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우리피데스 비극 전집 1 - 에우리피데스 지음, 천병희 옮김/도서출판 숲 일러두기 옮긴이 서문__ 그리스 비극, 그리스 정신의 가장 위대한 구현 그리스 비극의 구성 『메데이아』Medeia 『힙폴뤼토스』Hippolytos 『알케스티스』Alkestis 『헤카베』Hekabe 『안드로마케』Andromache 『헤라클레스의 자녀들』Herakleidai 『탄원하는 여인들』Hiketides 『헤라클레스』Herakles 『트로이아 여인들』Troiades 『엘렉트라』Elektra 주석 주요 이름 Eugène Delacroix / Médée furieuse 외젠 들라크루아 / 분노하는 메데이아 Georges Antoine Rochegrosse / Andromache 조르주 앙투앙 로슈그로스 / 안드로마케 에우리피데스(기..
논어 - 미야자키 이치사다 해석, 박영철 옮김/이산 강유원, '인문고전강의' 일시: 2013년 2월7일 – 12월 5일, 매주 목요일 오후 7시30분 – 9시30분(총 40주) 장소: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 * 강의 목차 20131121 37강 논어(1) 20131128 38강 논어(2) 20131205 39강 논어(3) 20131212 40강 논어(4) 20131205 39강 논어(3) 유가는 왜 계속 고귀한 것에 대해서 자꾸 애기하는가. 그것이 없으면 인간의 삶이라는 것이 한없이 전락할 수 있기 때문. 현실 정치에 대해서만 계속하게 되면 나중에는 현실 정치 자체가 망가진다.. 그래서 막스베버도 Politik als Beruf, 직업이 아닌 소명이라는 의미로도 썼던 것. 그냥 계속해서 나아가야하는 idea..
식탁 위의 논어 (12): 옹야편식탁 위의 논어 (13): 옹야편 마무리와 술이편 1. 子曰 雍也可使南面 자왈 옹야가사남면 仲弓問子桑伯子 子曰 可也簡 중궁문자상백자 자왈 가야간 仲弓曰 居敬而行簡 以臨其民 不亦可乎 居簡而行簡 無乃大簡乎 중궁왈 거경이행간 이임기민 불역가호 거간이행간 무내태간호 子曰 雍之言然 자왈 옹지언연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염옹이라면 관청의 수장을 맡길만하다. 중궁이 자상백자에 대해 여쭈었다.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는 대범하다.중궁이 말했다. 마음에 품고 있을 때는 신중하고 실행에 옮길 때는 대범한 처신으로 백성을 다스린다면 괜찮지 않겠습니까. 마음에 품고 있을 때도 대범하고 실행에 옮길 때도 대범하다면 지나친 것 아니겠습니까.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옹의 말이 옳다.+ 옹: 염옹을..
공자 - 인간과 신화 - H.G. 크릴 지음/지식산업사 譯者의 말 著者序 I. 背景 배경 II. 孔子 공자 III. 儒敎 / 유교 後記 / 후기 35 주 왕조가 해를 거듭할 수록 초대 제후들의 자손들은 조상들과는 달리 더 이상 상호협력의 필요성을 느끼지 않게 되었으며, 점점 더 왕의 명령을 무시하게 되었다. 그들 상호간의 전쟁은 더욱 빈번하여졌으며 강대국은 약소한 이웃 나라의 영토를 병탄하였다. 공자가 나기 220년 전인 기원전 771년, 봉건 제후들과 '이적(夷狄)'의 연합군이 주의 서도를 공격하여, 왕은 살해되었고 '서주' 시대는 종말을 고하였다. 그 후의 왕들은 동쪽으로 왕도를 옮겼는데, 오늘날의 허난성 뤄양이 바로 그곳이다. 이 때문에 이 이후의 시대를 '동주'로 부르는데, 동주의 왕들은 일부 제..
