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서• 《근대실천철학연구》, 1998년 3월 • 《인터넷으로 떠나는 철학여행》, 1998년 6월 • 《책》, 야간비행, 2003년 5월• 《서양문명의 기반 - 철학적 탐구》, 미토, 2003년 11월• 《책과 세계》, 살림, 2004년 4월• 《삶은 늘 우리를 배반한다 - 지성사로 읽는 예술》, 김용섭과의 공저, 미토, 2004년 11월• 《장미의 이름 읽기》, 미토, 2004년 12월 (《책 읽기의 끝과 시작》에 실림)• 《몸으로 하는 공부》, 여름언덕, 2005년 7월• 《주제 - 강유원 서평집》, 뿌리와이파리, 2005년 12월• 《강유원의 고전강의 공산당 선언 - 젊은 세대를 위한 마르크스 입문서》, 정훈이(그림), 뿌리와이파리, 2006년 5월• 《서구 정치사상 고전읽기 - 통합적 사유를 위한 ..
성서목록 대조표 한국어 성서의 역사 성서가 한반도에 처음 전해진 때는 1816년(순조 16년) 9월 5일이다. 기록에 따르면 조선 해안을 측량하던 영국 배 한 척이 오늘날 충청남도 서천군 마량진에 상륙하여 한 권의 영어성서(제임스흠정역으로 추정)를 관리들에게 선물했다고 한다. 한문 성서가 한반도에 들어온 것은 그로부터 8년 후다. 1832년 보령 인근 고대도에 상륙한 독일인 선교사 칼 귀츨라프(그는 한반도에 들어온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이기도 하다)는 순조에게 두 권의 한문 성서를 바쳤으며 국왕의 회신을 기다리며 백성에게 성서를 나누어 주었다. 1865~66년에 두 차례 조선을 방문하고 결국 순교한 영국인 선교사 로버트 토머스도 평양 사람들에게 한문 성서를 보급했다. 성서의 몇몇 구절을 발췌하여 옮긴 것을..
2022.12.08. 구입한 음반과 DVD, Blu-ray를 관리하기 위한 블로그를 새로 개설하고, 기존에 포스팅한 음반정리 카테고리의 글들은 모두 내린다.
인도종교사연표 기원전 2750~1750경 하랍빠 문화 1500~1000경 리그베다 시대 1000~500경 후기베다 시대 700경 우빠니샤드 편찬 시작 600~500경 16영역국가 시대 불교, 자이나교 시작 400~300경 페르시아, 그리스 서북부 인도 침입 문법학자 빠니니 활동 남부 인도 상감시대 321 마가다의 마우리야제국 창건 273 아쇼까 즉위 185~75경 슝가왕조 230경 데칸 지역 사따와하나왕국 창건 2000~기원후 100경 서북부 인도-그리스 왕국 대승불교 발달, 간다라 미술 흥성 200~기원후 200경 《마누법전》편찬 기원후 68경 꾸샤나제국 창건 320~550경 굽따제국 600경~ 딴뜨라 체계화 시작 606~647 하르샤바르다나 북부 인도 제패 627~645 현장, 인도여행 723~729..
선생님의 책 《소크라테스, 민주주의를 캐묻다》 주해에서 발췌. 7. 우리가시도하는바 철학은 서사에 그치지 않고, 시대와 맥락에서 탈피한 추상적 보편성에 이르러야 한다는 요구가 있을 수 있다. 그러한 요구는 '오늘의 나'가 역사적 순간 속에서 살아가고 있음을 망각해야만 충족될 수 있다. '오늘의 나'를 소거하고 탈시간적 보편성의 규준을 가지고 텍스트를 읽는 것은 배진적背進的 소급적遡及的 태도로 과거에 접근하는 것인데, 이는 취사선택한 부분적 과거에 근거하여 오늘을 섣부르게 정당화할 가능성이 아주 높다. 어떻게 하여도 공정한 재해석이 불가능한 상황인 것이다. 실천 철학이 '사상사적 탐구를 통한 역사성'과 철학적 관상으로써 얻어지는 보편성'을 통일한 참다운 사상이려면 어제의 발현이라 할 '오늘의 희미한 빛'이..
