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쇼 데모크라시 - 나리타 류이치 지음, 이규수 옮김/어문학사 Reading_20min_20140908_3– 1920년대 사회개혁의 네 가지 조류1) 민본주의자에 의한 정당 정치의 확대와 민의의 존중2) 사회주의 운동의 복권3) 일본과 천황을 전면을 내세워 ‘国体’에 입각한 개조를 추구한 국가주의 단체4) 종래의 통치 방식을 변경하여 국가에 의한 사회의 전면적 개조를 시도한 국가 정책 – 국체론의 기타 잇키(北一輝): 国家改造案原理大綱(1919), 日本改造法案大綱– 기요하라 사다오(清原貞雄): 国体論史(1921) 국체론의 계보와 해석의 개요. “하나의 중심점을 향해 국민이 위집(蝟集)하여 견고한 국가를 만든다.” “‘근간’인 ‘야마토 민족’을 ‘반석’으로 삼으면, 새롭게 ‘부속된 민족’인 조선과 타이완..
다이쇼 데모크라시 - 나리타 류이치 지음, 이규수 옮김/어문학사 Reading_20min_20140831_2– 다양한 계층분화: 중소상점주와 중소공장주로서 일종의 중간층을 형성한 ‘단나슈’(旦那衆)와 이들에게 고용된 ‘잡업층’(雜業層)의 등장 — 이들이 다이쇼 데모크라시를 밀고간 원동력이었으나 이 운동력은 만주사변 발발을 계기로 소멸되면서 ‘국민’으로 결집된다.– 제국이 된 일본은 새로운 사회구조를 만들내지 못했고, 그에 따라 새로운 사회분화 상황에 적응하지 못하였다. – 천황기관설(天皇機関説): 미노베 다쓰키치(美濃部達吉) “국가는 헌법상의 인격을 갖고 법인으로서의 국가가 주권의 주체가 되며, 천황은 국가의 최고 기관이 된다”– 천황기관설은 자유주의적인 헌법해석이었으나 결국 우에스기 신키치(上杉慎吉) ..
파시즘 - 케빈 패스모어 지음, 이지원 옮김/교유서가 책읽기 20분 | 파시즘 [ 원문보기] “이 책의 초판에서 내가 제시한 파시즘의 정의는 그릇된 가정에서 출발했다. 그것은 마르크스주의와 베버주의, 전체주의 이론의 장점들을 종합하면 파시즘에 대한 더 나은 정의에 이르리라는 가정이었다. 그 정의에서, 나는 파시즘의 사상과 사회적 맥락, 그리고 혁명적 포부와 반동적 동기 모두를 균형있게 강조했다.” “파시즘을 다른 개념과 구분 짓는 유일한 점은, 엄청나게 부정적인 도덕적 함의다.” “나치가 파시즘이라는 명칭을 어떤 방식으로 사용 혹은 거부했는지, 그들이 이탈리아 파시스트 체제를 어떻게 해석했고, 그로부터 무엇을 차용했는지, 그리고 그렇게 차용한 것들을 다른 사상 및 실천과 어떻게 결합했는지를 탐구하는 편이..
파시즘 - 케빈 패스모어 지음, 이지원 옮김/교유서가 책읽기 20분 | 파시즘 [ 원문보기] 파시즘의 원형으로서의 참주정 20세기 서구 사회의 낯선 상황: 대중이라는, 주권을 가진 인민 집단의 등장과 그 집단을 통제하는 문제에서 생겨난 nationalism(국민·민족·국가주의) 플라톤, “민중(dēmos)의 선봉에 선 자”로서의 참주와 그를 “아주 잘 따르는 군중(ochlos)”(565e)민중: “이들은 손수 일을 하고 정치에는 관여하지 않으며 재산을 그다지 많이 갖지 못한 사람”(565a) 참조소포클레스, 이 책은 입문서이기 때문에 파시즘에 대한 정의를 한 다음에 그에 따라서 파시즘을 역사적인 순서로 검토해 나가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이 책의 순서대로 읽지 않은 이유는 사실 파시즘이라는 말을 ..