열하일기 3 - 박지원 지음, 김혈조 옮김/돌베개 요술놀이 이야기―환희기幻戱記 피서산장에서 쓴 시화―피서록避暑錄 장성 밖에서 들은 신기한 이야기―구외이문口外異聞 옥갑에서의 밤 이야기―옥갑야화玉匣夜話 북경의 이곳저곳―황도기략黃圖紀略 공자 사당을 참배하고―알성퇴술謁聖退述 적바림 모음―앙엽기?葉記 동란재에서 쓰다―동란섭필銅蘭涉筆 의약 처방 기록―금료소초金蓼小抄 182 서장장도 와서 내게, "아까 나약국의 국서를 보셨습니까? 세상일이 아주 겁나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라고 하기에 내가, "천하일에 대한 걱정은 그만 그쯤 해 두시게. 아마도 천하에 본시 나약국이라는 나라는 없을 것입니다. 제가 일찍이 이십 년 전에도 이와 유사한 문건을 별단에서 본 적이 있는데, 역시 황극달자라고 칭하는 이의 오만한 글이었습니다...
식탁 위의 논어 (9): 이인편과 공야장편식탁 위의 논어 (10) 공야장편 계속식탁 위의 논어 (11): 공야장편 마무리 1. 子謂 公冶長 可妻也 雖在縲絏之中 非其罪也 以其子妻之 자위 공야장 가처야 수재누설지중 비기죄야 이기자처지 선생님께서 공야장에 대해 말씀하셨다. "사위로 삼을 만한 사람이다. 구속되어 있기는 했지만 그의 죄가 아니다" 이렇게 말씀하시고는 자신의 딸을 그에게 아내로 주었다.+ 공야장은 공자의 제다. 제나라 사람이고 자가 자장. + 누: 죄인을 묶는데 사용하는 밧줄+ 설: 죄인을 밧줄로 묶는다 할 때 맬 설+ 누설은 감옥이라는 뜻이 있다.+子: 아들 자라고 하지만 사실은 자식이라는 뜻. 여기서는 딸을 가르킨다. 2. 子謂 南容 邦有道 不廢 邦無道 免於刑戮 以其兄之子妻之 자위 남용 방유도..
사람의 마음을 움직여 세상을 바꾸리라 - 시라카와 시즈카 지음, 장원철 옮김/한길사 + 책이 절판되어 구하지 못하고 교보문고 e-book으로 구매하여 읽음 목차 1. 동서남북을 떠도는 사람 2. 유교의 원류 3. 공자의 자리 4. 유교의 비판자 5. 논어에 담긴 뜻은 - 옮긴이 주(註) - 지은이 후기 : 깜깜한 바다 위를 홀로 떠다니듯이 - 옮긴이 후기 : 인간 세상을 향한 이상과 광기 - 찾아보기 14 2,000년에 걸친 관료제 국가의 이데올로기로서 봉건성의 기초를 세운 것은 공자였지만, 역사가 전개되는 중에도 혁명가들은 대부분 유교에서 혁명의 근거를 찾았다. 그리고 근대에서도 그 유파 가운데 하나인 공양학파가 체제 부정을 주창했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15 공자는 비천한 출신이었다. 그의 아버지..
논어 - 미야자키 이치사다 해석, 박영철 옮김/이산 강유원, '인문고전강의' 일시: 2013년 2월7일 – 12월 5일, 매주 목요일 오후 7시30분 – 9시30분(총 40주) 장소: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 * 강의 목차 20131121 37강 논어(1) 20131128 38강 논어(2) 20131205 39강 논어(3) 20131212 40강 논어(4) 20131128 38강 논어(2) 324페이지에 논어 관련 지도가 있다. 지도를 유심히 볼 필요가 있다. 춘추전국시대 지도인데 중국사를 열심히 하지 않더라도 이 지도 정도는 머릿속에 항상 담고 있어야 한다. 도대체 진나라가 어디에 있었는지 주나라가 어디에 있었는지는 알아야 한다. 진(秦)나라에서 조금 동쪽으로 오면 주나라, 진나라 밑에 보면 종주 라고 되어..
