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정치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2.02.27 정치철학(47) #Miller 55쪽 55 그러나 그들이 왜 그렇게 해야 하는가[그들이 그렇게 할 까닭이 있을까]? 28 But why should they do this? 지난 시간에 이야기한 바를 다시 해보면 애초에 아나키스트적인 출발점을 부정하는 것, 중재인을 내세운다는 것 자체가 출발점을 부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귄력이라는 말을 쓰지 않고 귄위라는 말을 써야하는 점이 그런 점에 있다. authority proper 권위 자체라고 하는 것, 권위라고 하는 것은 반드시 사람을 억압하지 않아도 가능한 것이다. 5..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정치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2.02.22 정치철학(46) #Miller 54쪽 54 이러한 체계는 정말로 정치권력[정치적 권위] 없이도 작동할까? 경비업체는 고객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고객과의 계약을 준수하기 위해] 무력행사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28 Does this system really do away with political authority? The protective agencies would need to use force to protect their clients’ rights. 사인들간의 계약이 어떤 법적 권리를 보장할 수 있을까. ..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정치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2.17 정치철학(45) #Miller 53쪽 53 하지만 시장은 국가를 대신할 수 있을까? 27 But could it replace the state? 시장이 국가를 대신할 수 있다고 말하는 자들이 시장 아나키스트, 자유지상주의자(libertarian). 원래는 시장 아나키스트라는 말은 없었고 libertarian이 있었다. 그런게 그것을 이제 시장 아나키스트라고 부르는 것이 있다. 시장이 국가를 대신할 수 있다는 생각은 이익의 자연적 일치, 그리고 용역(서비스)의 자연적 발생과 일치를 전제로 한다. 이게 가능한다면 앞서 말..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정치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2.14 정치철학(44) #Miller 52쪽 52 가령 우리가 중앙 권력이 부재한 가운데[권위가 없을 때] 전 사회적 범위의 철도망을 구축하고 싶어한다고 해보자. 26 Suppose we want to build a society-wide rail network in the absence of a central authority. 52 각 공동체는 필요 재원[자원]을 얼마만큼 씩 부담해야 할까? 머릿수에 맞추어야 할까, 27 What share of resources should each community contribute?..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몽유병자들》를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강유원의 북리스트 | 몽유병자들 ━ 목차 정리 2022.06.08 몽유병자들(1) ─ 첫시간 2022.06.15 몽유병자들(2) ━ 《몽유병자들》을 읽는 순서 2022.06.21 몽유병자들(3) ━ 1914년 7월 위기의 특징 2022.06.27 몽유병자들(4) ━ 대세르비아 민족주의의 심상지도 2022.07.05 몽유병자들(5) ━ 대세르비아 민족주의의 심상지도(2) 2022.07.12 몽유병자들(6) ━ 새로운 급진적 대중조직의 출현 2022.07.18 몽유병자들(7) ━ 독특한 정치체로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이중제국 2022.07.2..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몽유병자들》를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2.13 몽유병자들(마지막) 오늘은 《몽유병자들》 마지막 시간이다. 자기가 읽고 듣고 한 것들은 어딘가에 축적이 된다. 그리고 오래 전에 읽었던 책을, 원전 텍스트를 다시 읽어보면, 꾸준히 어려운 책을 계속 읽으면 안보이던 것이 보고 글의 이치를 느끼게 된다. 오늘은 543페이지 발칸 개시 시나리오, 남성성의 위기, 미래는 얼마나 열려 있었나, 이 부분은 얼마 안되는 분량인데 카드로 만들어 놓아야 하는 부분이 많다. 발칸 개시 시나리오에서 중요한 핵심은 무엇인가. 《몽유병자들》 전체의 내용이 사실 '20세기 읽기'에서 읽고 있..