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은 왜 싸우는가? - 박정욱 지음/지식프레임 Scene 01. 무함마드, 신의 계시를 받다 - 이슬람 국가의 탄생Scene 02. 누가 예언자의 후계자인가 - 수니파와 시아파의 분열Scene 03. 술탄 메흐메드 2세, 콘스탄티노플을 점령하다 - 튀르크 전성시대Scene 04. 사파비 왕조의 시아파 강제 개종 정책 - 이란은 왜 시아파가 되었나Scene 05. 빛바랜 오스만 제국의 개혁 - 탄지마트와 입헌혁명Scene 06. 아라비아에서 불어오는 근본주의 열풍 - 와하비즘과 사우드 가문Scene 07. 하심 가문, 영국과 거래하다 - 아랍국가의 탄생Scene 08. 독립전쟁에서 승리한 무스타파 케말 - 터키공화국의 탄생Scene 09. 외세에 의해 쫓겨난 레자 샤 - 이란의 도전과 좌절Scene 10..
새로운 인생 - 오르한 파묵 지음, 이난아 옮김/민음사 새로운 인생 작품 해설 9 같은 이야기를 들었음에도 다른 이들은 그와 같은 경험을 하지 못했다. ― 노발리스 어느 날 한 권의 책을 읽었다. 그리고 나의 인생은 송두리째 바뀌었다. 첫 장에서부터 느껴진 책의 힘이 어찌나 강렬했던지, 내 몸이 앉아 있던 책상과 의자에서 멀리 떨어져 나가는 듯한 느낌을 받았을 정도였다. 그러나 실제로 내 몸이 나로부터 분리되는 듯한 느낌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나의 존재는 한 치의 흐트러짐도 없이, 나의 영혼뿐 아니라 나를 나이게 만드는 모든 것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책이 놓여 있는 바로 그 책상 앞에 그대로 머물러 있었다. 이는, 마치 내가 읽고 있던 책장들로부터 내 얼굴로 빛이 뿜어져 나오는 것 같은, 그러한 강력한..
호킹의 빅 퀘스천에 대한 간결한 대답 - 스티븐 호킹 지음, 배지은 옮김/까치 서문 / 에디 레드메인서론 / 킵 S. 손 왜 우리는 거대한 질문을 던져야 하는가 1. 신은 존재하는가?2. 모든 것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3. 우주에는 다른 지적 생명체가 존재하는가?4. 우리는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가?5. 블랙홀 안에는 무엇이 존재하는가?6. 시간여행은 가능한가?7. 우리는 지구에서 살아남을 것인가?8. 우리는 우주를 식민지로 만들어야 하는가?9. 인공지능은 우리를 능가할 것인가?10. 우리는 미래를 어떻게 만들어가야 하는가? 후기 / 루시 호킹감사의 글역자 후기찾아보기 1. 신은 존재하는가?62 나는 우주가 과학의 법칙에 따라서 무(無)에서 자연스럽게 생겼다고 생각한다. 과학의 근간이 되는 기본 가정은 ..
좁은 문 / 전원교향곡 / 배덕자 - 앙드레 지드 지음, 동성식 옮김/민음사 좁은 문전원교향곡배덕자 작품 해설작가 연보 좁은 문15 다른 사람들이라면 이 이야기로 책 한 권을 쓸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나는 여기서 하려고 하는 이야기를 스스로 겪어 내는데 온 힘을 다 쏟았고, 그 탓에 나의 기력은 완전히 쇠진해 버렸다. 그래서 나는 나의 추억을 아주 단순하게 적어 나가겠다. 이 추억이 여기저기 토막 나 있다 하더라도, 나는 그것을 꿰매어 맞추거나 연결하기 위해 무언가를 새로 꾸며 내는 일은 하지 않을 작정이다. 추억을 꾸며내는 데 쏟는 노력이 그 추억을 이야기함으로써 얻고자 하는 마지막 즐거움마저 앗아갈 것이기 때문이다. 아버지를 여의었을 때 난 열두 살도 채 되지 않았다. 아버지가 의사로 계시던 ..