다이쇼 데모크라시 - 나리타 류이치 지음, 이규수 옮김/어문학사 Reading_20min_20140824_1나리타 류이치成田龍一(지음), 이규수(옮김), , 어문학사, 2012.원제: 大正デモクラシー―シリ(岩波書店, 2007) – 이 시기를 가리키는 ‘デモクラシー―シリ’(democracy)라는 말이 과연 내용을 충실히 담아내고 있는가? 정확하게 말하면 메이지 헌법 체제, 즉 ‘위로부터의 근대국가화’에 대항하여 인민의 자립적 가치와 자유를 실현하려는 ‘내재적 근대화’ 운동 이라 할 수 있다. 즉 ‘liberalism’(자유주의) 운동의 시대라 하는 것이 더 적절할 것이다.– 시기 구분: 제1기(1905년 러일전쟁 강화반대운동 – 1912~13년 제1차 호헌운동), 제2기(제1차 호헌운동 – 1918년 쌀소..
파시즘 - 케빈 패스모어 지음, 이지원 옮김/교유서가 책읽기 20분 | 파시즘 [ 원문보기] 집권에 이르는 과정제1차 세계대전의 경험자유군단(Freikorps): 반유대주의히틀러는 반란의 실패로 감옥생활을 하면서 ‘나의 투쟁’을 저술, 핵심주장 중의 하나는 ‘생활공간’(Lebensraum)“유대-볼셰비키 러시아로부터 동유럽의 생활권을 쟁취하는 것이 독일의 사명이라고 믿었다.”19세기 사회다윈주의, 제국주의, 인종주의의 혼합, 강한 반유대주의“1930년대에 나치에 표를 주게 될 많은 이들은 1920년대부터 이미 대중주의와 극단적 내셔널리즘을 옹호하고 있었다.”1929년 미국 경제의 붕괴히틀러가 무솔리니로부터 간파한 성공비결: “선거와 협박의 결합”, “진정한 국민의 대변자라고 선전” 독재히틀러 집권 이후부..
파시즘 - 케빈 패스모어 지음, 이지원 옮김/교유서가 책읽기 20분 | 파시즘 [ 원문보기] 제3장 이탈리아: ‘철권으로 만든 역사’ 집권에 이르는 과정1차 세계대전 이후 세 계파가 자신들의 이해관계를 관철시키려 함보수주의: 권위주의가 가미된 구체제내셔널리즘(국가주의): 더욱 권위주의적인 국가급진주의: ‘제2의 혁명’ 주장. 생디칼리슴 지식인, 파시스트 노동조합 지도부, 페미니스트, 지방당 간부, 경제근대화 주창자 파시즘은 “의회정치적 수완과 대중동원을 결합”하여 성공하였고 무솔리니는 “대중운동과 의회정치를 연결”함으로써 권좌에 올랐다. 독재‘위로부터 동원된 국가’: “책임감있는 남편이자 아버지로서 온종일 새 나라 건설에 매진했고, 그의 아내는 이탈리아를 위해 아이를 낳았다.” — 보수주의와 국가주의 이..
파시즘 - 케빈 패스모어 지음, 이지원 옮김/교유서가 책읽기 20분 | 파시즘 [ 원문보기] 제2장 파시즘 이전의 파시즘?(2) 급진적 우파의 지적 기원: “이탈리아 파시스트와 나치가 공통되게 활용했던 몇 가지 사상”급진적 우파의 정치적 기원: “파시즘이 정치 스펙트럼 전반에 걸친 다양한 사상들을 차용하고 변형” 급진적 우파의 지적인 원천들계몽주의, 일반의지론, 낭만주의, 이성에 대한 반발, 독일의 공동체(Volk), 귀스타브 르 봉의 군중심리이론, 모스카와 파레토의 정치 엘리트론, 니체, 사회다윈주의자들, 우생학, 고비노의 급진적 우파의 정치적 원천들: 내셔널리즘(민족주의, 국가주의), 사회주의와의 복합적 관계, 보수-자유주의 성향의 엘리트 계층 급진적 우파와 파시즘: “급진적 우파는 파시스트들에게 활..