성서의 내용 ━ 존 바턴의 《성서의 형성》에서 발췌 구약 나중에 좀 더 설명하겠지만, 오늘날 통용되는 구약성서에는 두 가지 판본이 있습니다. 하나는 로마 가톨릭에서 쓰는 구약이고 다른 하나는 개신교에서 쓰는 구약입니다(유대교 성서는 개신교에서 쓰는 판본과 내용은 같지만 순서가 다릅니다). 여기서는 가톨릭판 순서를 따르고 개신교판에 없는 책은 그 사실을 밝혀 두겠습니다. 창세기 세계의 창조로부터 아브라함, 이사악(이삭), 야곱, 요셉 등 '족장들'의 행적에 이르기까지 인류의 역사를 기술합니다. 출애굽기/탈출기 모세가 이집트에 살던 이스라엘 민족을 이끌고 탈출한 뒤, 시나이산(시내산)에서 (십계명을 포함한) 율법을 받고, 약속된 땅으로 가는 동안 운반할 성막을 만들기까지의 과정을 다룹니다. 레위기 시나이산에..
선생님의 책 《소크라테스, 민주주의를 캐묻다》 주해에서 발췌. 2. 사상사적 방법 시대의 역사적 의미는 사상사적 고찰을 통하여 파악할 수 있는데, 이 고찰의 대상은 특정한 역사적 시기들에 전개된 인간 집단의 삶의 전반적인 모습과 여러 국면이다. 그 시대에 통용되었던 공통관념의 변천, 공통관념과 시대적 맥락의 상호작용, 공통관념이 정치적 사회적 과정에서 작동하는 방식, 아주 구체적으로는 시대의 삶을 규율하는 사회구조와 정치 체제가 그 대상이 될 것이다. 사상사는 본래 관념사(History of Ideas) 또는 개념사(begriffsgeschichte)에서 시작하였다. 관념사 연구의 창시자로 간주되고 있는 이는 아서 러브조이 Arthur Lovejoy다. 그의 《존재의 대연쇄: 관념사 연구》(The Gre..
개념들 — synopsis / quaestio + 선생님의 '💡개념들 — synopsis / quaestio' 포스팅을 읽고/듣고 정리. • conference: 모여서 뭔가 회의하는 것. 아주 느슨하게 하는 것. ex)회상 회의. • forum: 로마 신전, 공공건축물 앞의 광장. 헬라스 아고라. 말그대로 광장에서 집단적으로 모여서 이야기하는 것. 누군가 이야기하고 청중도 의견을 나누는 것. ex) 학회 - conference는 일정한 사람들이 미리 섭외한 사람들이 모여서 회의하는 것. forum은 장소가 넓은 곳에서 하던 것. 일반적인 청중도 모여서 하는 것. 형식적인 측면에서 볼 때는 conference나 forum은 장소를 따져서 묻고 참석자들이 어떤 종류의 사람들인가에 따라서 다르다. • col..
「김태권의 십자군 이야기」 역사연표 1095년11월 27일 교황 우르바누스 2세가 원정 계획을 발표하다. 1096년 유럽 각지에서 군중십자군이 일어나다. 이후 천 년간 계속될 서유럽 유대인 학살의 역사가 여기에서 시작한다. 은자 피에르가 이끄는 군중십자군이 니케아 근교에서 전멸. 1097년 1차 십자군의 대규모 침공. 니케아의 함락. 도릴레온에서의 결전. 안티오키아 포위. 1098년 에뎃사에 백작령 설치. 알렉시오스 1세와의 협약이 깨어지다. 안티오키아와 마라트안누만의 학살. 보에몽이 안티오키아를 무단으로 점거하고 공국을 설치하다. 1099년6월 15일 예루살렘 함락과 대학살 1100년 예루살렘의 권력을 둘러싼 음모와 암투. 예루살렘 왕국의 성립 1101년 서유럽에서 온 1101년의 십자군이 전멸당하다...
