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네아데스 (천줄읽기) - 플로티노스 지음, 조규홍 옮김/지만지(지식을만드는지식) 해설 ·······················ix 지은이에 대해 ··················xvii 엔네아데스 I 6: 아름다운 것에 관해 ·········3 엔네아데스 V 8: 정신의 아름다움에 관해 ······32 엔네아데스 III 5: 사랑에 관해 ···········77 옮긴이에 대해 ··················111 지은이에 대해 플로티노스(Plotinos, 204/205~269/270)는 고대 후기 그리스 철학자다. 플라톤사상에 몰두해서 가르쳤기에 사람들은 그를 '신플라톤주의의 창시자'라고 평한다. 북아프리카의 리코폴리스(Lykopolis)에서 태어나 로마제국의 영향력 있는 사상가로 활동했다. 예컨대..
철학, 더 나은 삶을 위한 사유의 기술 - 존 코팅엄 외 지음, 강유원 외 옮김/유토피아 제1장 세계 실재란 무엇인가 | 아리스토텔레스 | 물리적 세계 | 초자연 현상 | 원인과 결과 | 흄 | 관념론 | 버클리 | 헤겔 | 현상학 | 진리 | 수학 | 무한 | 라이프니츠 | 시간과 공간 (소주제)존재론적 범주 | 양자이론의 수수께끼 | 유령 | 인과와 결정론 | 흄의 쇠스랑 | 칸트의 선험적 관념론 | 버클리에 대한 존슨 박사의 오해 | 대륙철학 | 하이데거와 나치즘 | 거짓말쟁이의 역설 | 미적분의 발견 | 제논의 역설 제2장 몸과 마음 마음이란 무엇인가 | 데카르트 | 사유 | 제리 포더 | 의식 | 느낌과 감정 | 언어 | 비트겐슈타인 | 자유의지 | 스피노자 | 자아 | 제정신과 정신이상 | 생..
제국 - 스티븐 하우 지음, 강유원.한동희 옮김/뿌리와이파리 한국어판 서문 서론: 나는 오늘자 신문을 읽는다 1장 누가 제국주의자인가? 2장 육상제국 3장 해양제국 4장 제국의 종말과 그 이후 5장 제국을 연구하고 판단하기 옮긴이의 말 참고문헌 그림 목록 더 읽을거리 옮긴이의 말 조선이 일본 제국의 식민지가 되었다가 그것에서 벗어난 뒤 대한민국이 세워진 지 60년이 넘었다. 그런데 한국 사회에서는 식민지 시대와 관련된 용어들이 여러 사람의 입과 매체에서 자주 오르내린다. 날카로운 정치적 쟁점이 되기도 하며 서로 편을 갈라 악을 쓰고 싸우는 일까지도 벌어진다. 형식적으로 따지면 일본제국의 식민지였던 조선과 대한민국은 다른 나라이다. 대한민국은 일본 제국의 식민지였던 땅 위에 세워졌고, 더 나아가 그 일에 ..
바다의 문들 - 데이비드 벤틀리 하트 지음, 차보람 옮김/비아 들어가며 1. 세계의 조화 2. 하느님의 승리 부록 1. 의문의 미진 2. 하느님은 어디에 계셨는가? 해설: 데이비드 벤틀리 하트가 그리는 오래된 미래 1. 세계의 조화 27 하느님을 인간과 같은 하나의 윤리적 행위자로, 제한된 정신을 지닌 인격체로 축소한 것이다. 물론, 이 논증에는 어떤 정서적 힘, 심지어 도덕적 힘이 있다. 그러나 논리적 힘은 없다. 만물의 시작과 끝을 보지 못하는 한, 모든 시간 위에 있는 신적이고 영원한 지점에 있지 않은 한, 하느님의 자유와 피조물의 자유 사이의 관계의 정확한 본성을 알지 못하는 한, 무한한 지혜를 헤아리지 못하는 한, 우리는 어떤 유한한 경험에서 하느님 안에 있는 전능성과 완전한 선의 일치에 대한 ..
선거는 민주적인가 - 버나드 마넹 지음, 곽준혁 옮김/후마니타스 서론 1장 직접 민주주의와 대표성 2장 선거제도의 승리 3장 탁월성의 원칙 4장 민주주의적 귀족정 5장 인민의 평결 6장 대의 정부의 변형들 결론 역자후기 찾아보기 서론 현대의 민주주의 정부는 그 설립자들이 민주주의와는 대립되는 것으로 이해했던 정치 체제로부터 발전했다. 최근에는 동일한 정부 유형의 다양한 형태로 '대의 민주주의' 와 '직접 민주주의' 를 구분한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가 '대의 민주주의' 라고 부르는 정부 형태는 애초에는 민주주의의 한 형태 혹은 인민에 의한 정부로 간주되지 않았던 제도(영국, 미국, 프랑스 혁명의 결과로 만들어진 제도)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정치적 대의제에 대한 루소의 단호한 비판은 지금까지도 잘 알려져..
사후생 이야기 - 최준식 지음/모시는사람들 서두에 프롤로그 I. 죽음은 없다 01. 우리는 죽은 다음에도 존재하는가? 02. 사후생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 03. 왜 우리는 영계에 대해서 알아야 할까? 04. 죽음이 정말로 고통스러울까? 05. 육신을 벗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날까? II. 영계는 어떤 곳인가? 06. 영혼이란 무엇인가? 07. 영계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까? 08. 영계는 물질계와 어떤 면에서 가장 다를까? 09. 영계에 도착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10. 자신이 죽었다는 사실을 빨리 인정할 것 11. 영계가 돌아가는 원리 12. 천국과 지옥은 존재한다 13. 내가, 그리고 우리가 창조한 지옥의 모습은? 14. 영계의 2차 영역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15. 영혼에도 등급이 있..