파시즘 - 케빈 패스모어 지음, 이지원 옮김/교유서가 책읽기 20분 | 파시즘 [ 원문보기] 제2장 파시즘 이전의 파시즘?(1) 역사적 파시즘이 등장한 전간기 유럽의 상황전통적인 왕정과 귀족정이 주권재민을 이념으로 하는 민주정에 의해 도전을 받았다 — 대중의 약진엘리트 지배의 존속을 목적으로 하는 급진적 우파는 대중을 무조건 억압할 수 없으므로 대중을 무력화하고 엘리트 지배의 수단으로 삼는 전술을 구사한다. 그중에서 가장 두드러진 전술이 ‘혐오’ “사회학자들에게 ‘대중의 약진’은 해결해야 할 문제였고, 이 문제는 엘리트 지배의 존속이라는 과제와 연결되어 있었다. 급진적 우파는 대중 정치에서 태어났지만 그것을 제한하고자 했다.” 오늘은 "제2장 파시즘 이전의 파시즘?"을 읽는다. 파시즘에 선행하는 여러가지..
파시즘 - 케빈 패스모어 지음, 이지원 옮김/교유서가 책읽기 20분 | 파시즘 [ 원문보기] 제7장 파시즘, 민족, 인종 명백한 생물학적 인종주의의 사례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인종분리주의(apartheid)나치 독일의 반유대주의: “유대인들을 유대교도가 아니라 하나의 인종으로 바라보기 시작한 것은 비교적 최근의 현상이다.” 다문화주의: 문화적 차이는 그것이 타인에게 해가 되지 않는 한 인정되어야 한다. 동화주의: 교육을 매개로 하여 문화가 다른 이들이 특정 지역의 문화를 받아들일 수 있다고 주장. 지나친 동화주의는 폭력성을 수반하며, 현대에 ‘인종차별’이라 불리는 것들은 이러한 성격을 보인다. 현대의 극우와 인종주의영국 국민당: 다른 인종을 증오하지는 않으나 “우리의 바람은 영국인의 종족적·문화적 정체성을 ..
파시즘 - 케빈 패스모어 지음, 이지원 옮김/교유서가 책읽기 20분 | 파시즘 [ 원문보기] 제6장 재에서 되살아난 불사조? 2차세계대전 이후 서구에서 등장한 파시스트적 극우 정치운동과 정당들독일의 경우 파시스트 단체 결성이 헌법에 위배, 기적적 경제성장과 정치적 안정으로 파시스트 당들이 출현하지 않았다.이탈리아 사회는 불안정했으나 파시스트가 용인되지는 않았다.이탈리아 사회운동당(Movimento Sociale Italiano, MSI), 북부연맹(Lega Nord)미국의 애국운동(Patriot Movement): 내셔널리즘, 대중주의, 반공산주의에 매우 강력한 자유지상주의가 결합, 연방정부에 대한 적대감프랑스 국민전(Front National) 현대 서구 극우운동의 공통점들세계화에 대한 반발에서 시작,..
문학 고전 강의 - 강유원 지음/라티오 이 책을 읽는 이들에게 첫 시간 점토서판 기록 신화 《길가메쉬 서사시》호메로스 《오뒷세이아》구약 성서 아이스퀼로스 《오레스테이아 3부작》: , ,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에우리피데스 《메데이아》셰익스피어 《맥베스》셰익스피어 《오셀로》파스칼 《팡세》괴테 《파우스트》멜빌 《모비 딕》 마지막 시간 도서목록: 알라딘 서재 「문학고전강의」의 서지사항을 정리 관련 책 밑줄긋기 글 보기김산해: 최초의 신화 길가메쉬 서사시호메로스: 오뒷세이아아이스퀼로스: 아이스퀼로스 비극 전집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왕/안티고네에우리피데스: 에우리피데스 비극 전집 1에우리피데스: 에우리피데스 비극 전집 2셰익스피어: 맥베스셰익스피어: 오셀로파스칼: 팡세요한 볼프강 폰 괴테: 파우스트허먼 멜빌: ..