게르망트 일족, 화자의 일족, 스완네 가족§ 2020/10/16 - [책 밑줄긋기/책 2020-21] - 마르셀 프루스트: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 에서 발췌
십이연기에 대한 여러 가지 해석 | 인도철학과 불교 연기설은 경전상에서 '매우 심오한 법', 혹은 '알기 어려운 법'으로 묘사하고 있는 것처럼 그 의미를 알기 어려우며, 각 지분 사이의 관계 역시 분명하게 이해되지 않는다. 오늘날 일부 학자들은 12연기를 논리적인 상관관계로 파악하기도 하지만, 고래로 일 찰나 중에 이러한 12지가 동시에 함께 일어난다는 찰나연기설, 12지는 여러 생에 걸쳐 시간을 건너뛰어 상속한다는 것으로, 아득히 먼 과거의 무명과 '행'에 의해 '식' 등의 현생의 결과가 초래되고, 현생의 '유'에 의해 아득히 먼 미래세의 생과 노사가 초래된다는 원속연기설, 12찰나에 걸친 인과상속이라는 연박연기설, 그리고 과거 · 현재 · 미래의 생에 걸친 5온의 상속이라는 분위연기설 등 네 가지 해..
1부. 축의 시대의 정치기원전 776년 최초의 올림피아 제전 개최.기원전 771년 중국춘추시대 개막기원전 753년 로마건국.기원전 594년 솔론, 아테네의 집정관으로 임명되어 개혁 추진. 중국 노나라, 초세무제도도입.기원전 575 년 세르비우스 툴리우스, 로마 왕으로 즉위.기원전 560년 페이시스트라토스, 아크로폴리스를 장악하고 스스로 참주 자리에 오른 뒤 곧축출당함.기원전 556년 페이시스트라토스, 메가클레스의 도움을 받아 두 번째로 참주 자리예 오름.기원전 551년 중국 동북 노나라에서 공자 탄생.기원전 546년 페이시스트라토스, 세 번째로 아테네 참주가 됨.기원전 534년 루키우스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 로마 왕으로 즉위.기원전 520년 클레오메네스 1 세, 스파르타 왕위 계승.기원전 517년 노..
불교의 우주관 - 삼계(三界)의 구조 | 행복한 화엄경 1. 욕계(欲界)욕계에는 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간, 육욕천(사천왕, 도리천, 야마천, 도솔천, 화락천, 타화자재천)이 있다. 욕계의 중생들은 삼독에 찌들려, 욕심이 꽉 차서 괴로워하고 있다고 한다. ① 지옥(地獄)중생이 고통스럽게 사는 세계를 말하며, 8대 지옥, 10대 지옥 등으로 나눈다. ② 아귀(峨鬼)아귀란 '배고픈 귀신'이란 뜻이다. 배는 태산처럼 큰데 목구멍은 바늘구멍처럼 작아 비록 음식이 있다 해도 먹지를 못해 항상 배고픔을 면치 못하고 굶주리는 세계를 말한다. ③ 축생(畜生)벌레나 날짐승, 물고기 따위를 말하는 것인데, 무려 34억 종류가 있다고 한다. 이들은 공중, 물, 육지의 세 곳에 각기 나누어 살고 있다. ④ 아수라(阿..
관중: 관자(管子)를 읽고 각 편별 구절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전체 구절과 상세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 전하지 않음 + 18/08/29 관자 읽기 및 정리를 끝내다.
관중: 관자(管子)를 읽고 각 편별 구절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전체 구절과 상세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 이전의 경중편들에서는 모두 대화체로 되어있는데, 이 편은 서술체로 되어있다. 주요 내용은 때에 따라 그에 맞는 정사를 펼쳐야 한다는 것이다. 이 편에서는 앞의 두 장을 정리한다. 淸神生心 心生規 / 천신생심 심생규정신은 생각을 생성하고, 생각은 법규를 생성하고, 規生矩 矩生方 / 규생구 구생방법규는 곱자를 생성하고, 곱자는 네모를 생성하고, 方生正 正生曆 / 방생정 정생력네모는 바름을 생성하고, 바름은 역법曆法을 생성하고, 曆生四時 四時生萬物 / 역생사시 사시생만물역법은 사계절을 생성하고, 사계절은 만물을 생성한다. 聖人因而理之 / 성인인이리지성인은 이러한 원칙에 의거하여 사물을 다스리니..