추의 역사 - 움베르토 에코 지음, 오숙은 옮김/열린책들 서문 Chapter I. 고대 세계의 추 Chapter II. 수난, 죽음, 순교 Chapter III. 묵시록, 지옥, 악마 Chapter IV. 괴물들과 기이한 것들 Chapter V. 추한 것, 희극적인 것, 외설스러운 것 Chapter VI. 고대부터 바로크 시대까지 여성의 추 Chapter VII. 근대 세계의 악마들 Chapter VIII. 마법, 사탄 숭배, 사디즘 Chapter IX. 피시카 쿠리오사 Chapter X. 낭만주의와 추의 구원 Chapter XI. 두려운 낯설음 Chapter XII. 철탑과 상아탑 Chapter XIII. 아방가르드와 추의 승리 Chapter XIV. 타자의 추, 키치, 캠프 Chapter XV. 오늘..
지하로부터의 수기 -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지음, 계동준 옮김/열린책들 제1부 지하실 제2부 진눈깨비 때문에 현실 세계와 허구 세계의 뒤틀림 인간 소외와 반항의 상징 도스또예프스끼 연보 제1부 지하실 나는 병든 인간이다 ··· ···. 나는 악한 인간이다. 나는 호감을 주지 못하는 사람이다. 생각건대, 간에 이상이 있는 것 같다. 그런데, 나는 내 병에 대해서 아무 생각이 없었으며 사실 어디가 아픈지조차도 잘 모른다. 의학과 의사들을 존경하기는 하지만 나는 치료를 받고 있지 않으며 치료를 받은 적도 결코 없다. 게다가 나는 극도로 미신적인 사람이다. 의학을 존경하는 만큼 미신을 믿는다(나는 미신을 믿지 않도록 충분히 교육을 받았음에도 미신을 믿는다) 아니다, 내가 치료 받기를 원치 않는 것은 증오심 때문..
헤겔 근대 철학사 강의 - 하워드 P. 케인즈 지음, 강유원.박수민 옮김/이제이북스 옮긴이 서문 서문 1. 중세 철학에서 근대 철학으로의 이행 2. 프랜시스 베이컨 3. 야코프 뵈메 4. 르네 데카르트 5. 베네딕트 데 스피노자 6. 니콜라스 말브랑슈 7. 존 로크 8. 후고 그로티우스 9. 토머스 홉스 10. 아이작 뉴턴 11.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 12. 크리스티안 볼프 13. 조지 버클리 14. 데이비드 흄 15. 장-자크 루소 16. 임마누엘 칸트 17. 요한 고틀리프 피히테 18. 프리드리히 요제프 셸링 후기: 헤겔의 입장 참고문헌 찾아보기 Translator's Preface 옮긴이 서문 서양 철학의 역사는 플라톤 철학의 주석에 불과하다는 말이 있다. 이 말과 유사하게 철학은 기원전 7-5세기..
작가의 얼굴 - 마르셀 라이히라니츠키 지음, 김지선 옮김/문학동네 서문 윌리엄 셰익스피어 11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 17 모제스 멘델스존 23 요한 볼프강 폰 괴테 29 프리드리히 폰 실러 35 프리드리히 횔덜린 41 프리드리히 슐레겔 47 E. T. A. 호프만 53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 59 루트비히 뵈르네 65 하인리히 하이네 71 리하르트 바그너 93 테오도어 폰타네 99 에두아르트 폰 카이절링 109 안톤 체호프 115 구스타프 말러 121 아르투어 슈니츨러 127 게르하르트 하웁트만 133 리카르다 후흐 143 알프레트 케어 149 하인리히 만 155 하인리히 만과 토마슨 만 형제 161 알프레트 폴가 171 토마스 만 177 알프레트 되블린 205 프란츠 카프카 215 리온 포이히트방거 ..
루트비히 포이어바흐와 독일 고전철학의 종말 - 프리드리히 엥겔스 지음, 강유원 옮김/이론과실천 서문 Ⅰ Ⅱ Ⅲ Ⅳ 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 - 칼 마르크스 지음 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 - 칼 마르크스 지음 / 프리드리히 엥겔스 편집 후주 역자 후기 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 1 지금까지의 모든 유물론(포이어바흐의 유물론을 포함하여)의 주요 결함은 대상, 현실, 감성이 객관이나 직관의 형식에서만 파악되고 있다는 것, 그러나 인간의 감성적 활동, 실천으로 주체적으로 파악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런 까닭에 활동적 측면은 유물론과의 대립속에서 관념론에 의해 추상적으로 - 관념론은 당연히 현실적인 감성적 활동 자체를 알지 못한다 - 전개된다. 포이어바흐는 감성적인 객관 - 사유의 객관과 현실적으로 구별되는 객관 - 에..
새로운 학문 - 잠바티스타 비코 지음, 조한욱 옮김/아카넷 이 저작의 개념 이 저작의 서론 몫을 하면서 안표지에 있는 그림에 대한 설명 제1권 원리의 확립에 관하여 제2권 시적 지혜에 관하여 제3권 참된 호메로스의 발견에 관하여 제4권 민족들이 밟는 과정 제5권 민족이 다시 일어났을 때 인간사의 반복 옮긴이 해제 옮기면서 [1] 테베 사람 케베스가 도덕에 관한 도판을 만들었던 것처럼 여기에서 우리는 문명에 관한 도판을 보여주려고 하는데, 그것은 독자가 이 저작을 읽기 전에 그 개념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고, 책을 읽은 뒤에도 상상력이 제공할 수 있는 도움을 통해 이 책의 개념을 더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2] 지구의 또는 자연의 세계 위에 올라서 있으며, 관자놀이에 날개가 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