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이상학 2 -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조대호 옮김/나남출판 2권IX권(Θ)X권(I)XI권(K)XII권(Λ) XIII권(M)XIV권(N) 부 록 2651. 아리스토텔레스의 생애2.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술목록3. 자연의 사다리(Scala naturae) 옮긴이 해제 271참고문헌 375찾아보기 395 IX권1045b1. '가능태'와 '현 실태'의 측면에서 본 있음. 가장 주도적인 뜻의 가능태는 능동적 작용의 능력과 수동적 작용의 능력이다그러면 첫 번째 뜻에서 있으며, 있는 것의 다른 모든 범주들이 준거 점으로서 관계하고 있는 것, 즉 실체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이야기했다. 이렇게 말하는 이유는 다른 것들, 즉 양이나 성질을 비롯해서 그런 방식으로 불리는 다른 것들은 실체에 대한 정식에 따라서 '있다'고 일컬어지..
형이상학 1 -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조대호 옮김/나남출판 1권옮긴이 머리말 I권(A) II권(α) III권(B) IV권(Γ) V권(Δ) VI권(E)VII권(Z) VIII권(H) 부 록 3691. 아리스토텔레스의 생애2.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술목록3. 자연의 사다리(Scala naturae) 참고문헌 375찾아보기 395 무엇보다도 "형이상학"이라고 하는 제목 자체가 아리스토텔레스가 붙인 것이 아닙니다. 후대의 학자가 편집할 때 《자연학》 다음에 이 책을 배치하면서 그렇게 명명한 것 입니다. 《형이상학》이라는 책을 후대의 학자가 편집했다는 말 은 《형이상학》이라는 책이 독립된 단행본(또는 강의록)들의 묶음임을 의미합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의 완결된 저작을 의도하고 쓴 것이 아닙니다. 《..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 - 김인곤.강철웅.김재홍.김주일.양호영.이기백.이정호.주은영 옮김/아카넷 출간에 부쳐일러두기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 단편들의 출전 개관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01 희랍철학의 여명기1.1 오르페우스1.2 무사이오스1.3 에피메니데스1.4 헤시오도스1.5 페레퀴데스1.6 테아게네스1.7 아쿠실라오스1.8 7현인의 잠언들 02 탈레스03 아낙시만드로스04 아낙시메네스05 피타고라스06 크세노파네스07 헤라클레이토스08 파르메니데스09 제논10 멜리소스11 엠페도클레스12 필롤라오스와 기원전 5세기 피타고라스주의자들13 아낙사고라스14 레우키포스와 데모크리토스 해제01 희랍철학의 여명기02 탈레스03 아낙시만드로스04 아낙시메네스05 피타고라스06 크세노파네스07 헤..
신들의 계보 - 헤시오도스 지음, 천병희 옮김/도서출판 숲 옮긴이의 서문/ 우주와 신들의 탄생에 관한 가장 권위 있는 문헌 신들의 계보 일과날 헤라클레스의 방패 여인들의 목록 그리스 신화의 주요 신들 주요 신들과 영웅들의 가계도 헤시오도스의 작품의 이해/ 천병희 참고문헌 찾아보기 《신들의 계보》 옮긴이의 서문 19 우리나라에 그리스 로마 신화에 대한 관심이 폭넓게 확산되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 전 일이 아니다. 그러한 관심이 일시적인 호기심에 그치지 않고 서양 문화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토대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그리스 로마 신화에 관한 일차 문헌들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러한 작업의 핵심은 그리스 로마 시대에 씌어진 일차 문헌들을 자의적으로 재구성한 신화 연구서들..
철학 고전 강의 - 강유원 지음/라티오 [철학 古典 강의] ‘이 책을 읽는 이들에게’ I 희랍 철학의 시작: 세계에 전체에 대한 통찰 II 플라톤: ‘좋음’ 위에 인간과 공동체를 세우려는 노고 III 아리스토텔레스: 희랍 형이상학의 체계적 완결 IV 데카르트: 주체인 인간의 세계 구축 V 칸트: 인간의 한계 자각과 ‘장래의 형이상학’ VI 헤겔: 신적 입장으로 올라선 인간 * 강의에서 교재로 사용된 책들 헤시오도스, 천병희 옮김, 《신들의 계보》 김인곤 외 옮김,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 플라톤, 박종현 역주, 《에우티프론,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파이돈》 플라톤, 박종현 역주, 《국가·정체(政體)》 아리스토텔레스, 조대호 옮김, 《형이상학 1》 아리스토텔레스, 조대호 옮김, 《형이..