근대 일본의 전쟁논리 - 가토 요코 지음, 박영준 옮김/태학사 Reading_20min_20140818_9* 일본에게 왜 한반도는 중요했는가?– 야마가타 아리토모의 주권선/이익선: “我邦의 이익선의 초점은 실로 조선에 있다.”(外交政略論, 1890. 3)– 야마가타 아리토모의 의견서에 덧붙여진 로렌츠 폰 슈타인(Lorenz von Stein)의 의견1) 시베리아 철도의 전면 개통이 일본에 위협이 되지는 않는다.2) 오히려 러시아 철도는 러시아의 “조선의 점령에 필요하다.” 이런 점에서 시베리아 철도는 일본에 큰 문제가 된다.– 슈타인의 ‘권세강역/이익강역’ 개념: “조선의 중립은 일본의 권세강역을 보전하기 위해서 생기는 바의 모든 이익을 충족시키는 것이다.”– 청일전쟁을 뒷받침하는 군사전략의 기조: 일본..
파시즘 - 케빈 패스모어 지음, 이지원 옮김/교유서가 책읽기 20분 | 파시즘 [ 원문보기] 제6장 재에서 되살아난 불사조? - 사후의 파시즘: 2차세계대전 이후 서구에서 등장한 파시스트적 극우 정치운동과 정당들- 설명: 현대의 극우와 역사적 파시즘의 관계 전간기 파시즘과 현대의 극우 운동의 실질적 연속성: 극단적 내셔널리즘, 소수종족에 대한 차별, 반페미니즘, 반사회주의, 대중주의, 기성의 사회적·정치적 엘리트 세력에 대한 반감, 반자본주의, 반의회주의 둘 사이의 차이점: 현대의 극우운동은 대중동원, 준군사조직적 폭력, 유일정당 체지를 추구하지 않는다.“민주주의에 잠재된 차별의 가능성을 활용하고자 한다. 이것은 현대의 극우가 파시즘보다 ‘덜 악하다’거나 ‘덜 위험하다’는 뜻이 아니다.” 참조후지이 다케..
근대 일본의 전쟁논리 - 가토 요코 지음, 박영준 옮김/태학사 Reading_20min_20140811_8가토 요코(加藤陽子), (원제: 戦争の日本近現代史) – 이 책에서 다루는 전쟁 논리들: 메이지 초기의 대외적 현실주의, 사족층의 征韓論, 민권론자의 적극적인 대외강경론, 야마가타 아리토모의 주권선/이익선론, 후쿠자와 유키치의 개혁/비개혁론, 요시노 사쿠조의 러시아 반문명론, 가토 다카아키의 총력전론과 가상적국론, 대동아공영권 시기의 내셔널리즘 비판론과 동아공동체론 – 이 책의 방침: “전쟁에 이르는 과정에서 위정자와 국민들이 세계정세와 일본의 관계를 어떻게 파악하였고, 어떠한 논리적 이치로 전쟁을 받아들였는가, 그 논리의 변천을 추적” – 전쟁의 실태와 형태의 간격: “국가의 갖가지 힘을 동원한 총력..
파시즘 - 케빈 패스모어 지음, 이지원 옮김/교유서가 책읽기 20분 | 파시즘 [ 원문보기] 캐빈 패스모어(지음), 이지원(옮김), , 교유서가, 2016. 원제: Kevin Passmore, Fasc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2014) 파시즘, 초판, 옮긴이의 말근대세계의 여러 특징 가운데 하나는 정치가 삶의 모든 영역을 규율한다는 것인데, 이때 정치사회를 구성하는 여러 세력들은 그들 나름의 규율원리를 정리하여 서로 각축을 벌이거니와, 우리는 이 원리들을 ‘주의ism’라 부르기도 한다. 얼핏 보기에는 파시즘도 이러한 원리들 가운데 하나일 듯하나 그것을 주도하는 정치세력의 정체성이 모호하고 그에 따라 내세우는 주장을 종잡을 수 없어서 그만큼 많은 사람을 혼란에 빠뜨린다. 파..