키르케고르 사상의 열쇠 - 하워드 A.존슨 지음, 임춘갑 옮김/다산글방 첫 번째 강연: 근대문화의 위기의 예언자로서의 키르케고르두 번째 강연: 현대 실존주의의 비판자로서의 키르케고르세 번째 강연: 윤리학자로서의 키르케고르네 번째 강연: 키르케고르와 부조리한 것다섯 번째 강연: 부조리한 것의 실존적 귀결부록 : 키르케고르 소전(小) 첫 번째 강연: 근대문화의 위기의 예언자로서의 키르케고르18 19세기의 유럽과 미국은, 그리스도교를 진지하게 취급한다는 것이 점점 곤란해지는 것을 느꼈다. 그리스도교의 여러 교리는 미신적이고 모호하고 과학과 모순되는 것으로 보였던 것이다. 지성인들은 그리스도교가 주장하는 바가 과연 타당한 것인지에 관하여 온갖 종류의 의혹에 사로잡혔다. 겉으로 볼 때는 그들의 지적인 의혹도 그럴..
데미안 - 헤르만 헤세 지음, 전영애 옮김/민음사 1. 두 세계2. 카인3. 예수 옆에 매달린 도둑4. 베아트리체5. 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투쟁한다6. 야곱의 싸움7. 에바 부인8. 종말의 시작 작품소개 / 전영애헤세 연보 7 내 속에서 솟아 나오려는 것바로 그것을 나는 살아보려고 했다 왜그것이 그토록 어려웠을까. 내 이야기를 하자면, 훨씬 앞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할 수만 있다면, 훨씬 더 이전으로 내 유년의 맨 처음까지, 또 아득한 나의 근원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하리라. 작가들은 소설을 쓸 때 자기들이 하느님이라도 되듯 그 누군가의 인생사를 훤히 내려다보고 파악하여, 하느님이 몸소 이야기하듯 아무 거리낌 없이 자신이 어디서나 핵심을 집어내어 써낼 수 있는 양 굴곤 한다. 나는 그럴 수 없다, 작가들..
칸트 철학에의 초대 - 한자경 지음/서광사 서론 - 인간이란 무엇인가? 1장 인식과 존재: 아는 나와 알려진 세계는 어떤 관계인가?2장 유한과 무한: 세계는 유한한가, 무한한가?3장 욕망과 자유: 도덕의 근거는 무엇인가?4장 덕과 행복: 덕복일치의 최고선은 실현가능한가?5장 아름다움과 숭고함: 미적 판단은 무엇에 근거하는가?6장 기계와 유기체: 자연은 어떤 존재인가?7장 도덕과 법: 개인의 도덕성과 사회의 법은 어떤 관계인가?8장 인간과 역사: 인류의 역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결론 - 칸트와 독일관념론 1장 인식과 존재: 아는 나와 알려진 세계는 어떤 관계인가?40 합리주의의 독단론과 경험주의의 회의론을 피해 제3의 길을 개척해나간 것이 바로 칸트의 비판철학이다. 수학이나 이론물리학적 진리가 세계의 ..
죽음 앞의 인간 - 필립 아리에스 지음, 고선일 옮김/새물결 Ⅰ 횡와상의 시대머리말1부 우리는 모두 죽는다2부 자신의 죽음 Ⅱ 야성화된 죽음3부 먼 죽음과 가까운 죽음4부 타인의 죽음5부 역전된 죽음 결론네 개의 주제에 의한 다섯 가지 변주 주찾아보기 Ⅰ 횡와상의 시대1부 우리는 모두 죽는다1 인간과 친숙한 죽음49 죽음이 예고된다는 믿음은 시대를 거쳐 내려오면서 오랫동안 대중의 정서 속에 그대로 남아 있었다 평소 죽음과 일반 서민들의 신화에 관심이 많았던 톨스토이는 그것을 생생하게 되살려내고 있다. 어느 시골 역사, 임종을 눈앞에 두고 침대에 누워 있던 그는 다음과 같이 탄식한다. "그런데 러시아의 농민들은 어떻게 죽어갔을까?" 러시아의 농민들도 기사 롤랑이나 스폴레토의 마귀 들린 처녀, 또는 나르본의..