종의 기원 - 찰스 다윈 지음, 송철용 옮김/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종의 기원에 대한 학설 그 진보의 역사 간추림 머리글 제1장 사육과 재배과정에서 발생하는 변이 제2장 자연 상태에서 발생하는 변이 제3장 생존경쟁 제4장 자연도태 또는 적자생존 제5장 변이의 법칙 제6장 학설의 난점 제7장 본능 제8장 잡종 제9장 불완전한 지질학적 기록 제10장 생물의 지질학적 천이 제11장 지리적 분포 제12장 지리적 분포(제11장에 이어) 제13장 생물의 서로 유연/형태학/발생학/흔적기관 제14장 요약과 결론 Appendix 자연도태설에 대한 여러 다른 의견들 다윈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종의 기원》 다윈 연보 제1장 사육과 재배과정에서 발생하는 변이 119 이제 동식물의 사육재배 품종의 기원에 대해 요약해 보기로..
파놉티콘 : 제러미 벤담 - 제러미 벤담 지음, 신건수 옮김/책세상 들어가는 말 제러미 벤담이 프랑스 국민의회 의원 가랑에게 보내는 편지 파놉티콘―감시 시설, 특히 감옥에 대한 새로운 원리에 관한 논문 두 번째 부분―파놉티콘의 관리에 대하여 해제―파놉티콘과 근대 유토피아 주 더 읽어야 할 자료들 관련 공부 글 보기 인문고전강의 08 - 32강: 파놉티콘1 인문고전강의 08 - 33강: 파놉티콘2 들어가는 말 8 새로 등장한 감옥은 과거의 감옥을 계승하는 것이 아니라 구호 시설과 관계된다. 빵 한 조각을 훔친 죄로 19년 동안 수감되었던 장 발장(빅토르위고의 의 주인공)처럼 산업사회에서는 먹을 것을 훔치는 등의 경범죄는 예전과 달리 묵인되지 않았다. 범죄를 저지른 자들은 정신적 문제를 지닌 사람, 즉 올바..
종의 기원을 읽다 - 양자오 지음, 류방승 옮김/유유 저자 서문역사의 기나긴 강에서 고전을 다시 읽다 I. 고전의 의의와 『종의 기원』의 지위 II. 종의 변화와 『종의 기원』의 구조 III. 다윈 이전의 진화론 IV. 창조론과 생존경쟁: 『종의 기원』 1~3장 V. 다윈의 초월과 한계: 『종의 기원』 4~6장 VI. 다윈의 해명: 『종의 기원』 7~9장 VII. 인류 문화와 종의 진화 VIII. 진화론의 함정과 영향 역자 후기책장에 꽂아 두었던 묵은 책을 다시 읽다 더 읽어 볼 책 다윈의 생애 연표 I. 고전의 의의와 『종의 기원』의 지위 31 다윈의 『종의 기원』은 특수하다. 오늘날 어떤 생물 이론도, 또 어떤 생물학자의 주장도 먼저 다윈과 대화해야만 한다. 특히나 그가 제기한 '진화론'과 대화해야만..
기독교의 발흥 - 로드니 스타크 지음, 손현선 옮김, 이현수 감수/좋은씨앗 1장 개종과 기독교의 성장 2장 초기 기독교의 계급적 기반 3장 유대인 선교: 성공의 개연성과 성공 요인 4장 역병, 네트워크, 개종 5장 기독교의 성장과 여성의 역할 6장 도시 제국의 기독교화: 정량적 접근 7장 도시의 혼돈과 위기: 안디옥의 사례 8장 순교자: 희생은 합리적 선택이었다 9장 기회와 조직 10장 미덕에 관한 소고(小考) 도서 소개: http://ratiopress.com/editio/?cat=3 1장 개종과 기독교의 성장 17 결국 기독교의 발흥에 관한 모든 물음은 하나로 수렴된다. 어떻게 그런 일이 일어났을까? 어떻게 로마 제국 변방에서 시작된 미약하고 이름 없는 메시아 운동이 고전시대의 이방 종교를 밀어내고 ..