열하일기 2 - 박지원 지음, 김혈조 옮김/돌베개 태학관에 머물며―태학유관록太學留館錄 북경으로 되돌아가는 이야기―환연도중록還燕道中錄 열하에서 만난 중국 친구들―경개록傾蓋錄 라마교에 대한 문답―황교문답黃敎問答 반선의 내력―반선시말班禪始末 반선을 만나다―찰십륜포札什倫布 사행과 관련된 문건들―행재잡록行在雜錄 천하의 대세를 살피다―심세편審勢編 양고기 맛을 잊게 한 음악 이야기―망양록忘羊錄 곡정과 나눈 필담―곡정필담鵠汀筆談 피서산장에서의 기행문들―산장잡기山莊雜記 17 자리에 있던 또 한 사람은 이름이 왕민호이며, 거인이다. 그가 내게 묻기를, "조선은 땅의 크기가 사방 얼마나 됩니까?" 라고 하기에 나는, "전하는 기록에는 5천 리라고 합니다. 그러나 단군조선은 중국 요임금과 같은 시대이며, 기자조선은 주나라 무..
식탁 위의 논어 (8): 팔일편 마무리와 이인편 시작식탁 위의 논어 (9): 이인편과 공야장편 1.子曰 里仁爲美 擇不處仁 焉得知 자왈 이인위미 택불처인 언득지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인심 좋은 마을에 사는 것이 최고다 라는 옛날이 있다. 사는 곳을 택하는데 인심이 나쁜 곳을 만났다면 어떻게 지를 얻었다고 하겠는가 / 지혜롭다고 하겠는가+ 이인: 어진 곳에 산다. 2. 子曰 不仁者 不可以久處約 不可以長處樂 仁者安仁 知者利仁 자왈 불인자 불가이구처약 불가이장처락 인자안인 지자이인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어질지 못한 사람은 검약한 생활을 오래할 수 없고 편안한 생활도 오래 지속하지 못한다. 어진 사람은 인을 편안히 여겨서 그것을 실천하고 지혜로운 사람은 인을 이롭게 여겨서 그것을 실천한다.+ 約: 검약하다. ..
논어 - 미야자키 이치사다 해석, 박영철 옮김/이산 강유원, '인문고전강의' 일시: 2013년 2월7일 – 12월 5일, 매주 목요일 오후 7시30분 – 9시30분(총 40주) 장소: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 * 강의 목차 20131121 37강 논어(1) 20131128 38강 논어(2) 20131205 39강 논어(3) 20131212 40강 논어(4) 20131121 37강 논어(1) 본격적으로 논어에 들어가기 전에 이블린 언더힐의 소개한다. 원어로는 Advent with Evelyn Underhill. 예수 그리스도가 우리에게 오는 사건이야말로 정말 목숨을 걸고 기다려야 하는 사건. 종교는 본래 무엇인가, '신성한 우주를 건립하는 기획' 이것이 종교다. 유교를 종교로 볼 수 있는가, 사상체계로 볼 것인..
식탁 위의 논어 (6): 위정편 마무리와 팔일편 시작식탁 위의 논어 (7): 팔일편 계속 一. 孔子謂季氏 八佾舞於庭 是可忍也 孰不可忍也 공자위계씨 팔일무어정 시가인야 숙불가인야 선생님께서 계씨에 대해 말씀하셨다. 8열 64명의 무용수에게 뜰에서 춤추게 하니, 이런 일을 참고 넘어간다면 어떠한 일을 참지 못하겠는가(다른 일을 어떻게 비난할 수 있겠는가.+ 八佾舞: 8열 64명의 무용수가 조를 짜서 추는 춤. 천자에게만 허용되어 있다. 제후는 가로세로 6열 36명이 조를 짜서 추는 춤이 허용되어 있고, 제후의 가신들에게는 가로세로 4열 16인의 춤 밖에는 허락되지 않는 것이 그 당시 예인데 계씨는 제후의 가신이었다. 팔일무가 아니라 사일무를 추니까 공자가 비판을 한 것. 二. 三家者以雍徹 子曰 相維辟公 天子..
