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법률 - 플라톤 지음, 박종현 역주/서광사머리말 5 《법률》해제 11 우리말 번역본과 관련된 일러두기 39 원전 텍스트 읽기와 관련된 일러두기 43 《법률》목차 45 대화자들 53●《법률》본문과 주석 57 제 1 권 ........................................................................................ 57 제 2 권 ........................................................................................ 147 제 3 권 .............................................................................
플라톤의 향연 / 파이드로스 / 리시스 - 박종현 역주/서광사머리말 5 우리말 번역본과 관련된 일러두기 9 원전 텍스트 읽기와 관련된 일러두기 13 《향연》 편 15 해제 17 목차 35 대화자들: 본 대화 틀 밖의 인물들 39 본 대화(심포시온)에 참여한 인물들 43 《향연》 49 《파이드로스》 편 201 해제 203 목차 217 대화자들 221 《파이드로스》 223 《리시스》 편 375 해제 377 목차 385 대화자들 389 《리시스》 391 관련 사진 447 참고 문헌 451 고유 명사 색인 459 내용 색인 465 《파이드로스》 편250c 그러나 아름다움의 경우, 우리가 말했다시피, 그것들과 함께 있을 때도 그건 빛났지만 우리가 이곳으로 와서도, 우리의 감각들 중에서도 가장 또렷한 감각을 통해서..
플라톤의 소피스테스 / 정치가 - 플라톤 지음, 박종현 옮김/서광사 머리말 … 5 우리말 번역본과 관련된 일러두기 … 9 원전 텍스트 읽기와 관련된 일러두기 … 13 《소피스테스》 편 … 15 해제 … 17 목차 … 41 대화자들 … 45 《소피스테스》 … 47 《정치가》 편 … 203 해제 … 205 목차 … 217 대화자들 … 221 《정치가》 … 223 참고 문헌 … 365 고유 명사 색인 … 371 내용 색인 … 375 《소피스테스》 편 목차 I. 첫머리 대화(216a~218b): 《테아이테토스》 편에서의 대화가 끝나면서 또 갖기로 한 다음 날의 모임에서 수학자 테오도로스가 엘레아학파에 속하는 손님 한 분을 소개한다. 이어 소크라테스가 그 고장 사람들이 소피스테스와 정치가 그리고 철학자를 어떤 사..
2018년 5월 28일부터 KBS 라디오 강유원의 책과 세계에서 진행되는 선생님의 라디오 방송을 듣고 정리한다. 다시듣기 주소: http://program.kbs.co.kr/1radio/radio/bookworld/pc/list.html?smenu=c16974 20181217-146 플라톤, 파이돈 “에케크라테스, 이것이 우리 동지의 최후가 되었습니다. 우리가 당대에 알게 된 사람들 가운에서 가장 훌륭하였고, 다른 어떤 점보다도, 가장 지혜로웠으며, 가장 올발랐다(정의로웠다)고 우리가 말해야 할 그런 분의 최후말입니다.”(118a) 누군가가 인생이 괴로워서 철학책을 읽어 위안을 얻어볼까 하였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철학이라든가 위안이라든가 이런 말을 떠올린 그는 로마 철학자 보에티우스의 을 사서 읽었다고 ..
티마이오스 - 플라톤 지음, 박종현/김영균 옮김/서광사 머리말해제일러두기 목차대화자들 본문과 주석부록참고문헌고유명사 색인내용색인 《티마이오스》 목차 I. 들어가는 대화 1. 국가편에 대한 요약적 언급과 소크라테스의 기대 (17a-20c) 2. 아틀란티스 이야기 (20c-25d) 3. 티마이오스, 크리티아스, 헤르모크라테스의 이야기 순서 (25d-27b) Ⅱ. 서론: 우주론적 탐구의 성격과 그 범위 (27c-29d) Ⅲ. 지성에 의해 만들어진 것들 (29d-47e) 1. 창조의 동기와 그 본 (29d-31b) 2. 우주의 몸통 구성 (31b-34a) 3. 우주 혼의 구성 및 동일성의 운동과 타자성의 운동 (34a-37e) 4. 시간의 창조와 천체들의 운행 방식 (37c-40d) 5. 전통적인 신들 (40d..
에우튀데모스 - 플라톤 지음, 김주일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작품 해설내용 구분등장인물본문과 주석 부록《에우튀데모스》에 나오는 소피스테스의 논변 해설옮긴이의 글참고문헌찾아보기 내용 구분1. 271a-272d: 액자 밖 서두- 소크라테스, 크리톤을 만나 두 소피스테스의 제자가 되겠다고 말하다 - 소크라테스가 크리톤을 만나 전날 있었던 대화에 대해 말을 꺼내며 에우튀데모스와 디오뉘소도로스 형제의 지혜가 놀라워 같이 그들의 지혜를 배우러 다니자고 권하고 이에 크리톤은 그들의 지혜에 대해 먼저 알려 달라고 해서 액자 속 대화가 재현된다. 2. 272d-273b: 액자 안 서두- 소크라테스, 에우튀데모스와 디오뉘소도로스를 클레이니아스와 크테십포스와 함께 만나다.- 소크라테스가 신의 가호로..