직업으로서의 정치 - 막스 베버 지음, 전성우 옮김/나남출판 역자서문 01. 문제제기와 개념틀 02. 의 제측면 03. 직업 정치가의 역사적 제유형 04. 근대적 정당과 직업 정치가 05. 직업 정치가의 자질 06. 와 결론 : 와 의 상보성 관련 공부 글 보기 [공부/인문고전강의(2013年)] - 강유원의 인문고전강의 07 - 30강: 직업으로서의정치1 [공부/인문고전강의(2013年)] - 강유원의 인문고전강의 07 - 31강: 직업으로서의정치2 역자서문 6 베버가 이 강연에서 우리에게 던지는 중심 화두는, 현대의 대의 민주주의적 조건하에서 정치를 '직업' 또는 '소명'으로 삼으려는 사람들이 갖추어야 할 자질은 무엇이며, 정치적 지도자의 덕목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으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01. 문제제..
방법서설 - 르네 데카르트 지음, 이현복 옮김/문예출판사 1. 정신지도를 위한 규칙들 2. 방법서설 3. 주해 4. 해설/데카르트적 방법과 도덕 관련 공부 글 보기 [공부/인문고전강의(2013年)] - 강유원의 인문고전강의 06 - 27강: 방법서설1 [공부/인문고전강의(2013年)] - 강유원의 인문고전강의 06 - 28강: 방법서설2 [공부/인문고전강의(2013年)] - 강유원의 인문고전강의 06 - 29강: 방법서설3 《방법서설》 143 이성을 잘 인도하고, 학문에 있어 진리를 탐구하기 위한 《방법서설》 145 이 서설이 너무 길어 한 번에 읽을 수 없다면, 여섯 부분으로 나누어 읽어도 좋을 것이다. 제1부에서는 제반 학문들이 다양하게 고찰되고 있다. 제 2부에서는 저자가 찾고 있는 방법의 주요한 ..
땅과 바다 - 칼 슈미트 지음, 김남시 옮김/꾸리에 01 : : : 20 후기 133 옮긴이의 말 _『땅과 바다』에 대한 몇 가지 추언 134 관련 공부 글 보기 책읽기 20분 | 2016 | 06 땅과 바다 1 책읽기 20분 | 2016 | 06 땅과 바다 2 책읽기 20분 | 2016 | 06 땅과 바다 3 [1] 도입부: 1-2 [2] 핵심테제, 기본원리: 3 [3] 땅의 힘과 바다의 힘의 투쟁에 관한 역사적 사실들: 4-9(9에서는 영국에 의해 성취된 공간혁명) [4] 공간혁명의 문화적·법적 의미: 10-19 [5] 에필로그: 새로운 공간으로서의 하늘, 향후 전망: 20 01 7 인간은 땅의 존재, 땅을 밝고 있는 존재다. 인간은 견고하게 정초된 대지 위에 서서 걸어가고 움직이지. 그 대지가 그가..
군주론 -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박상섭 옮김/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머리말 번역 방침과 범례들 헌정사 제01장군주국의 종류와 그 획득 방식에 대하여 제02장세습 군주국에 대하여 제03장혼합 군주국에 대하여 제04장알렉산드로스에게 정복된 다리우스의 왕국은 알렉산드로스의 사후 왜 그의 후계자들을 상대로 반란을 일으키지 않았는가 제05장정복되기 전에 자신의 법제하에서 살던 [도시]국가(civitates)나 군주국은 어떻게 통치할 것인가 제06장자신의 군대와 비르투로 획득한 새로운 군주국에 대하여 제07장타국의 무력과 행운을 바탕으로 정복한 새로운 군주국에 대하여 제08장사악한 방법으로 군주 지위에 오른 사람에 대하여 제09장시민형 군주국 제10장여러 군주국들의 힘은 어떤 방식으로 측정할 것인가 제11장교회 군..
논어를 읽다 - 양자오 지음, 김택규 옮김/유유 서문: 동양고전 읽는 법 제1장 『논어』의 연원 제2장 스승으로서의 공자 제3장 공자는 진리의 확성기가 아니었다 제4장 본래의 공자로 돌아가기 제5장 스승에게는 정답이 없었다 결론 지금 공자를 읽는 의미 역자 후기: 자공의 눈에 비친 공자 31 『논어』 의 두 가지 발음 현대 중국어에서는 보통 '論語'(논어)의 첫 번째 글자인 '論'을 2성으로 읽습니다. 이렇게 읽는 것은 동한 말, 유희의 『석명』 「석전예」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책에서는 "『논어』는 공자가 제자들과 나눈 말을 기록한 책이다. '論'은 '倫'(륜)이니 조리가 있다는 것이고, '語'는 '敍'(서)이니 자기가 하려는 말을 서술한다는 것이다"라고 하여, 『논어』를 '조리있게 자기가 하려는 말을 ..