나 홀로 볼링 (보급판) - 로버트 D. 퍼트넘 지음, 정승현 옮김/페이퍼로드 제1부 서론 제2부 시민적 참여와 사회적 자본의 변화 경향 제3부 사회적 참여의 쇠퇴 원인 제4부 사회적 자본의 기능 크리스틴 A. 고스의 도움을 받음 제5부 무엇을 할 것인가?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나홀로볼링 17 최근 사회과학자들은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이라는 개념을 통해 미국 사회의 성격 변화를 분석하는 틀을 만들었다. 개인적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도구와 훈련이라는 의미의 물리적 자본과 인적 자본에 비유해서 설명하자면, 사회적 자본 이론의 핵심은 사회적 네트워크가 중요한 가치를 갖고 있다는 생각이다. 스크루드라이버(물리적 자본) 혹은 대학 교육(인적 자본)이 (개인적, 집단적) 생산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
열하일기 1 - 박지원 지음, 김혈조 옮김/돌베개 역자 서문― 왜 다시 『열하일기』인가? 압록강을 건너며―도강록渡江錄 심양의 이모저모―성경잡지盛京雜識 말을 타고 가듯 빠르게 쓴 수필―일신수필馹迅隨筆 산해관에서 북경까지의 이야기―관내정사關內程史 북경에서 북으로 열하를 향해―막북행정록漠北行程錄 역자서문 4 는 연암 박지원(1737~1805)의 중국 기행문이다. 그는 1780년 청나라 건륭 황제의 70회 생일을 축하하는 사절단에 끼어 중국에 다녀왔다. 공적인 소임이 없어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었던 연암은 북경과 전인미답의 열하 지방을 체험하고, 귀국한 뒤에 견문한 내용을 정리하여 라는 기념비적 저술을 내놓았다. [...] 이제 에서 주목할 내용 몇 가지를 추려서 제시한다. 각 편마다 역자가 간단한 해제를 달아..
모비 딕 - 허먼 멜빌 지음, 김석희 옮김/작가정신 강유원, '인문고전강의' 일시: 2013년 2월7일 – 12월 5일, 매주 목요일 오후 7시30분 – 9시30분(총 40주) 장소: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 * 강의 목차 20131031 34강 모비딕 20131107 35강 모비딕 20131114 36강 모비딕 20131114 36강 모비딕 독일어로 학문은 Wissenschaft. 문학이다라는 할때 구조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이번 강의에서 제시하는 독법은 '에이해브의 이야기' 라는 것. 에이해브가 인간이 할 수있는 신에 대한 도전을 계속해 나가는 것. 그런데 그 이야기를 의 틀을 가지고 푼다. 위대한 문학은 위대한 문학을 모방한다. mimesis. 진리를 모방하는 것. 우리가 진리를 모방할 수 있느..
식탁 위의 논어 (5): 위정편 시작식탁 위의 논어 (6): 위정편 마무리와 팔일편 시작 一. 子曰 爲政以德 譬如北辰 居其所 而衆星共之 자왈 위정이덕 비여북진 거기소 이중성공지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정치는 덕망으로 한다라는 옛말이 있다. 이 말은 북극성이 그 위치를 조금도 바꾸지 않고 뭇 별들이 북극성을 에워싸고 회전하는 것과 같음을 비유한 것이다.+ 爲政以德 : 옛말을 공자가 인용한 것으로 보인다. + 北辰: 북진,북신으로 읽을 수 있다.+ 衆星: 뭇 별들이+ 共: 함께의 뜻이 아니라 동사로 사용되었을 때에는 에워싸다는 뜻.+ 덕은 좋은 의미의 영향력이라는 뜻. virtue로 쓸 때도 있고 expower로 쓸 때도 있다. 二. 子曰 詩三百 一言以蔽之 曰思無邪 자왈 시삼백 일언이폐지왈사무사 선생님께서 ..
