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법률 - 플라톤 지음, 박종현 역주/서광사머리말 5 《법률》해제 11 우리말 번역본과 관련된 일러두기 39 원전 텍스트 읽기와 관련된 일러두기 43 《법률》목차 45 대화자들 53●《법률》본문과 주석 57 제 1 권 ........................................................................................ 57 제 2 권 ........................................................................................ 147 제 3 권 .............................................................................
플라톤의 향연 / 파이드로스 / 리시스 - 박종현 역주/서광사머리말 5 우리말 번역본과 관련된 일러두기 9 원전 텍스트 읽기와 관련된 일러두기 13 《향연》 편 15 해제 17 목차 35 대화자들: 본 대화 틀 밖의 인물들 39 본 대화(심포시온)에 참여한 인물들 43 《향연》 49 《파이드로스》 편 201 해제 203 목차 217 대화자들 221 《파이드로스》 223 《리시스》 편 375 해제 377 목차 385 대화자들 389 《리시스》 391 관련 사진 447 참고 문헌 451 고유 명사 색인 459 내용 색인 465 《파이드로스》 편250c 그러나 아름다움의 경우, 우리가 말했다시피, 그것들과 함께 있을 때도 그건 빛났지만 우리가 이곳으로 와서도, 우리의 감각들 중에서도 가장 또렷한 감각을 통해서..
플라톤의 소피스테스 / 정치가 - 플라톤 지음, 박종현 옮김/서광사 머리말 … 5 우리말 번역본과 관련된 일러두기 … 9 원전 텍스트 읽기와 관련된 일러두기 … 13 《소피스테스》 편 … 15 해제 … 17 목차 … 41 대화자들 … 45 《소피스테스》 … 47 《정치가》 편 … 203 해제 … 205 목차 … 217 대화자들 … 221 《정치가》 … 223 참고 문헌 … 365 고유 명사 색인 … 371 내용 색인 … 375 《소피스테스》 편 목차 I. 첫머리 대화(216a~218b): 《테아이테토스》 편에서의 대화가 끝나면서 또 갖기로 한 다음 날의 모임에서 수학자 테오도로스가 엘레아학파에 속하는 손님 한 분을 소개한다. 이어 소크라테스가 그 고장 사람들이 소피스테스와 정치가 그리고 철학자를 어떤 사..
2018년 5월 28일부터 KBS 라디오 강유원의 책과 세계에서 진행되는 선생님의 라디오 방송을 듣고 정리한다. 다시듣기 주소: http://program.kbs.co.kr/1radio/radio/bookworld/pc/list.html?smenu=c16974 20181217-146 플라톤, 파이돈 “에케크라테스, 이것이 우리 동지의 최후가 되었습니다. 우리가 당대에 알게 된 사람들 가운에서 가장 훌륭하였고, 다른 어떤 점보다도, 가장 지혜로웠으며, 가장 올발랐다(정의로웠다)고 우리가 말해야 할 그런 분의 최후말입니다.”(118a) 누군가가 인생이 괴로워서 철학책을 읽어 위안을 얻어볼까 하였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철학이라든가 위안이라든가 이런 말을 떠올린 그는 로마 철학자 보에티우스의 을 사서 읽었다고 ..
티마이오스 - 플라톤 지음, 박종현/김영균 옮김/서광사 머리말해제일러두기 목차대화자들 본문과 주석부록참고문헌고유명사 색인내용색인 《티마이오스》 목차 I. 들어가는 대화 1. 국가편에 대한 요약적 언급과 소크라테스의 기대 (17a-20c) 2. 아틀란티스 이야기 (20c-25d) 3. 티마이오스, 크리티아스, 헤르모크라테스의 이야기 순서 (25d-27b) Ⅱ. 서론: 우주론적 탐구의 성격과 그 범위 (27c-29d) Ⅲ. 지성에 의해 만들어진 것들 (29d-47e) 1. 창조의 동기와 그 본 (29d-31b) 2. 우주의 몸통 구성 (31b-34a) 3. 우주 혼의 구성 및 동일성의 운동과 타자성의 운동 (34a-37e) 4. 시간의 창조와 천체들의 운행 방식 (37c-40d) 5. 전통적인 신들 (40d..
