고 動而愈出 / 동이유출 움직일수록 더 많은것들 (만물)이 생겨나온다.
초간본 의 교정문(校定文)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주해와 상세한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제11장 무언가가 있었는데 하나로 이루어져 있었다통행본 25장, 백서본 98장 노자와 , 그리고 초간본 에 대하여, 알라딘 도서정보 有狀䖵成 / 유상곤성 무언가가 있었는데 하나로 이루어져 있었다. 先天地生 / 선천지생 천지에 앞서서 생겨났다. 寂穆獨立不改 / 적모독립불개 〔들어도 들리지 않고 보아도 보이지 않을 정도로〕 고요하고 깊으며, 비길 것 없이 홀로 있으며, 바뀌지 않는다. 可以爲天下母 / 가이위천하모 천하(만물)의 어미라 할 만하다. 未知其名 / 미지기명 아직 그 본래의 이름을 모른다. 字之曰道 / 자지왈도 이를 별명을 붙여서 '도'라고한다. 吾强爲之名曰大 / 오강위지명왈대 나는 억지로 거기에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