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중국사학명저中國史學名著」를 듣고 정리한다. 2025.10.18 δ. 중국사학명저中國史學名著(13) ─ 漢書첸무, ⟪중국사학명저강의⟫(錢穆, 中國史學名著) 텍스트: buymeacoffee.com/booklistalk/ChienMu-06 사기史記와 한서漢書의 비교 사기史記, 팔서八書한서漢書, 십지十志예서禮書, 예의, 풍속 율력지律曆志, 역법, 음률 악서樂書, 음악 예약지禮樂志, 예범, 음악 율서律書, 병법兵法과 군사軍事 형법지刑法志, 형벌과 법률 역서曆書(曆書), 무제武帝 시기의 역법개정 식화지食貨志, 경제 천관서天官書, 길흉吉凶, 천인감응天人感應 교사지郊祀志, 국가의 제사와 제례 봉선서封禪書, 종묘宗廟와 제사..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중국사학명저中國史學名著」를 듣고 정리한다. 2025.09.27 δ. 중국사학명저中國史學名著(12) ─ 漢書첸무, ⟪중국사학명저강의⟫(錢穆, 中國史學名著) 텍스트: buymeacoffee.com/booklistalk/ChienMu-06 반고班固, 한서漢書 • 첫 번째 단대사斷代史. 즉 왕조王朝를 경계로 한 역사서. 중국사中國史의 경우. 왕조사王朝史를 서술하면 제왕帝王만을 중시한다는 비판을 받지만, "왕조가 바뀐다는 것은 곧 역사상 하나의 큰 변동이 일어남을 뜻한다." • 반고班固 이전에 사기史記를 이어 역사서를 쓰려했던 이들 유향劉向, 유흠劉歆, 양웅揚雄, 풍상馮商, 사잠史岑 • 반고班固(32-92)의 아버..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중국사학명저中國史學名著」를 듣고 정리한다. 2025.09.20 δ. 중국사학명저中國史學名著(11) ─ 史記첸무, ⟪중국사학명저강의⟫(錢穆, 中國史學名著) 텍스트: buymeacoffee.com/booklistalk/ChienMu-05 사기史記의 정성精成 130권. 52만 6천5백 자字 본기本紀 12권. 세가世家 30권, 열전列傳 70권, 표表 10권, 서書 8권 본기本紀. 책의 대강. 편년編年 형식. 군주나 황제에게 각 한 권의 본기를 할당. '사기史記 속의 춘추春秋' 세가世家. 제후국諸侯國을 나누어 기술. 춘추시대春秋時代의 12 제후諸侯. 국어國語와 전국책戰國策이 국별사國別史이면서 주로 말..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중국사학명저中國史學名著」를 듣고 정리한다. 2025.09.13 δ. 중국사학명저中國史學名著(10) ─ 史記첸무, ⟪중국사학명저강의⟫(錢穆, 中國史學名著) 텍스트: buymeacoffee.com/booklistalk/ChienMu-05 사기史記 • 사마천司馬遷은 '정사正史' 분류分類의 창시자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의 분류分類 육예락六藝略: 역易, 서書, 시詩, 예禮, 악樂, 춘추春秋, 논어論語, 효경孝經, 소학小學 제자략諸子略 ┃ 사부략辭賦略(시부략詩賦略) ..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중국사학명저中國史學名著」를 듣고 정리한다. 2025.09.06 δ. 중국사학명저中國史學名著(9) ─ 史記첸무, ⟪중국사학명저강의⟫(錢穆, 中國史學名著) 텍스트: buymeacoffee.com/booklistalk/ChienMu-05 상서尙書, 좌전左傳, 사기史記의 체제體制 상서尙書, 기사記事 / 좌전左傳, 편년編年 / 사기史記, 列傳 ┃ ┃ ┃ 사건 연대 인물 ..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중국사학명저中國史學名著」를 듣고 정리한다. 2025.08.30 δ. 중국사학명저中國史學名著(8) ─ 國語, 戰國策첸무, ⟪중국사학명저강의⟫(錢穆, 中國史學名著) 텍스트: buymeacoffee.com/booklistalk/ChienMu-04 국어國語 • 제후국들을 각기 나누어 기록했으므로 제후국 별로 읽어야 한다. 자료들을 각 제후국들로부터 모아서 다른 사람들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 따라서 한 곳에 모여 있기는 하지만 잘 융합되어 있었던 것은 아니다. 각각에서 중요하게 서술한 내용이 많이 다르다. • 노어魯語 추로지향鄒魯之鄕 (산동지방의 나라들, 유학을 하는 곳들). 보수적인 입장. 경학자들 • 제어齊語 관중..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중국사학명저中國史學名著」를 듣고 정리한다. 2025.08.24 δ. 중국사학명저中國史學名著(7) ─ 左傳첸무, ⟪중국사학명저강의⟫(錢穆, 中國史學名著) 텍스트: buymeacoffee.com/booklistalk/ChienMu-04 좌전左傳 ─ 좌전에 관한, 종전의 두 가지 문제 1. 좌전이 춘추春秋를 해석[전傳]한 것인가 2. 좌전이 좌구명左丘明의 작품이 맞는가 ➞ 좌전이 해석한 것은 춘추春秋의 '사실'이었지 '의義'는 아니었다. [송대宋代의 의견] 좌전의 내용과 역사적 가치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좌전이야말로 중국에서 제일 먼저 등장한 가장 상세하면서도 주도면밀한 첫 번째 편년사 ··· 오로지 역사적 가..