논어 - 미야자키 이치사다 해석, 박영철 옮김/이산 서문 / 책머리에 학이學而 제1(1-16) 위정爲政 제2(17-40) 팔일八佾 제3(41-66) 이인里仁 제4(67-92) 공야장公冶長 제5(93-119) 옹야雍也 제6(120-147) 술이述而 제7(148-184) 태백泰伯 제8(185-205) 자한子罕 제9(206-235) 향당鄕黨 제10(236-253) 선진先進 제11(254-278) 안연顔淵 제12(279-302) 자로子路 제13(303-332) 헌문憲問 제14(333-379) 위령공衛靈公 제15(380-420) 계씨季氏 제16(421-434) 양화陽貨 제17(435-460) 미자微子 제18(461-471) 자장子張 제19(472-496) 요왈堯曰 제20(497-499) 후기 / 공자 연보 / 관..
모두를 위한 서양음악사 - 박을미 지음/가람기획 머리말 제1부 고대음악 제2부 중세(450~1450) 음악 제3부 르네상스(1450~1600) 음악 제4부 바로크(1600~2750) 음악 참고문헌 찾아보기 31 보에티우스는 의 서장 부분에서 여러 그리스 철학자들, 특히 피타고라스, 플라톤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유래된 음악musica의 개념에 관해 언급하고 있다. 그는 음악을 무지카 문다나Musica Mundana, 무지카 후마나Musica Humana, 그리고 무지카 인스트루멘탈리스Musica Instrumentalis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보에티우스의 이 같은 음악 분류법은 중세 음악관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고대 그리스 이론가들처럼 음악의 수학적인 면과, 우주와 음악 사이의 ..
타르튀프 - 몰리에르 지음, 신은영 옮김/열린책들 타르튀프 혹은 위선자 동 쥐앙 혹은 석상의 잔치 인간 혐오자 역자 해설: 몰리에르의 작품 세계 몰리에르 연보 타르튀프 혹은 위선자 등장인물 페르넬 부인 오르공의 어머니 오르공 엘미르의 남편 엘미르 오르공의 아내 다미스 오르공의 아들 마리안 오르공의 딸이자 발레르의 연인 발레르 마리안의 연인 클레앙트 오르공의 처남 타르튀프 가짜 독신자, 위선자 도린 마리안의 하녀 루아얄 씨 집달리 집행관 플리포트 페르넬 부인의 하녀 장소 파리 158 집행관 그 이유를 설명해 주고 싶은 사람은 당신이 아니야. 많이 놀라셨을 텐데 이제 진정하시지요. 우리 국왕께서는 사기 행각을 끔찍이 싫어하십니다. 폐하의 눈은 사람들의 마음속을 훤히 들여다보시어 어떤 사기꾼의 술수에도 넘어가..
식탁 위의 논어 (1) : 논어는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식탁 위의 논어 (2): 공자의 시대적 배경과 '학이'편식탁 위의 논어 (3): 공자는 어떤 가치로 이상사회를 구현하려 했을까?식탁 위의 논어 (4): 학이편 계속 공자의 인이라고 하는 것이 어떤 관념이었나지금 생각해보면 그 당시 지배계층의 상호간의 인륜도덕을 가르키는 것이지 우리가 지금 막연하게 생각하기 쉬운 보편적인 인간애가 아니었다.인에 대해서 공자 스스로가 설명한 대목이 여기저기 나오는데 2가지가 특히 많이 인용.논어 안연편. 克己復禮爲仁 극기복례위인. 그 다음에 인은애인이다. 이 두가지. 여기서 극기라는 것은 자신의 욕망을 누르고 억압하는 것. 자기자신을 극복하는 것. 복례는 넓은 의미의 사회규범에 복귀하는것. 지금까지의 일탈에서 벗어나서 사..