1894년, 경복궁을 점령하라! - 나카츠카 아키라 지음, 박맹수 옮김/푸른역사 Reading_20min_20140804_7– 청일전쟁을 설명하는 방식들1) “1890년 공황 그리고 (일본)정부와 의회의 대립으로 인한 정치불안 등으로 설명하려는 관점”. 이는 메이지 이래 계속된 “일본의 조선침략정책과 분리”해서 논하려는 시각. 경복궁 범궐사건에 대한 일본 정부의 공식적인 견해는 이러한 관점에 연결되어 있다.“조선왕궁점령은 먼저 발포한 조선 병사와의 우발적인 충돌에서 시작되었고 일본군은 어쩔 수 없이 왕궁으로 들어가 국왕을 보호했으며… 소규모 충돌사건”2) “7월 23일 왕궁점령사건은 결코 ‘한일 양국 병사의 우연한 충돌’이 아니며 일본 공사관과 일본 육군의 혼성여단이 하나가 되어 사전 주도면밀하게 준비한..
1894년, 경복궁을 점령하라! - 나카츠카 아키라 지음, 박맹수 옮김/푸른역사 Reading_20min_20140728_6나카츠카 아키라(中塚明), (원제: 歴史の偽造をただす―戦史から消された日本軍の「朝鮮王宮占領」) – 역사가의 기본 책무: 1차 사료의 발굴, 사료비판과 해석– 책의 핵심내용: “청일전쟁(1894-1895) 개전에 즈음한 일본군 최초의 무력 행사가 주도 면밀한 계획에 바탕한 서울 경복궁 점령이었다는 것과, 그 사실이 일본 육군이 공식적으로 펴낸 ‘일청전사'[日淸戦史]에서 위조된 이야기로 바뀌었다는 것을 당사자인 일본 육군참모본부의 기록을 통해서 실증… 그와 같은 역사 위조가 결코 일시적 발상에서가 아니라 근대 일본에서 조직적으로 이루어져왔음을 정확한 사료를 실례로 들어 논증” – 역사가의..
청일.러일전쟁 - 하라다 게이이치 지음, 최석완 옮김/어문학사 Reading_20min_20140721_5– 영일동맹을 맺으면서 일본은 러시아를 가상적국으로 설정하게 된다. “러시아와 맞서는 일본, 위에서 미는 영국, 배후에서 지켜보는 미국”– 구미 각국은 아시아의 군사적 긴장에 의한 무역과 금융을 통해 1873년 이래의 대불황을 해소한다.– 일본은 의화단 사건(1899-1901) 당시의 공동파병을 거쳐 구미열강(영제국, 미합중국, 러시아,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오스트리아)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제국으로 성장 – “러일전쟁은 양국에게 싸우지 않아도 좋을 전쟁이었다.”– 러일전쟁에서 얻은 戰訓: 군비확장을 도모해도 일본의 국력은 소모전을 견디지 못하므로 정신력으로 보완해야 한다; 장비의 충실보다 병사..
폭정 - 티머시 스나이더 지음, 조행복 옮김/열린책들 책읽기 20분 | 폭정 [ 원문보기] 티머시 스나이더(지음), 원제: Timothy Snyder, On Tyranny: Twenty Lessons from the Twentieth Century (2012) “20세기 유럽사는 사회가 분열될 수 있고, 민주주의 체제가 무너질 수 있고, 도덕이 땅에 떨어질 수 있고, 평범한 보통 사람들이 손에 총을 그러쥔 책 죽음의 구덩이 위에 서 있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필연과 영원, 이 두 가지 태도는 전부 반역사적이다. 그 둘 사이에는 오직 역사 그 자체만이 서 있다… 역사는 우리를 책임지는 존재로 만든다.” 오늘은 티머시 스나이더의 《폭정》을 읽는다. 《폭정》은 원제목이 'On Tyranny' 일반적으로 정..