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정치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2.09 정치철학(43) #Miller 51쪽 공동체주의라고 하는 것, 아나키즘을 정치적 권위가 없는 사회의 하나의 사례로서 이야기하는데 근본적으로 어제 《버마 고산지대의 정치 체계》를 소개하면서 이야기했듯이 그것을 생각하고 읽어야 한다. 이 책 《정치철학》에서 정치적 권위가 없는 사회의 사례로 원시사회 등을 거론하고 있는데 정치적 권위가 없는 사회는 없다. 사회라고 하는 것 다시말해 아주 조밀한 혈연집단, 하나의 가족을 제외한 혈연집에서는 정치적 권위라고 하는 것이 아예 발견되지 않는다는 사례라는 것은 경험적인 연구로 이미 논..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몽유병자들》를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2.07 몽유병자들(33) ━ 제2부 6장 데탕트와 위험, 구조적인 적대감과 동맹블록 《몽유병자들》 제6장 마지막 기획: 데탕트와 위험, 1912~1914을 읽는다. 제6장을 읽으면 《몽유병자들》을 다 읽는 셈이다. 《몽유병자들》을 다 읽고나면 《사회사상의 역사》를 읽을 것이다. 제6장은 마지막 기획: 데탕트와 위험인데 여기에 들어있는 섹션들이 데탕트의 한계, '지금이 아니면 안된다’, 보스포루스의 독일인들, 발칸 개시 시나리오, 남성성의 위기, 미래는 얼마나 열려 있었나로 이루어져 있다. 오늘은 데탕트의 한계부터 보스포루스의..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정치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2.06 정치철학(42) #Miller 51쪽 51 국가 없는 삶에 대한 이런 목가적인 그림[국가 없는 소박한 삶에 대한 그림]에서 어디가 잘못되어 있을까? 26 What is wrong with this idyllic picture of life without the state? 51 하나의 주된 문제는 그것이 사회질서를 위한 토대로서 작고 긴밀하게 조직된[작고 꽉 짜여진] 공동체에 의거한다는 점이다. 26 One major problem is that it relies on small, tight-knit communitie..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정치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2.01 정치철학(41) #Miller 50쪽 공동체주의적인 아나키스트는 먼저 공동체가 있고, 그리고 그런 공동체들로 이루어진 사회가 있다. 그리고 그러한 사회가 있으면 훨씬 더 큰 규모로 협조가 가능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 부분을 조금 주해를 해보자면 아나키스트는 공동체주의적인 아나키스트가 있고 시장 아나키스트가 있다고 말하는데, 앞서서 내용상 크게 다르지 않다. 동일한 사태를 이쪽 측면과 저쪽 측면을 본 것일 뿐이지 특징적으로 구별되지 않는다고 말한 바 있다. 왜 그러한가 하면 공동체들로 이루어진 사회가 있다고 할 때 서비..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몽유병자들》를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1.30 몽유병자들(32) ━ 제2부 5장 오스트라이의 곤경 《몽유병자들》 제5장을 끝까지 읽는다. 오스트라이의 곤경, 프랑스-러시아 동맹 이런 것들에 대해서 다루고 있는데 여기에는 역사적으로 벌어진 사건들을 세세하게 서술하고 있는 부분이 꽤 많이 차지하고 있다. 우리가 국제관계론의 관점에서 제2부를 읽고 있기 때문에 그것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사건들이 어떻게 벌어지고, 역사책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내용들이 있다. 그것들은 조금 논외로 두고 핵심적인 부분만 몇 가지 짚어보겠다. 제1차, 제2차 발칸전쟁을 겪으면서 오스트리아가 ..
「강유원의 북리스트」에서 제공하는 《정치철학》을 듣고 정리한다. 팟캐스트 주소: https://www.podbean.com/premium-podcast/booklist 2023.01.27 정치철학(40) #Miller 50쪽 50 공동체주의적인 아나키스트는 이와 같은 공동체들로 이루어진 사회에서 협조가 훨씬 더 큰 규모로 가능할 것이라고 주장한다[논증한다]. 25 Communitarian anarchists argue that, in a society made up of communities like this, cooperation will be possible on a much larger scale. 존 모나한, 피터 저스트, 《사회문화인류학》을 읽어보면 코뮤니테리안 아나키스트들을 논박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