관중: 관자(管子)를 읽고 각 편별 구절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전체 구절과 상세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 이 편에서는 앞 편에서 논의한 시장의 유통 문제, 물가 조절의 정책 등과 같은 경제정책을 뛰어 넘어 정치·군사의 방면에 이르기까지 논의를 확장하고 있다. 이 편에서는 앞의 첫 장을 정리한다. 桓公問於管子曰 / 환공문어관자왈환공이 관자에게 물었다. 輕重安施/ 경중안시"물가 조절 정책은 언제부터 시행했습니까?" 管子對曰 / 관자대왈관자가 대답했다. 自理國虙戱以來 未有不以輕重而能成其王者也 / 자리국복희이래 미유불이경중이능성기왕자야"나라를 다스림에 복희씨부터 지금까지,물가 조절 정책을 쓰지 않고 왕업을 이룬 사람이 없었습니다" 公曰 / 공왈환공이 말했다. 何謂 / 하위"무슨 말입니까?" 管子對曰..
관중: 관자(管子)를 읽고 각 편별 구절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전체 구절과 상세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 앞의 편과 같이 물가 조절 정책으 논의하고 있다. 이 편에서는 앞의 첫 장을 정리한다. 桓公曰 / 환공왈환공이 말했다. 寡人欲西朝天子 而賀獻不足 / 과인욕서조천자 이하헌부족"과인은 천자를 조회하고 싶지만, 헌상품이 매우 부족합니다. 爲此有數乎 / 위차유수호무슨 방법이 없겠습니까?" 管子對曰 / 관자대왈관자가 대답했다. 請以令城陰里 使其牆三重而門九襲 / 청이령성음리 사기장삼중이문구습"청컨대 명령하기를, 음리에 성곽을 쌓아, 그 성곽의 담장은 세 겹으로 하며 문은 이홉 겹으로 하십시오. 因使玉人刻石而爲璧 / 인사옥인각석이위벽그 뒤 옥공에게 돌을 조각하게 하여 둥근 옥으로 만들게 하고, 尺者萬..
관중: 관자(管子)를 읽고 각 편별 구절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전체 구절과 상세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 전하지 않음
관중: 관자(管子)를 읽고 각 편별 구절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전체 구절과 상세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 이 편에서도 경중갑과 마찬 가지로 중요한 경제 정책과 그렇지 않은 경제 정책을 구분하는 내용을 자세하게 말하고 있다. 이 편에서는 앞의 첫 장을 정리한다. 桓公曰 / 환공왈환공이 물었다. 天下之朝夕可定乎 / 천하지조석가정호"천하의 물가 변동을 안정시킬 수 있습니까?" 管子對曰 / 관자대왈관자가 대답했다. 終身不定 / 종신부정"끝내는 안정시킬 수 없을 것입니다" 桓公曰 / 환공왈환공이 물었다. 其不定之說可得聞乎 / 기부정지설가득문호"그 끝내는 안정시킬 수 없다는 것에 대하여 들을 수 있습니까?" 管子對曰 / 관자대왈관자이 대답했다. 地之東西二萬八千里 南北二萬六千里 / 지지동서이만팔천리 남북..
관중: 관자(管子)를 읽고 각 편별 구절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전체 구절과 상세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 경중輕重은 나라의 물가조절 정책을 말하는 것인데, 정책가운데 가볍게 취급할 것과 중요하게 취급할 것이 있다고 덧붙인 이름이다. 이 편에서는 앞의 두 장을 정리한다. 桓公曰 / 환공왈환공이 말했다. 輕重有數乎 / 경중유수호"물가 조절 정책을 운용하는 정해진 방법이 있습니까?" 管子對曰 / 관자대왈관자가 대답했다. 輕重無數 / 경중무수"물가 조절 정책을 운용하는 데 정해진 방법은 없습니다. 物發而應之 聞聲而乘之 / 물발이응지 문성이승지물자의 움직임에 따라서 대응을 하고, 정보를 듣고서 그에 따라 조치합니다. 故爲國不能來天下之財 / 고위국불능래천하지재그러므로 나라를 다스림에 천하의 재물을 모으..