에우튀데모스 - 플라톤 지음, 김주일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작품 해설내용 구분등장인물본문과 주석 부록《에우튀데모스》에 나오는 소피스테스의 논변 해설옮긴이의 글참고문헌찾아보기 내용 구분1. 271a-272d: 액자 밖 서두- 소크라테스, 크리톤을 만나 두 소피스테스의 제자가 되겠다고 말하다 - 소크라테스가 크리톤을 만나 전날 있었던 대화에 대해 말을 꺼내며 에우튀데모스와 디오뉘소도로스 형제의 지혜가 놀라워 같이 그들의 지혜를 배우러 다니자고 권하고 이에 크리톤은 그들의 지혜에 대해 먼저 알려 달라고 해서 액자 속 대화가 재현된다. 2. 272d-273b: 액자 안 서두- 소크라테스, 에우튀데모스와 디오뉘소도로스를 클레이니아스와 크테십포스와 함께 만나다.- 소크라테스가 신의 가호로..
2018년 5월 28일부터 KBS 라디오 강유원의 책과 세계에서 진행되는 선생님의 라디오 방송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www.podbbang.com/ch/16843 20180731-047 플라톤, “올바르지 못함(不義: adikia)과 오만함(hybris)은 무분별(aphrosynē)과 함께 우리를 파멸케 하나, 올바름(dikaiosynē)과 절제(sōphrosynē)는 지혜(사려 분별: phronēsis)와 함께 우리를 지켜 줍니다.”(플라톤, , 906a-b) 철학자 플라톤은 많은 대화편을 썼고, 그 중에서 가장 분량이 많은 것은 《법률》이라 불리는 대화편이다. 예전에 소개한 적이 있는 《국가》가 일종의 이상국가에 대한 설계도를 다루면서 동시에 그런 이상국가를 이끌어 가는 철학..
2018년 5월 28일부터 KBS 라디오 강유원의 책과 세계에서 진행되는 선생님의 라디오 방송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www.podbbang.com/ch/16843 20180725-043 플라톤, 국가 환한 태양, 즉 ‘좋음의 이데아’를 본 사람들은 “인간사에 마음쓰고 싶어하지 않고, 이들의 혼은 언제나 높은 곳에서 지내기를 열망”한다. 그렇지만 어떤 까닭에서인지 동굴 밖에서 환한 태양을 본 사람들은 “다시 동굴로 내려가서 이전의 같은 자리에 앉”아야만 한다. 여전히 동굴 안에 있는 사람들에게 밖에 환한 태양이 있음을 전해주고, 그 태양이 보이는 밖으로 나가야 한다고 말하기 위해서이다. 고대 희랍의 철학자 플란톤은 철학을 전공하지 않는다 해도 누구나 한번쯤 꼭 들어봤을 사람이다. ..
크라튈로스 - 플라톤 지음, 김인곤.이기백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작품 해설작품 개요등장인물본문과 주석옮긴이의 글참고문헌찾아보기 작품 개요 1. 이름의 올바름에 대한 상반된 두 견해 (383a-385e):헤르모게네스의 규약주의와 크라튈로스의 자연주의 2. 자연주의의 일반적 논거에 의한 규약주의 비판(385e-390e) 1) 있는 것들의 본질(385e-386e) 2) 행위들의 본성과 이름을 부르는 행위의 본성(386e-3871d) 3) 도구의 기능과 이름의 기능(387d-388c) 4) 기술자로서 도구를 만드는 자와 입법가(388c-389a) 5) 만듦의 본: 형상 (389a-390a) 6) 도구를 만드는 자와 사용자의 관계 :입법가와 변증술 전문가의 관계(390b-390d) 7)..
뤼시스 - 플라톤 지음, 강철웅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 작품 해설작품 개요등장인물본문과 주석 작품 개요1. 에로스와 필리아〔도입〕 (203a1~207d4)2. 필리아와 앎 혹은 유용성의 관계〔예비적탐구〕 (207d4~211a1)3. 사랑하는 자와 사랑받는 자〔친구의 두 후보〕 (211a1~213d5)4. 비슷한 것이 비슷한 것에게 친구〔셋째 후보〕 (213d6~214e1)5. 훌륭한 자의 자족성〔셋째 후보 논의의 심화와 비판〕 (214e2~215c2)6. 비슷하지 않은 것이 비슷하지 않은 것에게 친구〔넷째 후보〕 (215c3~216b9)7. 훌륭하지도 나쁘지도 않은 것이 훌륭한 것의 친구〔다섯째 후보〕(216c1~218c3)8. 첫째 친구〔다섯째 후보 논의의 심화와 비판〕 (2..