대포, 범선, 제국 - 카를로 M. 치폴라 지음, 최파일 옮김/미지북스 서문프롤로그 1장 유럽의 도약 2장 유럽 너머의 대포와 범선에필로그부록1부록2감사의 말참고 문헌역자 후기찾아보기 관련 공부 글 보기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6 | 05 대포 범선 제국 1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6 | 05 대포 범선 제국 2 4 서문파니카 교수가 썼듯이 "1498년 바스쿠 다 가마의 캘리컷 도착부터 1947년 영국군의 인도철수 그리고 1949년 중국에서 유럽 해군의 철수까지 지난 450년은 근본적으로 매우 주목할 만한 일관성을 보여준다. 그 일관성이란 아시아의 광대한 대륙을 해상력이 좌지우지했다는 것과 바다를 장악한 유럽 민족들의 지배로 요약할 수 있다." 12 프롤로그1453년 5월 28일 투르크 인..
말랑하고 쫀득~한 세계 지리 이야기 - 케네스 C. 데이비스 지음, 심차섭 그림, 노태영 옮김, 송치중 감수/푸른숲주니어 작가의 말 1. 지구가 왜 특별하지? _ 우리가 살고 있는 행성, 지구에 관한 이야기 2. 1년 내내 여름 방학을 해야 하는 곳은? _ 우리의 삶과 떼려야 뗄 수 없는 날씨와 기후, 환경 이야기 3. 만약 우리가 하루를 잃어버리게 된다면? _ 지도의 탄생과 제작에 얽힌 이야기 4. 우리 조상들은 모두 아프리카에 살았을까? _ 껌껌해서 속을 알 수 없는 아프리카 대륙 5. 중국의 만리장성이 우주에서도 보인다고? _ 세계에서 진기록을 가장 많이 가진 아시아 대륙 6. 왜 세계의 많은 사람들은 영어를 사용할까? _ 세계적인 문화의 중심지, 유럽 대륙 7. 콜럼버스가 아메리카를 맨 처음 발견..
서기 1000년과 서기 2000년 그 두려움의 흔적들 - 조르주 뒤비 지음, 양영란 옮김/동문선 1. 서론 2. 궁핍에 대한 두려움 3. 타인에 대한 두려움 4. 전염병에 대한 두려움 5. 폭력에 대한 두려움 6. 사후 세계에 대한 두려움 1. 서론 14 중세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20세기 말에 살고 있는 우리 자신을 잠시 잊고 8-10세기 이전에 살았던 사람들처럼 생각하고자 애를 써야 합니다. 중세 문화는 현대 문화와 아주 다르기 때문입니다. 당시에는 눈에 보이는 세상 너머에 또 다른 세상이 있다는 사실을 아무도 의심하지 않았습니다. 이승에서 죽고 나면 저승에서 삶이 계속되는 것이 자명한 이치였습니다. 유대인을 제외한 모든 사람들은 신 이 구체적인 형상으로 존재한다고 믿었습니다. 모든 관습 ━ 종교..
옥스퍼드 중국사 수업 - 폴 로프 지음, 강창훈 옮김/유유 편집자 서문 저자 서문 1장 형성기: 역사의 시작부터 기원전 3세기까지 2장 최초의 제국: 진나라(기원전 221?기원전 206)와 한나라(기원전 206?220) 3장 혼돈의 시대(220?589) 4장 다시 통일된 제국: 수 왕조(581?618)와 당 왕조(618?907) 5장 축소된 제국과 유목 민족 도전자들: 송 왕조(960?1279)와 원 왕조(1279?1368) 6장 근대 초기의 중국: 명 왕조(1368?1644)와 청 왕조 전반기(1644?1800) 7장 청 제국의 쇠퇴와 몰락, 그 후(1800?1920) 8장 내전, 일본의 침략, 공산주의의 흥기(1920?1949) 9장 중화인민공화국(1949?현재) 옮긴이의 말 후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
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서문 인물로보는 연표 1. 세계질서에 대한 탐구-고대 철학 2. 신과 철학자들-종교적인 중세 철학 3. 과학과 종교 사이-근대 철학과 계몽사상 4.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20세기 옮긴이 후기 선택된 도서목록 찾아보기 + 강의 녹음파일을 들으며 책 본문의 내용을 정리하여 올린다. 관련 공부 글 보기 강유원의 철학이야기I,II | 2008 | 01 세계질서에 대한 탐구-고대 철학 강유원의 철학이야기I,II | 2008 | 02 세계질서에 대한 탐구-고대 철학 강유원의 철학이야기I,II | 2008 | 03 신과 철학자들-종교적인 중세 철학 강유원의 철학이야기I,II | 2008 | 04 신과 철학자들-종교적인 중세 철학 강유원의 ..