관중: 관자(管子)를 읽고 각 편별 구절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전체 구절과 상세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 이 편은 그 뜻이 규탁과 같다. 국형, 곧 나라의 균형 정책을 논의하고 있다. 이 편에서는 앞의 두 장을 정리한다. 桓公問於管子曰 / 환공문어관자왈환공이 관자에게 물었다. 國准可得聞乎 / 국준가득문호"나라의 평준 정책에 대하여 들을 수 있습니까?" 管子對曰 / 관자대왈관자가 대답했다. 國准者 視時而立儀 / 국준자 시시이립의"나라의 평준 정책은 시기에 따라서 책략을 세우는 것입니다." 桓公曰 / 환공왈환공이 말했다. 何謂視時而立儀 / 하위시시이립의"무엇을 시기에 따라 책략을 세운다고 합니까?" 管子對曰 / 관자대왈관자가 대답했다. 黃帝之王 謹逃其爪牙 / 황제지왕 근도기조아"황제가 천하를 다..
관중: 관자(管子)를 읽고 각 편별 구절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전체 구절과 상세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 규탁은 ‘헤아림’을 의미하는 것으로, 즉 경제 현상의 흐름을 정확히 헤아려서 알맞게 조정하는 계책을 뜻한다. 이 편에서는 앞의 첫 장을 정리한다. 齊桓公問於管子曰 / 제환공문어관자왈제 환공이 관자에게 물었다. 自燧人以來 其大會可得而聞乎 / 자수인이래 기대회가득이문호"수인씨부터 내려온, 중대한 재정 방책을 들을 수 있습니까?" 管子對曰 / 관자대왈관자가 대답했다. 燧人以來 未有不以輕重爲天下也 / 수인이래 미유불이경중위천하야"수인씨 이래의 제왕 가운데 나라의 재정을 다스리는 물가조절 정책을 쓰지 않은 사람은 없었습니다. 共工之王 水處什之七 / 공공지왕 수처십지칠공공이 천하를 다스릴 때 물가에..
관중: 관자(管子)를 읽고 각 편별 구절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전체 구절과 상세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 지地는 천연자원과 토지같은 지리조건을 포괄하는 말이다. 지수地數는 천연자원과 토지의 조건을 충분히 이용하는 방책에 관한 설명이다. 이 편에서는 앞의 두 장을 정리한다. 桓公曰 / 환공왈환공이 말했다. 地數可得聞乎 / 지수가득문호"자연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정책에 대하여 들을 수 있습니까?" 管子對曰 / 관자대왈관자가 대답했다. 地之東西二萬八千里 南北二萬六千里 / 지지동서이만팔천리 남북이만육천리"국토가 동서 2만 8천 리이고, 남북 2만 6천 리입니다. 其出水者八千里 受水者八千里/ 기출수자팔천리 수수자팔천리그 가운데 산맥의 길이가 8천 리, 강하의 길이가 8천 리, 出銅之山四百六十七山..
관중: 관자(管子)를 읽고 각 편별 구절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전체 구절과 상세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 산山은 제75편에서 설명한 것처럼 ‘재화가 산출되는 곳’에 관한 내용이고, 지수至數는 ‘훌륭한 정책’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 편은 가장 이상적인 재정 정책을 설명하고 있다. 이 편에서는 앞의 첫 장을 정리한다. 桓公問管子曰 / 환공문관자왈환공이 관자에게 물었다. 梁聚謂寡人曰 古者輕賦稅而肥籍斂 / 양취위과인왈 고자경부세이비적렴"양취가 과인에게 말하기를, '옛날에 세금을 가볍게 하는 정책을 폈는데 取下無順於此者矣 梁聚之言何如 / 취하무순어차자의 양취지언하여이때보다 백성들이 순응했던 일이 없었습니다'라고 했습니다. 양취의 말이 어떻습니까?" 管子對曰 / 관자대왈관자가 대답했다. 梁聚之言非也 ..