라케스 - 플라톤 지음, 한경자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 작품해설작품개요등장인물 본문과 주석 부록옮긴이의 글참고 문헌찾아보기 작품 개요1. 교육의 문제(178a-190c)(1) 중무장 전투술의 교육적 가치(178a-184c) 1) 도입부: 중무장 전투술에 대한 조언 요청(178a-181d) 2) 중무장 전투술의 가치에 대한 니키아스의 견해(181d-182d) 3) 중무장 전투술의 가치에 대한 라케스의 견해(182d-184c) (2) 교육은 영혼을 위한 것이다(184c-190c) 1) 소크라테스의 첫 번째 제안: 영혼의 보살핌에 대한 전문가를 찾아야 한다(184c-187d) 2) 막간: 소크라테스와의 문답 대화에 대한 니키아스와 라케스의 생각(187b-189d) 3) 소크라테스의 ..
아래는 강유원 선생님 《서구 정치사상 고전읽기》에서 플라톤의 대화편에 대해 말씀하신 부분을 발췌한 것으로, 대화편 목록 중 「책 밑줄긋기」에 정리한 경우 링크를 걸어두었다. 플라톤의 저작들이 대화편이라는 형식으로 만들어진 까닭을 살펴보았으니 이제 플라톤의 저작들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자. 플라톤의 대화편(플라톤의 저작은 대화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대화편'이라 불린다)은 크게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눈다. 아래에 그 분류에 따른 목록과 각 대화편의 내용을 간략하게 적었다. (한국어 제목 옆에 그리스어 원어를 로마자로 적었다) ■ 초기 소크라테스의 변론 Apologia Sokrates: 소크라테스의 연설 크리톤 Kriton: 시민적 의무의 본질과 원천 에우티프론 Euthyphron: 신들에 대한..
메넥세노스 - 플라톤 지음, 이정호 옮김/이제이북스 플라톤: 메넥세노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 작품 해설내용 구분등장인물 본문과 주석 옮긴이의 글참고문헌찾아보기 부록페리클레스 추도 연설 234a-236d소크라테스: 광장에서 오는 건가, 아니면 어디 다른 곳에서 오는 건가? 메넥세노스.메넥세노스: 광장에서요. 소크라테스 님. 평의회 의사당에서 오는 길입니다. 소크라테스: 평의회 의사당에 특별한 볼일이 있었나 보지? 아니, 물어 볼 것도 없이 뻔하지 뭐. 교양과 철학 공부도 다 마쳤다 싶고 또 그 정도면 이미 충분하다고 여겨, 좀 더 큰 일 쪽으로 마음을 돌릴 심산인거야. 어이, 이 친구, 그 젊은 나이에 우리 같은 늙은이를 다스리려고 말이야. 자네 가문에서 누군가 우리들의 보호자가 나오는 일이 ..
플라톤의 국가·정체(政體) - 플라톤 지음, 박종현 옮김/서광사 개정 증보판을 내면서 초판의 머리말 플라톤의 생애와 철학 《국가》(政體) 해제 일러두기 대화자들 제1권 제2권 제3권 제4권 제5권 제6권 제7권 제8권 제9권 제10권 텍스트 읽기와 관련된 주석 및 각주 보완 참고문헌 고유 명사 색인 내용 색인 관련 사진 책 끝에 붙여 327a 어저께 나는 아리스톤의 아들 글라우콘과 함께 피레우스로 내려 갔었네. 그 여신께 축원도 할 겸, 이번에 처음으로 개최하는 축제 행사이기도 해서, 그걸 어떤 식으로 거행하는지도 볼 생각에서였네. 내가 생각하기엔 실로 본바닥 사람들의 행렬도 훌륭한 것 같았지만, 트라게인들이 지어 보인 행렬도 그것에 못지 않게 근사해 보였네. 우리는 축원과 구경을 마치고 시내로 돌아오..