영락제 - 단죠 히로시 지음, 한종수 옮김/아이필드 책읽기 20분 | 영락제 5 [ 원문보기]제8장 쿠빌라이를 넘어서홍무제의 국방체제: 북방의 몽골족(北虜), 동남해안의 왜구(南倭) 전수방위專守防衛 체제영락제: 북로를 정벌하고 해금정책을 펴면서도 조공이라는 형식에 집착 —> 명나라 중심의 화이질서 확립 추구정화의 남해 대원정: 해외무역 확대발전이 목적, 무역은 부차적이고 조공이라는 의식 자체가 목적(영락제의 특수한 사정) 9장 화이질서를 총괄하는 자북경천도는 화이질서를 세우려는 시도 중의 하나였으나 경제와 군사의 불일치를 가져왔다. 10장 영락제의 유산“국가와 사회의 정치적 역량을 토대로 명나라 초기에 성립된 이 체제는 완성과 동시에 국가와 사회의 괴리를 필연화시키고 말았다… 해금=조공시스템도 홍무와 영..
영락제 - 단죠 히로시 지음, 한종수 옮김/아이필드 책읽기 20분 | 영락제 4 [ 원문보기]제4장 찬탈로 가는 계단2대 황제 건문제의 정책들: 삭번정책(황제권 강화), 민생중시책(황제권의 약화) 제5장 역사의 전복연왕의 거병과 황제찬탈4년 동안의 내란 — 정난靖難의 변 제6장 잃어버린 시간 속에서“찬탈과 살육의 오명을 어떻게 씻어낼 것인가?” 제7장 천명天命의 소재봉천정난奉天靖難(하늘의 뜻을 받들어 국난을 안정시킴), 여기에 실질을 덧붙여 정당화를 얻고자 하는 시도들1) 대전 편찬사업영락대전永樂大典 — 지상세계를 총괄하는 성왕, 사상의 통일시도2) 내각과 환관 — 황제독재체제의 기구 지난 시간에 대명제국의 탄생을 읽고 그에 이어서 제3장인 황통의 장래를 읽었다. 대명제국의 탄생은 명나라 건국의 역사인데..
영락제 - 단죠 히로시 지음, 한종수 옮김/아이필드 책읽기 20분 | 영락제 3 [ 원문보기]2. 대명제국의 탄생 / 3. 황통의 장래 - 원나라 말기의 흑사병과 천하대란주원장은 “강남[長江 이남]의 요지인 남경에 근거지를 두고 세력을 확대했다.” “송나라 이래로 강남 지방의 경제적 발전은 이미 원나라 대에 최고에 올라 있었다. 이를 놓치지 않고 시류에 편승한 것이 주원장에게 행운을 가져다 주었다.” - 주원장의 황제독재체제 구축“현실세계의 황제-관-민의 질서는 명나라 초기에 철저하게 고정화되었다. 주원장은 사람마다 각자의 계층과 신분에 맞게 위치를 정해주고 자신의 권력과 법률로 이 질서를 유지시키려고 했는데, 원나라를 대신해 중화의 새 천자가 된 주원장에 의해 타율적이고 강제적인 유교질서가 만들어진 것..
청일.러일전쟁 - 하라다 게이이치 지음, 최석완 옮김/어문학사 Reading_20min_20140713_4– “1895년 제국 일본은 야마가타가 주장하는 ‘이익선’ 개념을 명확히 채택하고, 식민지 대만과 세력권 조선을 발판으로 이후의 50년 동안을 군사력 확대와 전쟁으로 나아간다. 그 전환점은 청일전쟁이었다.”– 청일전쟁을 어떻게 볼 것인가: 일본의 적극적인 침략의지가 일관된 계획 속에서 전개되고 실현되었는가, 아니면 일본의 ‘팽창주의’는 승인하되 적극적으로 준비된 침략임은 배제할 것인가.– 청일전쟁의 이데올로기: ‘문명의 義戦’이라는 이데올로기, “전투와 살육을 정당화하는 의식 조작” – 청일전쟁의 後果1) 국제관계: 청의 군사력이 약체라는 사실을 세계에 폭로2) 戰爭特需, 戰後經營 체제: 전쟁에 따른..