역사 - 존 H. 아널드 지음, 이재만 옮김/교유서가 1. 살인과 역사에 관한 물음들 2. 돌고래의 꼬리부터 정치의 탑까지 3. “그것은 실제로 어떠했는가”―진실, 문서고, 옛것에 대한 애정 4. 목소리와 침묵 5. 천릿길의 여정 6. 고양이 죽이기, 또는 과거는 낯선 나라인가? 7. 진실 말하기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역자 후기/ 도판 목록 도서목록: 알라딘 서재 옮긴이 이재만 님의 더 읽을거리 관련 공부 글 보기 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6 | 02 역사 1 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6 | 02 역사 2 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6 | 02 역사 3 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6 | 02 역사 4 1. 살인과 역사에 관한 물음들 12 이건 진실한 이야기이다. 1301년 길..
철학 - 에드워드 크레이그 지음, 이재만 옮김/교유서가 1. 철학 2.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플라톤의 『크리톤』 3. 우리는 어떻게 아는가?―흄의 『기적에 관하여』 4. 나는 누구인가?―무명 승려의 자아에 관한 성찰: 밀린다 왕의 마차 5. 몇 가지 주제 6. ‘-주의/론’에 관하여 7. 흥미로운 저작들―나의 선택 8. 누구에게 어떻게 이로운가? 참고문헌―어디로 가야 하나?/ 역자 후기/ 도판 목록 도서목록: 알라딘 서재 옮긴이 이재만 님의 더 읽을거리 1. 철학 12 철학이 우리와 그토록 가깝다면, 어째서 그토록 많은 이들이 철학은 난해하고 다소 기이한 무엇이라고 생각하는 걸까? 그렇지 않다고 쉽게 치부해버릴 수도 없다. 어떤 철학은 난해하고 기이하며, 최고의 철학은 대부분 처음에는 난해하거나 기..
플라톤 - 남경희 지음/아카넷 머리말 서문 : 플라톤과 서양철학의 사유범주 제1부 플라톤의 생애와 철학의 개관 제2부 윤리적 삶에서 인신과 이익 제3부 정신의 지향성 제4부 형상의 존재론 제5부 국가에서 정의와 이성 제6부 세계 구성의 원리 참고문헌 찾아보기 1장 플라톤의 시대와 그의 저술 33 플라톤과 그 시대 고대 그리스는 위대한 시기였다. 이 시기는 서구 정신사에서 가장 탁월한 인물 셋을 거의 동시에 배출했다. 이들 세 사람은 우연히 동시대적 인물이 된 것이 아니라 깊은 정신적 관계 속에서 등장 했으므로 고대 그리스의 문화가 우리에게 주는 의의는 더욱 크다고 하겠다. 소크라테스(Socrates)는 플라톤(Platon)의 스승이었고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는 플라톤이 개설한 서양 최초의 ..
세계사 공부의 기초 - 피터 N. 스턴스 지음, 최재인 옮김/삼천리 옮긴이의 말 서장 세계사란 무엇인가 1장 세계사의 골격 2장 역사가처럼 생각하기 3장 시간, 시대구분과 평가 4장 공간, 지역과 문명 5장 만남과 교류 6장 주제와 범주 7장 세계사의 쟁점 8장 현대사, 우리 시대의 세계사 관련 공부 글 보기 [공부/인문학공부 I] - 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6 | 01 세계사 공부의 기초 ? 역사가처럼 생각하기 1 [공부/인문학공부 I] - 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6 | 01 세계사 공부의 기초 ? 역사가처럼 생각하기 2 [공부/인문학공부 I] - 강유원의 책읽기 20분 | 2016 | 01 세계사 공부의 기초 ? 역사가처럼 생각하기 3 [공부/인문학공부 I] - 강유원의 책읽기 20..