메논 - 플라톤 지음, 이상인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전집'을 펴내며 작품해설 작품개요 등장인물 본문과 주석 옮긴이의 글 참고문헌 찾아보기 작품해설10 프로타고라스는 정치적 탁월함의 교사를 자처했지만, 고르기아스는 가르치는 교사가 아닌 설득하는 수사학자로서의 자신의 역할을 강조할 뿐이다. 이처럼 소피스트들 내부에서도 입장의 차이가 선명하게 드러나기 시작했다. 11 프로타고라스와 고르기아스와 소크라테스는 비판과 논쟁의 역사를 새롭게 개척한 철학자들이라는 점에서 공통되더라도, 그리스 철학의 미시적 전개사 속에서 보면 그들의 입장은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메논》은 이 세 철학자 들 간의 차이의 양상과 논쟁의 초점이 어디에 있는지를 극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13 소크라테스는 메논의 질문에 직접적으로 ..
테아이테토스 - 플라톤 지음, 정준영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 작품해설 작품개요 등장인물 본문과 주석 부록 옮긴이의 글 참고 문헌 찾아보기 작품 개요 A. 도입부의 액자 이야기 (142a-143c) (등장인물: 에우클레이데스, 테릅 시온) B. 액자 내부의 본 이야기 (143d-210c) (등장 인물: 소크라테스,테아이테토스, 테오도로스) 0. 예비적 논의 (143d-151d) (1) 액자 내부의 도입부 (143c-145c) (2) 앎에 대한 예비적 정의의 시도 와 이에 대한 비판 (145c-148e) (3) 산파의 비유 (148e-151d) 1. 앎에 대한 첫 번째 정의: 앎은 지각이다 (151d-186e) (1) 테아이테토스의 첫 번째 정의와 프로타고라스의 인간척도설의 도입 ..
편지들 - 플라톤 지음, 강철웅 외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 작품해설플라톤의 '편지들' 요약 본문과 주석 부록1《일곱째 편지》에 관하여플라톤의 생애연대표지도디오뉘시오스 가계도디오뉘시오스 전후의 시라쿠사 통치자 목록 부록2옮긴이의 글참고문헌찾아보기 일곱째 편지324c 나도 젊은 시절 정말 많은 사람들과 같은 기분이었습니다. 난 내가 나 자신의 주인이 되면 곧바로 나라의 공적 활동에 뛰어들겠노라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나에게 나랏일과 관련된 다음과 같은 일이 일어났습니다. 당시의 정치 체제가 많은 사람들로부터 비난을 받아 혁명이 일어난 것 입니다 .그리고 혁명에는 51명의 사람들이 지도자로 선봉에 나섰는데 그 중 11명은 시내에서, 10명은 페이라이에우스에서 각기 시장 및 도시..
소피스트 - 플라톤 지음, 이창우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 작품 해설본문과 주석 부록옮긴이의 글참고 문헌찾아보기 내용 구분 1) 216a-218b: 도입부 2) 218b-221c: 분할 연습 (낚시꾼 추적) 3) 221c-226a: 획득기술로서의 소피스트 4) 226a-231b: 분리기술로서의 소피스트 5) 231b-236d: 반박 하는 논쟁기술과 모상 6) 236d-242b: 있지 않음과 파르메니데스 7) 242b-252c: 있음에 관한 주장들 8) 252c-259d: 형상들의 결합9) 259d-264b: 생각과 말 그리고 거짓 10) 264c-268d: 마지막 분할 216a 테오도로스: 소크라테스여, 우리가 여기에 온 것은 어제 약속을 제대로 지키기 위한 것입니다. 게다가 우..
필레보스 - 플라톤 지음, 이기백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 작품 해설작품 개요등장인물 본문과 주석 부록옮긴이의 글참고 문헌찾아보기 작품 개요1. 즐거움이 좋은 것인가, 아니면 분별(지식)이 좋은 것인가? (11a-12b) 2. 변증술(dialektike) 관련 논의 (12c-20c) 1) 하나와 여럿의 문제 (12c-16a) (1) 즐거움이나 지식의 단일성과 다수성 (12c-14b) (2) 하나와 여럿의 문제 (14c-15c) ① 생성소멸하는 것에서의 하나와 여럿 문제 (14c-14e) ② 생성소멸하지 않는 것에서의 하나와 여럿 문제 (14e-15c) (3) 진술 자체의 역설적 속성에 따른 혼란 (15d-16a) 2) 변증술 (16a-18d) (1) 변증술의 두 절차: 모음과 나..