영락제 - 단죠 히로시 지음, 한종수 옮김/아이필드 책읽기 20분 | 영락제 2 [ 원문보기]중화中華의 의미하夏, 화華, 제하諸夏, 화하華夏: 우월성을 드러내는 문화적 의미중국中國, 중주中州, 중토中土: 지리적 관점에서 나온 말이에 대비되는 동이東夷, 서융西戎, 남만南蠻, 북적北狄 또한 지리적 개념이면서 동시에 문화적 개념 “이적이라도 예의를 알면 중화의 백성이 되고 중화의 백성조차도 예와 의를 실추시키면 이적으로 취급되었다.” 화이華夷화이華夷 질서는 동아시아 국제 관계를 규정하는 개념당나라 때 책봉冊封 체제로 구체화“절대적인 무력과 경제력과 정치력으로 동아시아 세계에 군림”참조: 박한제, 宋은 漢族이 건국했지만 군사력이 열세여서 화이질서를 내세우지 못했다.元은 몽골족이 건국했고 막강한 군사력과 국제무역..
영락제 - 단죠 히로시 지음, 한종수 옮김/아이필드 책읽기 20분 | 영락제 1 [ 원문보기]전근대 동아시아 국제질서, 즉 ‘화이질서華夷秩序’의 완성자로서의 영락제를 다룬다.현대 중국에서는 영락제의 적극적인 외교정책의 측면에서 그를 재평가한다. - 저자의 관점“14, 15세기 무렵의 중국과 이에 휘말린 동아시아 각 나라들의 관계를 축으로, 영락제 시대를 재현하고 그에게 부여된 역할을 객관적으로 분석” - 명대 이후의 동아시아 질서“중국의 영향을 받은 주변 국가들은 영락제 시대에 명나라를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에 편입되어 그 구조 안에서 행동하도록 강제되었다.” - 영락제의 ‘화이일가華夷一家’라는 용어와 그것의 현실적 실현, 다민족 복합국가로서의 명나라 체제 - 청대 옹정제의 ‘화이일가’, 건륭제의 ‘중이일..
제국 - 헤어프리트 뮌클러 지음, 공진성 옮김/책세상 책읽기 20분 | 제국 10 [ 원문보기]제5장 약자의 힘에 좌절하는 제국 뮌클러, 참조 “강한 적에 막혀 제국이 좌절한 경우보다 훨씬 더 시사하는 바가 많은 것은 제국이 자기에게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예상하지 못한 약한 상대에 의해 무릎을 꿇게 되는 경우이다.” 제6장 제국 이후의 시대에 놀랍게 돌아온 제국 냉전 이후 미합중국(아메리카 제국)이 ‘유일하게 남은 초강대국’으로 남은 시대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가. 제5장 약자의 힘에 좌절하는 제국, 제6장 제국 이후의 시대에 놀랍게 돌아온 제국을 남겨두고 있는데 이 두 챕터는 앞서 1,2,3,4장에 나온 얘기들의 후속편에 해당한다. 오늘날의 상황에 대해서 다루고 있어서 자세하게 얘기하려면 굉..
청일.러일전쟁 - 하라다 게이이치 지음, 최석완 옮김/어문학사 Reading_20min_20140707_3– 시베리아철도와 일본– 이나가키 만지로(稻垣滿次郞, 1861-1908), 東方策: 지정학적 관점에서 서술된 국제정치론– 구가 가쓰난(陸羯南, 1857-1907): “메이지 24년(1891)은 실로 우리 동양 문제가 움직이기 시작한 시대”(1894년의 언급)– 야마가타 아리토모(山県有朋)의 의견들1) 군사의견서(1888년 1월): 시베리아철도 계획 발표 3년후. 아시아에서 영국과 러시아의 대립, 캐나다의 태평양철도, 시베리아철도2) 외교정략론(1890년 3월): “우리나라 이익선의 초점은 실로 조선에 있다… 시베리아철도가 완공되는 날이 곧 조선에서의 多事가 일어나는 날이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