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중국사학명저中國史學名著」를 듣고 정리한다. 2025.08.16 δ. 중국사학명저中國史學名著(6) ─ 春秋 三傳첸무, ⟪중국사학명저강의⟫(錢穆, 中國史學名著) 텍스트: buymeacoffee.com/booklistalk/ChienMu-03 춘추삼전春秋三傳, 공양전公羊傳, 곡량전穀梁傳, 좌전左傳 • 춘추春秋의 위치, 왕관학王官學과 백가언百家言 왕관학王官學(경학經學) - 조정의 아문衙門에서 생산. 귀족학 백가언百家言(제자학諸子學) - 민간에서 생산되는 것. 평민학 상서尙書는조정의 사관史官, 시경詩經은 악관樂官이 관할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 육예락六藝略 / 제자략諸子略 ─ 왕관학王官學이 사회에 전해져 평민과..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중국사학명저中國史學名著」를 듣고 정리한다. 2025.08.09 δ. 중국사학명저中國史學名著(5) ─ 春秋첸무, ⟪중국사학명저강의⟫(錢穆, 中國史學名著) 텍스트: buymeacoffee.com/booklistalk/ChienMu-03 ─ 춘추春秋의 서술방식 "사실을 좇아 문장을 짓는 것이 춘추의 가르침이다." (속사비사屬辭比事 춘추교야春秋教也) 맹자孟子. "그 문장은 곧 사관이 남긴 것이었다." (기문즉사基文則史) ➞ 춘추는 노나라의 역사에 의거했고 사실을 기록한 것 그렇다면, 무엇이 춘추를 독자적 역사책으로 만들어주는가. 대의大義, 즉 도적적 감성. "공자가 춘추를 짓자 난신적자들이 두려워했다." (..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중국사학명저中國史學名著」를 듣고 정리한다. 2025.08.02 δ. 중국사학명저中國史學名著(4) ─ 春秋첸무, ⟪중국사학명저강의⟫(錢穆, 中國史學名著) 텍스트: buymeacoffee.com/booklistalk/ChienMu-03 ─ 주공周公. "세상에 이름을 날린 사람" (명세자名世者) : 세상에 이름을 날린 사람, 시대를 대표하는 사람. 그 시대의 정신을 대표하고 시대의 개성을 대표. 서주西周 시대부터 춘추말기春秋末期에 공자가 출현하기까지 주공은 그 시대를 대표. ➞ 공자가 주공의 정신을 이어받았다 라고 하는 것의 의미 ─ 춘추春秋의 기본 사항 • 편년체編年體 사서史書. 노나라 은공魯隱公 원년(722) ..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중국사학명저中國史學名著」를 듣고 정리한다. 2025.07.26 δ. 중국사학명저中國史學名著(3) ─ 尙書첸무, ⟪중국사학명저강의⟫(錢穆, 中國史學名著) 텍스트: buymeacoffee.com/booklistalk/ChienMu-02 ─ 서주서西周書, 주공周公: 서주西周와 주공周公의 정신 • 상서 가운데 가장 믿을 만한 부분.• "넓은 하늘의 상제께서는 그의 원자에게 내린 이 큰 나라 은의 명을 바꾸었습니다. 왕께서 명을 받으시니 이는 무궁한 경사이며, 또 무궁한 근심이기도 합니다. 아아! 어찌 근신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황천상제皇天上帝 개궐원자改闕元子 자대국은지명玆大國殷之命 유왕수명惟王受命 무강유휴無疆..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중국사학명저中國史學名著」를 듣고 정리한다. 2025.07.19 δ. 중국사학명저中國史學名著(2) ─ 尙書첸무, ⟪중국사학명저강의⟫(錢穆, 中國史學名著) 텍스트: buymeacoffee.com/booklistalk/ChienMu-02 상서尙書 [서경書經] • 상서尙書. 원고遠古, 상고上古 (오랜 옛날) 서書. 운韻이 없는 글. 시詩는 운韻이 있는 글 우虞 · 하夏 · 상商 · 주周. 네 시기에 대한 역사서. 5제와 3대에 관한 책 • 상서尙書 가운데 가장 믿을만한 부분은 서주서西周書, 즉 주서周書 중에서 서주西周 부분. 동주서東周書도 있으나 이는 후일에 첨가된 부분. 시詩 · 서書 · 역易은 공..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중국사학명저中國史學名著」를 듣고 정리한다. 2025.07.12 δ. 중국사학명저中國史學名著(1) ─ 緖첸무, ⟪중국사학명저강의⟫(錢穆, 中國史學名著) 텍스트: buymeacoffee.com/booklistalk/ChienMu-01 전목錢穆, 사학명저강의史學名著講義(1973) ─ 근대민족주의 사학史學의 일부 국사대강國史大綱, 범독본서청선구하례제신념凡讀本書請先具下列諸信念 1. 어느 나라의 국민이든, 스스로 일정한 수준 이상의 지식을 갖춘 국민이라면 자기나라의 과거 역사에 대해 어느 정도 알아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그는 지식인知識人이라 할 수는 있어도 지식知識을 갖춘 국민이라고 할 수는 없다.) 2. 자기나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