플라톤 - 남경희 지음/아카넷 머리말 서문 : 플라톤과 서양철학의 사유범주 제1부 플라톤의 생애와 철학의 개관 제2부 윤리적 삶에서 인신과 이익 제3부 정신의 지향성 제4부 형상의 존재론 제5부 국가에서 정의와 이성 제6부 세계 구성의 원리 참고문헌 찾아보기 1장 플라톤의 시대와 그의 저술 33 플라톤과 그 시대 고대 그리스는 위대한 시기였다. 이 시기는 서구 정신사에서 가장 탁월한 인물 셋을 거의 동시에 배출했다. 이들 세 사람은 우연히 동시대적 인물이 된 것이 아니라 깊은 정신적 관계 속에서 등장 했으므로 고대 그리스의 문화가 우리에게 주는 의의는 더욱 크다고 하겠다. 소크라테스(Socrates)는 플라톤(Platon)의 스승이었고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는 플라톤이 개설한 서양 최초의 ..
에우티프론,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파이돈 - 플라톤 지음, 박종현 엮어 옮김/서광사 머리말 일러두기 편 편 편 편 관련 사진 참고 문헌 고유명사 색인 내용 색인 목차 I. 시작 하는 대화 (2a~5d) 1. 에우티프론이 소크라테스가 기소된 이유 를 들음 (2a~3e) 2. 에우티프론이 자기 아버지를 살인죄로 기소하게 된 경위를 소크라테스가 들음 (3e~4e) 3. 소크라테스가 에우티프론 에게 '경건함'이 무엇인지에 대한 가르침을 청함 (4e~5d) ll. 경건함에 대한 첫번째 정의: 사례 열거를 통한 의미 규정의 잘못 (5d~6e) 1. 에우티프론이 살인, 성물 절취 따위의 올바르지 못한 짓에 대한 기소와 같은 사례를 들어, 이를 '경건한 것' 이라 말함 (5d~6c) 2. 경건함'에 대한 물음은..
국가·정체(政體) - 플라톤 지음, 박종현 옮김/서광사개정 증보판을 내면서 초판의 머리말 플라톤의 생애와 철학 《국가》(政體) 해제 일러두기 대화자들 제1권 제2권 제3권 제4권 제5권 제6권 제7권 제8권 제9권 제10권 1권327a 어저께 나는 아리스톤의 아들 글라우콘(Glaucon)과 함께 피레우스로 내려 갔었네. 332c 그렇다면 시모니데스는 올바른 것(정의로운 것: to dikaion)이 무엇인지를 말함에 있어서 시인처럼 암시적으로 말한 것 같소. 그는 각자에게 합당한 것을 갚는 것, 이것이 올바른 것이라 생각하고, 이 합당한 것(to prosēkon)을 갚을 것(마땅한 것: to opheilomenon)이라고 일컬은 것 같으니까 말씀이오. 338c 들으십시오! 저로서는 올바른 것(to dika..
향연 - 플라톤 지음, 강철웅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 작품 안내 작품 분절 틀 이야기 1. 아폴로도로스의 도입 이야기 (172a1-174a2) 본 이야기 2. 아리스토데모스의 향연 이야기 서두 (174a3-175e10) 3. 향연 방식과 이야기 주제 결정 (176a1-178a5) 4. 파이드로스의 연설 (178a6-180b8) 5. 파우사니아스의 연설 (180c1-185c3) 6. 아리스토파네스의 딸꾹질 (185c4-e5) 7. 에뤽시마코스의 연설 (185e6-188e4) 8. 웃음에 관한 공방 (189a1-189c1) 9. 아리스토파네스의 연설 (189c2-193e2) 10. 소크라테스의 걱정 (193e3-194e3) 11. 아가톤의 연설 (194e4-197e8) 12. 소크..