내 이름은 빨강 2 - 오르한 파묵 지음, 이난아 옮김/민음사 34. 나는, 셰큐레35. 저는 말입니다36. 내 이름은 카라37. 나는 여러분의 에니시테요38. 내가 화원장 오스만이다39. 저는 에스테르랍니다40. 내 이름은 카라41. 내가 화원장 오스만이다42. 내 이름은 카라43. 나를 올리브라 부른다44. 나를 나비라 부른다45. 나를 황새라 부른다46. 나를 살인자라고 부를 것이다47. 나는 악마다48. 나는, 셰큐레49. 내 이름은 카라50. 우리는 두 명의 수도승51. 내가 화원장 오스만이다52. 내 이름은 카라53. 저는 에스테르랍니다54. 저는 여자예요55. 나를 나비라 부른다56. 나를 황새라 부른다57. 나를 올리브라 부른다58. 나를 살인자라고 부를 것이다59. 나는, 셰큐레 작품 해..
내 이름은 빨강 1 - 오르한 파묵 지음, 이난아 옮김/민음사 1. 나는 죽은 몸2. 내 이름은 카라3. 나는 개입니다4. 나를 살인자라고 부를 것이다5. 나는 여러분의 에니시테요6. 나는 오르한7. 내 이름은 카라8. 저는 에스테르랍니다9. 나는, 셰큐레10. 저는 한 그루 나무입니다11. 내 이름은 카라12. 나를 나비라 부른다13. 나를 황새라 부른다14. 나를올리브라 부른다15. 저는 에스테르랍니다16. 나는, 셰큐레17. 나는 여러분의 에니시테요18. 나를 살인자라고 부를 것이다19. 저는 금화올시다20. 내 이름은 카라21. 나는 여러분의 에니시테요22. 내 이름은 카라23. 나를 살인자라고 부를 것이다24. 나는 죽음이다25. 저는 에스테르랍니다26. 나는, 셰큐레27. 내 이름은 카라28...
알레프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지음, 송병선 옮김/민음사 죽지 않는 사람죽은 사람신학자들전사(戰士)와 여자 포로에 관한 이야기타데오 이시도로 크루스(1829년~1874년)의 전기엠마 순스아스테리온의 집또 다른 죽음독일 레퀴엠아베로에스의 탐색자히르신의 글자기 미로에서 죽은 이븐 하캄 알 보크하리두 명의 왕과 두 개의 미로기다림문다의 남자알레프후기 작품 해설작가 연보 204 그는 머뭇거리더니, 우리가 어떤 내밀한 것을 털어놓을 때 사용하는 무덤덤하고 단조로운 목소리로 자기의 시를 끝마치기 위해서는 그 집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것은 지하실 한 쪽구석에 '알레프'가 있기 때문이었다. 그는 '알레프'란 모든 지점들을 포함하는 공간 속의 한 지점이라고설명했다. "부엌 지하실에 있어." 그는 걱정스러운 ..
공포와 전율 - 쇠얀 키르케고르 지음, 임춘갑 옮김/치우 서언 007 1. 조율 0152. 아브라함 찬사 0273. 문제 047(1) 서론적 구상·47(2) 윤리적인 것의 목적론적 정지라는 것은 존재하는가?·108(3) 하느님에 대한 절대적 의무라는 것은 존재하는가?·137(4) 아브라함이 자신의 기도를 사라와 엘리에셀과 이삭에게 말하지 않은 것은 윤리적으로 책임을 져야할 일이었던가?·166 결론 249역자 후기 256 ■ 부록 키에르케고르의 생애에 대한 짧은 이야기 271 역자 후기 『공포와 전율』에 대하여『공포와 전율』의 주제는 '믿음'이다. 키에르케고르는 이 주제를 구약성서에 나오는 믿음의 사람인 아브라함과 이삭의 이야기를 통하여 핵심에 파고들고 있다. 구약성서 창세기에 서술되어 있는 아브라함의 이..