「식탁 위의 논어」라는 이름으로 2011년 팟캐스트에 연재되었던 강의를 정리한다. 책은 미야자키 이치사다 번역의 논어를 가지고 공부를 하였고, 녹음파일과 책의 번역을 대조하면서 정리하였다. PODCAST 정보http://www.podbbang.com/ch/534 목차식탁 위의 논어 01 학이편(學而篇) 식탁 위의 논어 02 위정편(爲政篇) 식탁 위의 논어 03 팔일편(八佾篇) 식탁 위의 논어 04 이인편(里仁篇) 식탁 위의 논어 05 공야장편(公冶長篇) 식탁 위의 논어 06 옹야편(雍也篇) 식탁 위의 논어 07 술이편(述而篇) 식탁 위의 논어 08 태백편(泰伯篇) 식탁 위의 논어 09 자한편(子罕篇) 식탁 위의 논어 10 향당편(鄕黨篇) 식탁 위의 논어 11 선진편(先進篇) 식탁 위의 논어 12 안연편(..
모비 딕 - 허먼 멜빌 지음, 김석희 옮김/작가정신 강유원, '인문고전강의' 일시: 2013년 2월7일 – 12월 5일, 매주 목요일 오후 7시30분 – 9시30분(총 40주)장소: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 * 강의 목차20131031 34강 모비딕20131107 35강 모비딕20131114 36강 모비딕 + 강의에 사용된 교재가 아닌 열린책들에서 출간된 모비딕을 읽고 강의를 들으니 페이지와 번역이 다르다. 페이지는 맞춰서 따라가면 되지만 중요한 부분에서 번역이 다르게 되어있는 부분이 군데군데 보인다. 강의 정리 후 교재에 사용된 책을 구입해서 다시 읽을 예정이다. 20131107 35강 모비딕 문학고전작품들은 연대가 앞에 나온 것부터 읽는 것이 공부하는데 도움이 된다. 순서를 잘 정해야 한다. 188 (96..
모비 딕 - 허먼 멜빌 지음, 김석희 옮김/작가정신 강유원, '인문고전강의' 일시: 2013년 2월7일 – 12월 5일, 매주 목요일 오후 7시30분 – 9시30분(총 40주) 장소: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 * 강의 목차 20131031 34강 모비딕 20131107 35강 모비딕 20131114 36강 모비딕 + 강의에 사용된 교재가 아닌 열린책들에서 출간된 모비딕을 읽고 강의를 들으니 페이지와 번역이 다르다. 페이지는 맞춰서 따라가면 되지만 중요한 부분에서 번역이 다르게 되어있는 부분이 군데군데 보인다. 강의 정리 후 교재에 사용된 책을 구입해서 다시 읽을 예정이다. 20131031 34강 모비딕 모비딕은 1800년 후반에 나온 텍스트, 즉 현대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1900년대를 역사학계에서는 현대..
왜 마르크스가 옳았는가 - 테리 이글턴 지음, 황정아 옮김/길 서문 7 1. 마르크스주의는 끝났다? 13 2. 마르크스주의는 이론적으로만 괜찮다? 23 3. 마르크스주의는 결정론이다? 39 4. 마르크스주의는 유토피아를 꿈꾼다? 69 5. 마르크스주의는 만사를 경제로 환원한다? 105 6. 마르크스에게 세계는 물질 덩어리였다? 123 7. 마르크스주의는 이미 사라진 노동계급에만 집착한다? 151 8. 마르크스주의자들은 폭력적인 정치 행동을 선호한다? 167 9. 마르크스주의는 전권을 가진 국가를 믿는다? 181 10. 마르크스주의는 최근의 급진적 운동에 기여한 바 없다? 193 결론 216 옮긴이의 말 : 다시 마르크스에서 출발하는 길 218 찾아보기 225 18 마르크스주의의 신빙성을 떨어뜨린 것은 자..