고르기아스 - 플라톤 지음, 김인곤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 작품 해설 작품 개요 등장 인물 본문과 주석 부록 옮긴이의 글 참고 문헌 찾아보기 작품 개요 I. 도입부(447a-448e) 연설 회장 바깥 장면: 소크라테스, 카이레폰, 칼리클레스 간의 짧은 대화 II. 소크라테스와 고르기아스의 대화 (449a-461b) (1) 연설술에 대한 정의 (449a-453a) (2) 정치술의 원동력이자 모든 기술의 상위 기술로서의 연설술 (453b-457b) (3) 고르기아스적 연설술의 문제점 (457c-461b) III. 소크라테스와 폴로스의 대화 (461c-481b) (1) 고르기아스적 연설술의 정체: 정치술의 부분적 모상 (461c-466a) (2) 고르기아적 연설술의 힘은 과연 큰가?..
파이드로스 - 플라톤 지음, 김주일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 작품 해설 작품 개요 등장인물 본문과 주석 부록(옮긴이의 글, 참고 문헌, 찾아보기) 목차 1. 서론 : 파이드로스를 만나 일리소스 강변으로 가다 (1) 신화를 합리적으로 해석하는 파이드로스와 소크라테스의 반론 (2) 이야기를 읽을 장소의 아름다움에 대한 묘사 2. 에로스에 대한 뤼시아스의 이야기 3. 첫 번째 막간 대화 : 뤼시아스 연설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비판 4. 에로스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첫 번째 연설 5. 두 번째 막간 대화 : 다이모니온의 개입과 ‘다시 부르는 노래’ 6. 소크라테스의 두 번째 이야기 : 다시 부르는 노래 (1) 도입 : 신적인 광기의 이로움 (2) 신적인 광기로서 에로스의 이로움 1) 혼의 ..
크리티아스 - 플라톤 지음, 이정호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 작품 해설 작품 개요 등장인물 본문과 주석 1.도입부 대화 2.옛 아테네와 선조들 3.아틀란티스섬과 사람들 4.본성의 타락과 징벌 부록 아틀란티스에 관하여 옮긴이의 글 참고 자료 참고 문헌 찾아보기 저작 연대는 기원전 369년, 대화시기는 기원적 430-425년 소크라테스가 40-45세. 20 가 쓰인 기원전 360년경의 아테네는 이미 선조들이 물려준 자랑스러운 모습도 아니었고 강대국 페르시아를 물리쳤던 위대한 조국도 아니었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아테네는 페르시아를 물리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후, 도시국가들 사이에서 주도권을 행사하며 급속하게 패권 국가로 나서기 시작하였다. 아테네가 더욱 제국화되면서 서로 조화와 ..
프로타고라스 - 플라톤 지음, 강성훈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 작품 안내내용 구분등장 인물 본문과 주석 부록시모니데스의 시옮긴이의 글참고 문헌찾아보기 357a-357c "좋아요 여러분. 우리 삶의 구원이 사실 즐거움과 괴로움의 올바른 선택, 더 많고 더 적고 더 크고 더 작고 더 멀리 있고 더 가까이 있는 즐거움과 괴로움의 올바른 선택에 있다는 것이 드러났으니, 이것은 우선 서로 간의 넘침, 부족함, 같음의 검토인 측정술이라는 것이 드러난 게 아닙니까?" - "그럴 수밖에요." - "측정술이니까, 그것은 필연적으로 기술이고 앎이라는 것이 분명하지요." - "그들이 동의할 것입니다." - "이것이 어떤 종류의 기술이고 앎인지는 다음 번에 검토하기로 하지요. 하지만 당신들이 우리에게..
알키비아데스 1,2 - 플라톤 지음, 김주일 외 옮김/이제이북스'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 알키비아데스11.작품 해설2.내용 구분3.등장인물본문주석 알키비아데스21.작품 해설2.내용 구분본문주석 부록옮긴이의 글참고 자료참고 문헌찾아보기 알키비아데스1117d~118b소크라테스: 그러니까 알지 못하는 것들에 관해서, 자네가 그걸 알지 못하는 것을 알고 있는 한에서는 헤매지 않겠지?알키비아데스: 그럴 성싶습니다.소크라테스: 그러면 행동상의 잘못들 또한 이런 무지탓에, 즉 알지도 못하면서 안다고 생각하는 무지 탓에 있게 된다는 것을 자네는 이해하겠는가?알키비아데스: 그건 또 무슨 뜻으로 하시는 말씀입니까?소크라테스: 아마도 우리는 우리가 행하는 게 무엇인지를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그때에 행동에 착수하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