관중: 관자(管子)를 읽고 각 편별 구절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전체 구절과 상세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 ‘산山’은 자원이 산출 되는 곳이기 때문에 재화와 용도에 관련된 내용을 말하고, ‘권수權數’는 권술로 권모술수나 방책을 뜻한다. 이 편에서는 앞의 첫 장을 정리한다. 桓公問管子曰 / 환공문어관자왈환공이 관자에게 물었다. 請問權數 / 청문권수"청컨대 무엇을 권수權數라 합니까?" 管子對曰 / 관자대왈관자가 대답했다. 天以時爲權 地以財爲權 / 천이시위권 지이재위권"하늘은 홍수와 가뭄으로 권을 드러내고, 땅은 재원으로 권을 드러내며, 人以力爲權 君以令爲權 / 인이력위권 군이령위권사람은 힘으로 권을 드러내고, 군주는 정령의 완급으로 권을 드러냅니다. 失天之權 則人地之權亡 / 실천지권 즉인지지권망군..
관중: 관자(管子)를 읽고 각 편별 구절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전체 구절과 상세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 주석가들은 이 편의 ‘산山’이라는 글자가 특별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 곽말약도 쓸데없이 들어간 연문으로 본다. 다만 산에서 여러 가지 산물이 산출된다고 하여 ‘산山’과 통한다고 보기도 한다. 그러나 산은 바다와 함께 자원이 생산되는 곳이기 때문에 물산이나 자원등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이 편에서는 앞의 두 장을 정리한다. 桓公問管子曰 / 환공문관자왈환공이 관자에게 물었다. 請問官國軌 / 청문관국궤"청컨대 나라의 재정 관리에 대해 묻습니다" 管子對曰 / 관자대왈관자가 대답했다. 田有軌 人有軌 / 전유궤 인유궤"밭에는 통계가 있고, 인구에도 통계가 있고, 用有軌 人事有軌 幣有軌 /..
관중: 관자(管子)를 읽고 각 편별 구절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전체 구절과 상세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 ‘국축國蓄’은 본문의 첫 구절인 "나라에 10년 치 재물을 비축했다"에서 따온 말로, 재정의 축적을 의미한다. 주로 나라를 부유하게 만드는 정책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다. 이 편에서는 앞의 두 장을 정리한다. 國有十年之蓄 而民不足於食 / 국유십년지축 이민부족어식나라에 10년 치 재물을 비축하면, 백성들이 먹을 양식이 부족할 때, 皆以其技能望君之祿也 /개이기기능망군지록야모든 백성들이 자신의 기술과 재능으로 군주의 녹을 바랄 것이다. 君有山海之金 而民不足於用 / 군유선해지금 이민부족어용군주가 산과 바다의 자원에서 수입을 거두면 백성들의 쓸 것이 부족할 때, 是皆以其事業交接於君上也 / 시개이기사..
관중: 관자(管子)를 읽고 각 편별 구절과 음독, 한글번역을 정리한다. 전체 구절과 상세 해설은 책을 참조해야 한다. ‘해왕海王’은 ‘해양자원을 통해 왕업을 이룬다’는 뜻이다. 이 편에서는 네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첫 번째 부분에서는 나라에서 산림과 해양 자원을 장악할 것을 이야기하고, 두 번째와 세 번째 부분에서는 나라에서 운영하는 염업과 철제업에 대한 구체적 과세 방법들을 이야기하며, 네 번째 부분에서는 다른 나라의 바다와 산림 자원을 이용하는 것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있다. 이 편에서는 앞의 두 장을 정리한다. 桓公問於管子曰 / 환공문어관자왈환공이 관자에게 물었다. 吾欲藉於臺雉 何如 / 오욕적어대치 하여"내가 누대樓臺와 정각亭閣에 세금을 징수하려고 하는데, 어떻습니까?" 管子對曰 / 관자대왈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