2013년에 진행된 강유선 선생님의 인문고전강의를 녹음파일을 듣고 정리한다. 2009년 인문고전강의 / 2011년 역사고전강의 / 2012년 서양철학사에 이어서 진행된 도서관 강의이다. 2009년 인문고전강의와 비교하여 오뒷세이아, 오셀로/맥베스, 모비딕이 추가되었고, 반대로 일리아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통치론, 법의 정신, 거대한 전환은 빠졌다. 강유원, '인문고전강의' 일시: 2013년 2월7일 ? 12월 5일, 매주 목요일 오후 7시30분 ? 9시30분(총 40주) 장소: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 호메로스, 오뒷세이아(천병희 옮김, 도서출판 숲), 6회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천병희 옮김, 문예출판사), 4회 소포클레스, 안티고네(천병희 옮김, 문예출판사), 2회 단테, 신곡(김운찬 옮김, 열린책들),..
모비 딕 - 하 - 허먼 멜빌 지음, 강수정 옮김/열린책들 61 스터브, 고래를 죽이다 62 작살 던지기 63 작살받이 64 스터브의 저녁 식사 65 고래 고기 요리 66 상어 대학살 67 해체 작업 68 담요 69 장례식 70 스핑크스 71 제로보암호 이야기 72 원숭이 밧줄 73 스터브와 플래스크, 참고래를 잡고 이야기를 나누다 74 향유고래의 머리 - 비교 고찰 75 참고래의 머리 - 비교 고찰 76 공성퇴 · · [중략] · · 127 갑판 128 피쿼드, 레이철을 만나다 129 선실 130 모자 131 피쿼드, 환희를 만나다 132 교향곡 133 추격 - 첫째 날 134 추격 - 둘째 날 135 추격 - 셋째 날 에필로그 역자 해설 『모비 딕』줄거리 허먼 멜빌 연보 관련 공부 글 보기 [공부/2..
평생독서계획 - 클리프턴 패디먼.존 S. 메이저 지음, 이종인 옮김/연암서가 저자 서문 독자들과의 간단한 대화 |제1부| 1 실명씨/길가메시 서사시 2 호메로스/일리아스 3 호메로스/오디세이아 4 공자/논어論語 5 아이스킬로스/오레스테이아 6 소포클레스/오이디푸스 왕, 콜로누스의 오이디푸스, 안티고네 7 에우리피데스/알케스티스, 메데이아, 히폴리투스, 트로이의 여인들, 엘렉트라, 바카이 8 헤로도토스/역사 9 투키디데스/펠로폰네소스 전쟁사 10 손자/손자병법孫子兵法 11 아리스토파네스/리시스트라테, 구름, 새들 12 플라톤/변명, 크리톤, 프로타고라스, 메논, 파이돈, 국가 13 아리스토텔레스/윤리학, 정치학, 시학 14 맹자/맹자孟子 15 발미키/라마야나 16 비야사/마하바라타 17 실명씨/바가바드기타..
모비 딕 - 상 - 허먼 멜빌 지음, 강수정 옮김/열린책들 어원 발췌 모비 딕 1 어렴풋이 드러나는 것들 2 여행 가방 3 물기둥 여인숙 4 이불 5 아침 식사 6 거리 7 예배당 8 설교단 9 설교 10 소중한 친구 11 잠옷 12 간략한 생애 · · [중략] · · 39 첫 번째 야간 당번 40 한밤중, 앞 갑판 41 모비 딕 42 고래의 흰색 43 쉿! 44 해도 45 선서 진술서 46 추측 47 거적 짜기 48 첫 번째 출격 49 하이에나 50 에이해브의 보트와 선원들 · 페달라 51 유령의 물기둥 52 앨버트로스 53 상호방문 54 타운-호 이야기 55 기괴한 고래 그림들 56 오류가 적은 고래 그림과 고래 포획도 57 그림과 이빨, 나무, 철판, 돌 조각, 산과 별자리에 나타난 고래들 58 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