에우티프론,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파이돈 - 플라톤 지음, 박종현 엮어 옮김/서광사 머리말 일러두기 편 편 편 편 관련 사진 참고 문헌 고유명사 색인 내용 색인 목차 I. 시작 하는 대화 (2a~5d) 1. 에우티프론이 소크라테스가 기소된 이유 를 들음 (2a~3e) 2. 에우티프론이 자기 아버지를 살인죄로 기소하게 된 경위를 소크라테스가 들음 (3e~4e) 3. 소크라테스가 에우티프론 에게 '경건함'이 무엇인지에 대한 가르침을 청함 (4e~5d) ll. 경건함에 대한 첫번째 정의: 사례 열거를 통한 의미 규정의 잘못 (5d~6e) 1. 에우티프론이 살인, 성물 절취 따위의 올바르지 못한 짓에 대한 기소와 같은 사례를 들어, 이를 '경건한 것' 이라 말함 (5d~6c) 2. 경건함'에 대한 물음은..
국가·정체(政體) - 플라톤 지음, 박종현 옮김/서광사개정 증보판을 내면서 초판의 머리말 플라톤의 생애와 철학 《국가》(政體) 해제 일러두기 대화자들 제1권 제2권 제3권 제4권 제5권 제6권 제7권 제8권 제9권 제10권 1권327a 어저께 나는 아리스톤의 아들 글라우콘(Glaucon)과 함께 피레우스로 내려 갔었네. 332c 그렇다면 시모니데스는 올바른 것(정의로운 것: to dikaion)이 무엇인지를 말함에 있어서 시인처럼 암시적으로 말한 것 같소. 그는 각자에게 합당한 것을 갚는 것, 이것이 올바른 것이라 생각하고, 이 합당한 것(to prosēkon)을 갚을 것(마땅한 것: to opheilomenon)이라고 일컬은 것 같으니까 말씀이오. 338c 들으십시오! 저로서는 올바른 것(to dika..
향연 - 플라톤 지음, 강철웅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 작품 안내 작품 분절 틀 이야기 1. 아폴로도로스의 도입 이야기 (172a1-174a2) 본 이야기 2. 아리스토데모스의 향연 이야기 서두 (174a3-175e10) 3. 향연 방식과 이야기 주제 결정 (176a1-178a5) 4. 파이드로스의 연설 (178a6-180b8) 5. 파우사니아스의 연설 (180c1-185c3) 6. 아리스토파네스의 딸꾹질 (185c4-e5) 7. 에뤽시마코스의 연설 (185e6-188e4) 8. 웃음에 관한 공방 (189a1-189c1) 9. 아리스토파네스의 연설 (189c2-193e2) 10. 소크라테스의 걱정 (193e3-194e3) 11. 아가톤의 연설 (194e4-197e8) 12. 소크..
고르기아스 - 플라톤 지음, 김인곤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 작품 해설 작품 개요 등장 인물 본문과 주석 부록 옮긴이의 글 참고 문헌 찾아보기 작품 개요 I. 도입부(447a-448e) 연설 회장 바깥 장면: 소크라테스, 카이레폰, 칼리클레스 간의 짧은 대화 II. 소크라테스와 고르기아스의 대화 (449a-461b) (1) 연설술에 대한 정의 (449a-453a) (2) 정치술의 원동력이자 모든 기술의 상위 기술로서의 연설술 (453b-457b) (3) 고르기아스적 연설술의 문제점 (457c-461b) III. 소크라테스와 폴로스의 대화 (461c-481b) (1) 고르기아스적 연설술의 정체: 정치술의 부분적 모상 (461c-466a) (2) 고르기아적 연설술의 힘은 과연 큰가?..
파이드로스 - 플라톤 지음, 김주일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 작품 해설 작품 개요 등장인물 본문과 주석 부록(옮긴이의 글, 참고 문헌, 찾아보기) 목차 1. 서론 : 파이드로스를 만나 일리소스 강변으로 가다 (1) 신화를 합리적으로 해석하는 파이드로스와 소크라테스의 반론 (2) 이야기를 읽을 장소의 아름다움에 대한 묘사 2. 에로스에 대한 뤼시아스의 이야기 3. 첫 번째 막간 대화 : 뤼시아스 연설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비판 4. 에로스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첫 번째 연설 5. 두 번째 막간 대화 : 다이모니온의 개입과 ‘다시 부르는 노래’ 6. 소크라테스의 두 번째 이야기 : 다시 부르는 노래 (1) 도입 : 신적인 광기의 이로움 (2) 신적인 광기로서 에로스의 이로움 1) 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