2018년 5월 28일부터 KBS 라디오 강유원의 책과 세계에서 진행되는 선생님의 라디오 방송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www.podbbang.com/ch/16843 20180731-047 플라톤, “올바르지 못함(不義: adikia)과 오만함(hybris)은 무분별(aphrosynē)과 함께 우리를 파멸케 하나, 올바름(dikaiosynē)과 절제(sōphrosynē)는 지혜(사려 분별: phronēsis)와 함께 우리를 지켜 줍니다.”(플라톤, , 906a-b) 철학자 플라톤은 많은 대화편을 썼고, 그 중에서 가장 분량이 많은 것은 《법률》이라 불리는 대화편이다. 예전에 소개한 적이 있는 《국가》가 일종의 이상국가에 대한 설계도를 다루면서 동시에 그런 이상국가를 이끌어 가는 철학..
2018년 5월 28일부터 KBS 라디오 강유원의 책과 세계에서 진행되는 선생님의 라디오 방송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www.podbbang.com/ch/16843 20180725-043 플라톤, 국가 환한 태양, 즉 ‘좋음의 이데아’를 본 사람들은 “인간사에 마음쓰고 싶어하지 않고, 이들의 혼은 언제나 높은 곳에서 지내기를 열망”한다. 그렇지만 어떤 까닭에서인지 동굴 밖에서 환한 태양을 본 사람들은 “다시 동굴로 내려가서 이전의 같은 자리에 앉”아야만 한다. 여전히 동굴 안에 있는 사람들에게 밖에 환한 태양이 있음을 전해주고, 그 태양이 보이는 밖으로 나가야 한다고 말하기 위해서이다. 고대 희랍의 철학자 플란톤은 철학을 전공하지 않는다 해도 누구나 한번쯤 꼭 들어봤을 사람이다. ..
크라튈로스 - 플라톤 지음, 김인곤.이기백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작품 해설작품 개요등장인물본문과 주석옮긴이의 글참고문헌찾아보기 작품 개요 1. 이름의 올바름에 대한 상반된 두 견해 (383a-385e):헤르모게네스의 규약주의와 크라튈로스의 자연주의 2. 자연주의의 일반적 논거에 의한 규약주의 비판(385e-390e) 1) 있는 것들의 본질(385e-386e) 2) 행위들의 본성과 이름을 부르는 행위의 본성(386e-3871d) 3) 도구의 기능과 이름의 기능(387d-388c) 4) 기술자로서 도구를 만드는 자와 입법가(388c-389a) 5) 만듦의 본: 형상 (389a-390a) 6) 도구를 만드는 자와 사용자의 관계 :입법가와 변증술 전문가의 관계(390b-390d) 7)..
뤼시스 - 플라톤 지음, 강철웅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 작품 해설작품 개요등장인물본문과 주석 작품 개요1. 에로스와 필리아〔도입〕 (203a1~207d4)2. 필리아와 앎 혹은 유용성의 관계〔예비적탐구〕 (207d4~211a1)3. 사랑하는 자와 사랑받는 자〔친구의 두 후보〕 (211a1~213d5)4. 비슷한 것이 비슷한 것에게 친구〔셋째 후보〕 (213d6~214e1)5. 훌륭한 자의 자족성〔셋째 후보 논의의 심화와 비판〕 (214e2~215c2)6. 비슷하지 않은 것이 비슷하지 않은 것에게 친구〔넷째 후보〕 (215c3~216b9)7. 훌륭하지도 나쁘지도 않은 것이 훌륭한 것의 친구〔다섯째 후보〕(216c1~218c3)8. 첫째 친구〔다섯째 후보 논의의 심화와 비판〕 (2..
라케스 - 플라톤 지음, 한경자 옮김/이제이북스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펴내며 작품해설작품개요등장인물 본문과 주석 부록옮긴이의 글참고 문헌찾아보기 작품 개요1. 교육의 문제(178a-190c)(1) 중무장 전투술의 교육적 가치(178a-184c) 1) 도입부: 중무장 전투술에 대한 조언 요청(178a-181d) 2) 중무장 전투술의 가치에 대한 니키아스의 견해(181d-182d) 3) 중무장 전투술의 가치에 대한 라케스의 견해(182d-184c) (2) 교육은 영혼을 위한 것이다(184c-190c) 1) 소크라테스의 첫 번째 제안: 영혼의 보살핌에 대한 전문가를 찾아야 한다(184c-187d) 2) 막간: 소크라테스와의 문답 대화에 대한 니키아스와 라케스의 생각(187b-189d) 3) 소크라테스의 ..
아래는 강유원 선생님 《서구 정치사상 고전읽기》에서 플라톤의 대화편에 대해 말씀하신 부분을 발췌한 것으로, 대화편 목록 중 「책 밑줄긋기」에 정리한 경우 링크를 걸어두었다. 플라톤의 저작들이 대화편이라는 형식으로 만들어진 까닭을 살펴보았으니 이제 플라톤의 저작들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자. 플라톤의 대화편(플라톤의 저작은 대화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대화편'이라 불린다)은 크게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눈다. 아래에 그 분류에 따른 목록과 각 대화편의 내용을 간략하게 적었다. (한국어 제목 옆에 그리스어 원어를 로마자로 적었다) ■ 초기 소크라테스의 변론 Apologia Sokrates: 소크라테스의 연설 크리톤 Kriton: 시민적 의무의 본질과 원천 에우티프론 Euthyphron: 신들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